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대생’ 소설에 나타난 감정의 절대화 : 최희숙, 박계형, 신희수를 중심으로 = The Appropriation of Emotions and Femininity in the College Woman Nove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ovel by a college girl that appeared in Korea in the 1960s, is considered a hobby for women who are lack of mature and has no critical or aesthetic value. Named “Korea's Sagan,” they starred in the literature field of the early 1960s’ Korea, and some of them were listed on the best-selling book list until the 1970s. Choi Hee-sook, Park Kye-hyung and Shin Hee-soo's long-length novels vividly convey the sexual adventur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positive characteristics of sexual decay and noble love. Based on feelings of sadness, these novels pose sensibly, but depict a series of romance processes such as dating, kissing and sex. In other words, what is important in the novel by a college girl is the desire of women to discover the joy of sexual behavior and sexuality. Three novels are an effective example of determining the aesthetic categories of the reader's desire, sensibility, and “traditional” while establishing themselves as a textbook of romantic love and sexuality that connects romance and girls’ comics.
      번역하기

      The novel by a college girl that appeared in Korea in the 1960s, is considered a hobby for women who are lack of mature and has no critical or aesthetic value. Named “Korea's Sagan,” they starred in the literature field of the early 1960s’ Korea...

      The novel by a college girl that appeared in Korea in the 1960s, is considered a hobby for women who are lack of mature and has no critical or aesthetic value. Named “Korea's Sagan,” they starred in the literature field of the early 1960s’ Korea, and some of them were listed on the best-selling book list until the 1970s. Choi Hee-sook, Park Kye-hyung and Shin Hee-soo's long-length novels vividly convey the sexual adventures of female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ir positive characteristics of sexual decay and noble love. Based on feelings of sadness, these novels pose sensibly, but depict a series of romance processes such as dating, kissing and sex. In other words, what is important in the novel by a college girl is the desire of women to discover the joy of sexual behavior and sexuality. Three novels are an effective example of determining the aesthetic categories of the reader's desire, sensibility, and “traditional” while establishing themselves as a textbook of romantic love and sexuality that connects romance and girls’ com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여원"

      2 김양선, "여성성, 여성적인 것과 근대소설의 형성" 민족문학사학회 (52) : 60-81, 2013

      3 신희수, "아름다운 수의" 문학예술사 1980

      4 최희숙, "슬픔은 강물처럼" 신태양사 1959

      5 "부인경향"

      6 정미지,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7 박계형,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신아출판사 1966

      8 "동아일보"

      9 김춘식, "대중소설과 통속소설의 사이 -60년대 후반~70년대 대중소설에 대해서-" 한국문학연구소 (20) : 147-167, 1998

      10 토도로프, "담론의 장르" 예림기획 2004

      1 "여원"

      2 김양선, "여성성, 여성적인 것과 근대소설의 형성" 민족문학사학회 (52) : 60-81, 2013

      3 신희수, "아름다운 수의" 문학예술사 1980

      4 최희숙, "슬픔은 강물처럼" 신태양사 1959

      5 "부인경향"

      6 정미지, "문학을 부수는 문학들" 민음사 2018

      7 박계형, "머무르고 싶었던 순간들" 신아출판사 1966

      8 "동아일보"

      9 김춘식, "대중소설과 통속소설의 사이 -60년대 후반~70년대 대중소설에 대해서-" 한국문학연구소 (20) : 147-167, 1998

      10 토도로프, "담론의 장르" 예림기획 2004

      11 일루즈, "낭만적 유토피아 소비하기" 이학사 2014

      12 "경향신문"

      13 서은영, "‘순정’ 장르의 성립과 순정만화" 대중서사학회 21 (21): 147-177, 2015

      14 Ngai, "Our Aesthetic Categories : Zany, Cute, Interesting" Harvard University Press 2015

      15 현찬양, "1980년대 순정만화의 젠더 재현" 연세대학교 2018

      16 이하나, "1970년대 감성규율과 문화위계 담론 ―‘통속’의 정치학과 권위주의 체제" 역사문제연구소 17 (17): 201-238, 2013

      17 김양선, "1960년대 여성의 문학·교양 형성의 세대적 특성 - 잡지 <여학생>의 문학란을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61) : 27-49, 2015

      18 조은정, "1960년대 여대생 작가의 글쓰기와 대중성" 한국여성문학학회 24 (24): 87-118, 2010

      19 이정옥, "1930년대 한국 대중소설의 이해" 국학자료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4 1.06 1.812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