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학은 조선후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사개념이다. 한국사 연구의 중요 주제였던 실학은 학교교육과정에서도 비중있게 다루어졌다. 그리고 실학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교육에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실학은 조선후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사개념이다. 한국사 연구의 중요 주제였던 실학은 학교교육과정에서도 비중있게 다루어졌다. 그리고 실학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교육에도 ...
실학은 조선후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사개념이다. 한국사 연구의 중요 주제였던 실학은 학교교육과정에서도 비중있게 다루어졌다. 그리고 실학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각종 교육에도 등장하였다.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실학교육은 박물관, 지자체, 지자체와 업무협약을 맺은 연구기관, 시민단체, 대중매체 등에서 진행되었다.
실학 시민교육의 대표적 기관은 실학박물관이다. 실학박물관이 진행하는 어린이․청소년 교육에서 실학 개념을 설명하고 박물관 전시를 활용한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다만 이때 활동지의 내용이 초기 실학 연구성과와 큰 차이가 없다. 새로운 연구성과의 보완 및 실학 개념의 형성사와 논쟁을 살리는 방식을 제시하는 것도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반면에 성인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실학교육에서는 실학자의 삶과 학문에서 그가 지향한 개혁론, 학문 방식 등을 배우고 그의 실학 정신을 현재 우리 삶 속에 호출하고 있다. 이때 누구를 실학자로 정할 것인 지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기에, 실학자로 호명하는 이유를 다시 질문함으로써 실학교육의 내용과 방향을 정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교육은 주로 강의형식으로 진행되었다. 강의를 듣는 것을 넘어 교육 참여자의 활동을 독려하기 위한 고민이 필요하다. 먼저 청소년을 대상으로는 사료학습을 병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현재 우리 삶에 실학 정신을 접목하고 강의를 듣는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공공역사의 방안도 적용할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실학 시민교육의 현재성을 살리기 위한 공통의 교육 개발도 고려해야 한다. 이같이 시민을 위한 실학교육의 내용과 방법의 질적 변화를 통해 실학에 대한 시민의 관심이 더욱 확대되기를 기대해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lhak[實學] is an important historical concept for understand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an important topic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t has also been an important part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it has appeared as an important topic i...
Silhak[實學] is an important historical concept for understand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an important topic in the study of Korean history, it has also been an important part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it has appeared as an important topic in various kinds of education for the public. In particular, Silhak for citizens has been conducted by museums, local governments, research institutes that have signed agreements with local governments, civil society organisations, and the mass media.
A representative institution of Silhak for citizens is the Museum of Silhak.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Museum of Silhak explains the concept of Silhak and attempts to educate using museum exhibits. However, the content of the activity book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early research results of Silhak, so it is necessary to complement the new research results and make use of the formation history and debates of the concept of Silhak. On the other hand, in Silhak education for adults, we learn about the Silhak‘s reform theory, academic method, etc. that the Silhak scholar pursued in his life and study, and call his Silhak spirit into our lives today. As the question of who to define as a scholar becomes an important issue,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direction of scholarly education by questioning the reason for calling someone a scholar.
Such education is mainly conducted in the form of lectures, and it is necessary to expand active history and participation. For young people, it would be possible to combine the study of historical materials and public history methods could also be applied to engage with the spirit of realism in our current lives. Through these qualitative changes in the content and methods of Silhak for citizens, it is hoped that citizens' interest in Silhak will expand.
本心과 實學-象山의 심학 계통에 대한 疏證을 겸하여 논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