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는 재학 중이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소규모 학교의 사례를 통해 통합교육이 어떠한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527099
2021
-
통합교육 ; 특수학급 ; 소규모 학교 ; 중학교 ; 일반교사 ; inclusive education ; special class ; small school ; general teacher
370
KCI등재
학술저널
29-45(17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는 재학 중이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소규모 학교의 사례를 통해 통합교육이 어떠한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자는 재학 중이나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소규모 학교의 사례를 통해 통합교육이 어떠한 모습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일반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소규모 학교인 빛나중학교의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이 학교에 재직 중인 일반교사 4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빛나중학교 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적응과 성장을 돕기 위해 지속적인 일상생활 지도, 특수교육대상학생과의 유대관계 형성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둘째, 빛나중학교 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해 맞춤형 학습지도의 제공을 통해 특수교육대상학생과 함께하는 수업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었다. 셋째, 빛나중학교 교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의 수업관련 어려움을 언급하였고,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지도가 적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빛나중학교 교사는 특수학급이 미설치된 소규모 학교에서 통합교육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학교 차원에서의 지원과 교육청 차원에서의 지원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in a small middle school without a special class and to help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inclusive education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fut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inclusive education in a small middle school without a special class and to help the successful development of inclusive education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inclusive educa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results were obtained by having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general teachers who were employed in a small-scale middle school not installed in a special class.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first, small middle school without a special class, teachers were showing interest in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Second, in a small middle school without a special class, teachers were implementing a wild attempt to guarantee students of special education universities the right to study. Third, there were restrictions on inclusive education due to the interest and efforts of special education university students. Finally, for successful inclusive education, general teachers could see that they needed support at the education office and school level.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2 이주화, "통합교육의 발전 방안에 관한 소고 - 독일 통합교육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37-158, 2011
3 신진숙, "통합교육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 3 (3): 149-164, 2001
4 임명순, "통합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5 안병주, "통합교육 질 지표에 기초한 특수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수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5
6 이진일,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경험 및 기피요인 수준 연구" 교육연구원 35 (35): 1-30, 2015
7 김성은, "초등학교 직무환경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이혜숙, "중학교 통합학급 운영사례를 통해 본 통합교육의 의미"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4 (54): 55-78, 2006
9 김라경,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교장의 지원과 초등교사의 소진 인식과의 관계"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23-43, 2014
10 윤영신,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교수 연구 동향" 55-57, 2018
1 조용환, "현장연구와 실행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8 (18): 1-49, 2015
2 이주화, "통합교육의 발전 방안에 관한 소고 - 독일 통합교육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국립특수교육원 18 (18): 137-158, 2011
3 신진숙, "통합교육을 위한 구체적 실행 방안" 3 (3): 149-164, 2001
4 임명순, "통합교육을 받는 청각장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5 안병주, "통합교육 질 지표에 기초한 특수교육교사의 통합교육 인식수준"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5
6 이진일, "초등학교 통합학급 담임교사 기피경험 및 기피요인 수준 연구" 교육연구원 35 (35): 1-30, 2015
7 김성은, "초등학교 직무환경이 교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8 이혜숙, "중학교 통합학급 운영사례를 통해 본 통합교육의 의미"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4 (54): 55-78, 2006
9 김라경, "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교장의 지원과 초등교사의 소진 인식과의 관계" 한국통합교육학회 9 (9): 23-43, 2014
10 윤영신, "일반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교수 연구 동향" 55-57, 2018
11 전병운, "우리나라 통합교육 관련 장애이해활동 프로그램 연구의 내용과 방법에 관한 경향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153-174, 2006
12 오연희, "소규모 초등학교 특수교육서비스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통합교육학회 13 (13): 29-55, 2018
13 음승희, "소규모 초등학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사례연구"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2016
14 박용수, "The Effects of Inclusion on the Self-Esteem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6 (6): 315-330, 2005
15 Kauffman, J., M., "Opinion on recent developments and the future of special education" 36 (36): 9-13, 2011
16 Friend, M., "Interactions: Collaboration skills for school professionals" Pearson Education Inc 2010
17 Hornby, G, "Inclusive special education : Development of a new theory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al needs and disabilities" 42 (42): 234-256, 2015
18 Bateman, B., "Enduring issues in special education:Personal perspectives" Routledge 2015
19 Larrivess, B., "Effect of inservice training intensivity on teachers attitude toward mainstreaming" 48 : 34-39, 1981
청각장애인 대상 음악치료 중재 국내 학위논문 동향 분석
통합교육 환경 내 발달장애 학생의 사회성 기술 중재에 관한 연구 동향
‘특수학급 개인화 학습모형(Personalized Learning Model–Special Education Classes; PLM-S)’의 실천 전략 개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2017-06-2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Inclusive Education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9 | 1.19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9 | 1.07 | 1.395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