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간정보 빅 데이터의 지도화와 공간적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지역의 트윗 데이터를 사례로 - = The Study on the Mapping and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for Spatial Big Data - The Case Study on the Twitted Data in Seoul Are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12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ny people utilize social network services with the increased use of smart phone recently, which can result in producing the various types of spatial big data. In addition, it has been possible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ersonal fa...

      Many people utilize social network services with the increased use of smart phone recently, which can result in producing the various types of spatial big data. In addition, it has been possible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associated with personal favors and interes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ata, particular in terms of geographic space. This research aims at investigat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lized characteristics of data that has been generated by Twitter users in Seoul. To do so, it applied the techniques of data mining and spatial analysis to twitted big data. The study discovered that the spatial frequency of twitted data is proportional to the size of floating population and the degree of adjacency to roads. It also found that Twitter users tend to publish the information of environment and place around their location, which is anticipated to have possible relation between the location and information of twitted data. This research could confirm the potential of identifying spatial distribution of characteristics and phenomenon inherent to geographic lo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spatial big dat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소셜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공간정보 빅 데이터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정보 빅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각 지역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스마트폰이 대중화되고 소셜 네트워크가 활성화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공간정보 빅 데이터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간정보 빅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각 지역의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취향이나 관심 분야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공간정보 빅 데이터인 트윗 데이터를 GIS 데이터로 마이닝하고, 공간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트윗 데이터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내용의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서울시 지역의 트윗 데이터를 이용하여 그 분포 특성을 파악하고, 지역별로 트윗 데이터 내용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트윗 데이터를 지도화하고 공간 분포를 파악한 결과, 트윗 데이터의 분포는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과 비례하며, 도로와 인접한 지역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또한 트윗 데이터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트위터 사용자는 자신의 위치 주변의 환경이나 장소에 대한 언급을 많이 게시하고 있어, 트윗 데이터의 위치와 그 내용 간에는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같이 공간정보 빅 데이터의 분석을 통하여 그 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재희, "트윗을 이용한 서울시 주거환경 만족의 공간적 특성 분석 - 도시정책지표 보완을 위한 활용방안 모색 -" 한국도시지리학회 17 (17): 43-56, 2014

      2 이범석, "트위터 사용자가 제공한 위치정보의 신뢰성 분석"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5 (15): 910-919, 2012

      3 안재성, "웹 지도 이용자의 관심집중지역 추출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의 공간 패턴 분석" 국토지리학회 47 (47): 443-451, 2013

      4 이건학, "스마트폰과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지리 답사" 국토지리학회 48 (48): 257-277, 2014

      5 조영임, "빅데이터의 이해와 주요 이슈들"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6 (16): 31-52, 2013

      6 정용찬, "빅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3

      7 홍일영, "국내 지오트윗의 공간분포" 한국지도학회 15 (15): 93-101, 2015

      8 오충원, "공간정보 빅 데이터에 관한 연구" 194-195, 2013

      9 Hahmann, S., "Twitter location (somtimes) matter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oreferenced tweet content nadn nearby feature classes" 9 : 1-36, 2014

      10 신정엽, "Theoretical Review and Quantitative Spatial Exploration of Tweet Data in the Context of Digital Divide: Case of King County, US" 한국지도학회 14 (14): 89-106, 2014

      1 박재희, "트윗을 이용한 서울시 주거환경 만족의 공간적 특성 분석 - 도시정책지표 보완을 위한 활용방안 모색 -" 한국도시지리학회 17 (17): 43-56, 2014

      2 이범석, "트위터 사용자가 제공한 위치정보의 신뢰성 분석"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5 (15): 910-919, 2012

      3 안재성, "웹 지도 이용자의 관심집중지역 추출을 위한 빅데이터 플랫폼 기반의 공간 패턴 분석" 국토지리학회 47 (47): 443-451, 2013

      4 이건학, "스마트폰과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지리 답사" 국토지리학회 48 (48): 257-277, 2014

      5 조영임, "빅데이터의 이해와 주요 이슈들" 한국지역정보화학회 16 (16): 31-52, 2013

      6 정용찬, "빅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북스 2013

      7 홍일영, "국내 지오트윗의 공간분포" 한국지도학회 15 (15): 93-101, 2015

      8 오충원, "공간정보 빅 데이터에 관한 연구" 194-195, 2013

      9 Hahmann, S., "Twitter location (somtimes) matters: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eoreferenced tweet content nadn nearby feature classes" 9 : 1-36, 2014

      10 신정엽, "Theoretical Review and Quantitative Spatial Exploration of Tweet Data in the Context of Digital Divide: Case of King County, US" 한국지도학회 14 (14): 89-106, 2014

      11 Sui, D., "The convergence of GIS and social media : Challenges for GIScience" 25 (25): 1737-1748, 2011

      12 Li, L., "Spatial, temporal and socioeconomic patterns in the use of Twitter and Flickr" 40 (40): 61-77, 2013

      13 Danneman, N., "Social media mining with R" Packt Publishing 2014

      14 Takhteyev, Y., "Geography of twitter networks" 34 (34): 73-81, 2012

      15 Zhao, Y., "Data mining applications with R" Elsevier Inc 2014

      16 Karimi, H. A., "Big data: Techniques and technologies in geoinformatics" CRC press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3-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지리학연구 -> 국토지리학회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리교육학회 -> 국토지리학회
      영문명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9 1.19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2 1.53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