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예비교사의 도덕성 구조 모형 검증 = 통합적 접근 모형을 바탕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7494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 이론을 주장한 Blasi(1980)와 Rest(1986)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성 구조 모형을 세워 예비교사에게 가장 적합한 모형을 찾고, 구체적인 영향력을 밝...

      본 연구의 목적은 도덕성에 대한 통합적 접근 이론을 주장한 Blasi(1980)와 Rest(1986)의 이론을 바탕으로 도덕성 구조 모형을 세워 예비교사에게 가장 적합한 모형을 찾고, 구체적인 영향력을 밝히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303명이며,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과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설정한 3개의 가설모형 중 도덕적 민감성이 도덕 판단에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으며, 도덕 판단을 제외한 도덕적 민감성, 도덕 동기, 도덕 성격이 도덕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구조인 가설모형 3이 χ²=425.315(df=82, ρ=.000), RMSEA=.068, GFI=.903, AGFI=.910, TLI=.923, CFI=.932, NFI=.929, AIC=512.058로 적합도 지수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이를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최종모형의 각 경로를 구체적으로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의 도덕적 자아, 도덕적 민감성, 도덕 동기, 도덕 성격모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도덕적 자아의 영향력이 가장 큰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를 상세 분해한 결과, 유의한 경로 중도덕적 자아가 도덕적 민감성과 도덕 성격을 통해서 도덕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의 간접적인 영향력이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덕적 판단과 민감성, 동기, 성격 등의 통합된 도덕성을 기르더라도 도덕성이 진정한 인간의 일부로 흡수되기 위해서는 자아와의 통합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by establishing a morality structure model based on the Integrative Framework theory by Blasi and Rest on morality, and to discover its influencing power in detail. 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model for pre-service teachers by establishing a morality structure model based on the Integrative Framework theory by Blasi and Rest on morality, and to discover its influencing power in detail.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303 pre-service teachers at a university in Chungbuk, and the study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three hypotheses models set in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from preliminary studies, moral sensitivity and moral judgment were shown to have no influence on each other, and hypothesis model 3, which was that apart from moral judgment, the other three factors of moral sensitivity, moral motive, and moral personality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oral behavior, had a suitability index of χ²=425.315(df=82, ρ=.000), RMSEA=.068, GFI=.903, AGFI=.910, TLI=.923, CFI=.932, NFI=.929, AIC=512.058; hence it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Secondly,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on each of the pathways of the final model, it was shown that the moral self, moral sensitivity, moral motive, and moral personality of pre-service teachers all had a direct significant influence, and amongst these the moral self had the biggest influencing power. Also, as a result of running a detailed analysis of the indirect impact on moral behavior, it was shown that among the significant pathways, the one which involved the moral self reaching moral behavior through moral sensitivity and moral personality had the biggest indirect influencing power. Based on these results, in order to enhance the standards of moral behavior in pre-service teachers, there is a need to make evaluations from diverse aspects and approach this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without stressing single variabl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노영란, "합리적인 선택과 도덕적 행위" 43 : 223-245, 2000

      2 김성일,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공감적 이해도 비교 : 예비연구" 8 (8): 1-52, 1994

      3 문용린, "한국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 진단(DIT)을 위한 연구" 학술진흥재단 1994

      4 하영희, "청소년의 도덕행동에 관한 관련변인 연구 :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1

      5 한자경, "자아의 연구-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서광사 1997

      6 홍성훈, "인지발달론의 관점에서 본 전문직 도덕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 39 (39): 63-80, 2001

      7 홍성훈, "의료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연구 : 의과대학생의 도덕 판단력·민감성·행동선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0

      8 이지혜, "예비교사의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도덕적 정체성 및 도덕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51-371, 2015

      9 문미희, "예비교사를 위한 전문가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이 도덕성의 4구성요소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165-188, 2007

      10 김윤희,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성, 기질 및 도덕적 자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2006

      1 노영란, "합리적인 선택과 도덕적 행위" 43 : 223-245, 2000

      2 김성일,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공감적 이해도 비교 : 예비연구" 8 (8): 1-52, 1994

      3 문용린, "한국 청소년의 도덕성 발달 진단(DIT)을 위한 연구" 학술진흥재단 1994

      4 하영희, "청소년의 도덕행동에 관한 관련변인 연구 :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2001

      5 한자경, "자아의 연구-서양 근․현대 철학자들의 자아관 연구-" 서광사 1997

      6 홍성훈, "인지발달론의 관점에서 본 전문직 도덕성 연구의 현황과 과제" 39 (39): 63-80, 2001

      7 홍성훈, "의료윤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연구 : 의과대학생의 도덕 판단력·민감성·행동선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0

      8 이지혜, "예비교사의 자기성찰, 자기통제력, 도덕적 정체성 및 도덕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5 (15): 351-371, 2015

      9 문미희, "예비교사를 위한 전문가 도덕성 교육 프로그램이 도덕성의 4구성요소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7 (7): 165-188, 2007

      10 김윤희, "어머니의 양육방식과 유아의 성, 기질 및 도덕적 자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2006

      11 추병완, "블라지(Blasi)의 자아 모델에 대한 비판적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16): 1-28, 2013

      12 김세정, "레스트의 도덕적 네 구성요소와 도덕적 행동과의 관계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2006

      13 이지혜, "도덕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자아관련 변인: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비교를 중심으로" 2015

      14 원현주, "도덕적 자아와 도덕 행동 선택에 관한 연구 : Blasi의 도덕적 자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1999

      15 문경호, "도덕적 동기와 도덕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 블라지의 도덕적 정체성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14

      16 문용린, "도덕성의 발달과 심리" 학지사 2008

      17 정창우, "도덕교육 이론의 최근 동향과 도덕교육의 역할" 21 : 1-76, 2005

      18 서미옥, "대학생의 도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4구성요소의 경로분석" 한국교육학회 45 (45): 25-51, 2007

      19 송근혜,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자기통제력, 공감 및 도덕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23-44, 2013

      20 송근혜,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자기통제력, 공감 및 도덕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동아대학교 2013

      21 黃應淵, "대학생의 가치관 및 관련된 변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75

      22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7

      23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24 Blasi, A, "Morality, moral behavior, and moral development" Wiley 1984

      25 Rest, J. R, "Moral development: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Praeger 1986

      26 Rest, J. R., "Moral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s: Psychology and applied ethic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4

      27 Rest, J. R,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Ⅲ: Cognitive development" John Wiley & Sons 556-621, 1983

      28 Blasi, A., "Character Psychology and Character Educatio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8-35, 2005

      29 Blasi, A., "Bridging moral cognition and moral action :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88 (88): 1-45, 1980

      30 서미옥, "4구성요소 모델을 중심으로 살펴본 도덕발달 연구의 지향점"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3 (53): 159-182,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6-16 학술지등록 한글명 : 교육심리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9 2.39 2.5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5 3.18 3.128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