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정착된 농경사회에서 형성된 조상숭배와 혈연의 연속성 강조 및 종법제도 하의 가국동체(家國同體) 관념에서 형성된 효 관념은 한 가정에서부터 시작해 국가사회의 안정과 화목을 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9635
2021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5-172(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과거 정착된 농경사회에서 형성된 조상숭배와 혈연의 연속성 강조 및 종법제도 하의 가국동체(家國同體) 관념에서 형성된 효 관념은 한 가정에서부터 시작해 국가사회의 안정과 화목을 추...
과거 정착된 농경사회에서 형성된 조상숭배와 혈연의 연속성 강조 및 종법제도 하의 가국동체(家國同體) 관념에서 형성된 효 관념은 한 가정에서부터 시작해 국가사회의 안정과 화목을 추구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끼친 점이 있다. 이런 효 관념 형성에는 유가가 지향하는 바람직한 인간상이 담겨 있다.
효는 기본적으로 부모가 평소 지향한 뜻과 마음을 존숭하며 따르는 것이면서 아울러 부모님이 잘난 자식을 낳았다는 자랑거리와 즐거움을 주는 것이어야 한다. 아울러 부모를 욕되게 하거나 위태롭게 해서는 안 된다. 부모에 대한 ‘양지(養志)’를 강조하면서 공경함이 수반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음식봉양을 통한 효행을 ‘기른다[養]’는 차원으로 이해한 것은 효행에서의 공경함이 갖는 중요함을 강조한 것이다. 구체적 실천과 관련된 효의 행위는 모두 예에 맞아야 하였다.
유가가 강조한 효와 ‘불효(不孝)’ 및 ‘비효(非孝)’는 살아있는 부모와 돌아가신 부모에 모두 적용되었다. 불효와 비효 사유는 그만큼 참된 효를 실천한다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런 점은 천자로부터 서인들에까지 모두 적용되었는데, 그 바탕에는 수신·제가·치국·평천하를 이루는데 효가 강력한 기제로 작동하였음을 보여준다. 아울러 이런 사유는 천자나 한 개인이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항상 선왕 및 부모라는 존재와 연계하여 이해된다는 점에서 이른바 ‘집단속의 개인’이란 점도 보여준다.
증자(曾子)는 효는 어떤 내용으로 실천했느냐에 따라 ‘대효(大孝)’, ‘중효(中孝)’, ‘하효(下孝)’로 구분하는데, 특히 순(舜)의 효는 ‘대효’, 문왕(文王)과 주공(周公)의 효는 ‘달효(達孝)’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효에 대한 차별화된 의미를 부여하였다. 효에 관한 다양한 사유 중에 ‘삼불효(三不孝)’를 말하면서 가운데 ‘후사(後嗣)를 이어가지 못하는 것[無後]’을 가장 큰 불효라고 여긴 것에는 가부장적 차원에서 혈연의 연속성을 중시한다는 사유가 담겨 있다.
사친의 효를 사군의 충으로 연결시킨 사유는 가국동체에 의한 종법제도가 작동한 결과다. 부모에 대한 효라도 제왕이 행하는 효와 일반 백성들이 행하는 효는 달랐다. 이 경우 제왕이 행하는 효행은 단순 제왕 그 자체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천하 백성들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이런 점에서 유가에서는 제왕의 효가 갖는 치국·평천하의 효용성을 강조하였다.
이상 살펴본 다양한 차원의 효를 실천했을 때 나타난 효용성은 종교적 측면, 윤리적 측면, 정치적 측면, 교육적 측면 등 인간이 삶을 영위하는 모든 부분에 적용되었고, 이에 유가의 효 이념은 개인과 국가 모두에게 적용될 정도로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였다.
결국 종법적 동형구조체에서 출발하여 전통적인 덕치(德治) 이외의 효치(孝治)를 대일통(大一統)을 이루고자 하는 사유가 담겨 있고, 이 같은 효관념을 이해하는 것은 종법적 동형구조체의 봉건사회를 이해하는 핵심임을 알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 idea of filial piety was created from the idea that families and countries are the same (家國同體) under the descent-line heir system and as ancestor worship and continuity of blood ties created in agrarian society settled in the past were emph...
An idea of filial piety was created from the idea that families and countries are the same (家國同體) under the descent-line heir system and as ancestor worship and continuity of blood ties created in agrarian society settled in the past were emphasized. The idea of filial piety that began from a fami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tability and harmony of countries' society. The creation of this idea of filial piety includes a desirable human character that School of Ru pursued. Basically, filial piety is to respect and follow will and hearts of parents who usually pursue and make them proud of and happy for their good children who were born from them. In addition, Children must not bring shame on or risk their parents. The point that filial piety was understood at the level of emphasizing ‘liang-zhi (養志)’ for parents and ‘practicing [養]’ filial behavior through the provision of meals without respect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respect in filial behavior. Filial behavior related to specific action must match manners. Filial piety, ‘lack of filial piety (不孝)’, and ‘non-filial piety (非孝)’ emphasized by School of Ru were applied to both of living and dead parents. Reason of lack of filial piety and non-filial piety means to be difficult to practice true filial piety. This point was applied to all of sons of heaven and commoners. It shows that filial piety was a powerful mechanism for improving yourself, establishing harmony in the family, governing the realm, and making the world peaceful in it. In addition, this reason shows so-called 'individuals in a group' in that it is understood being always connected to late kings and parents, not that sons of heaven or individuals independently exist. Zengzi (曾子) classified filial piety into ‘great filial piety (大孝)’, ‘middle filial piety (中孝)’, and ‘low filial piety (下孝)’ depending on practicing them for what contents. Especially, filial piety of Shun (舜) had differentiated meanings from others by using terms of ‘great filial piety’ and King Wan (文王). And filial piety of Duke of Zhou (周公) also had differentiated meanings from others by using terms of ‘constant filial piety (達孝)’. Among various types of reason about filial piety, ‘three types of lack of filial piety (三不孝)’ are mentioned and the point that regards 'not having sons [無後] to carry on families' names (後嗣)' as the greatest lack of filial piety means to consider continuity of blood ties at the patriarchal level. Reason that tending parents with filial piety is connected to serving a sovereign with loyalty is a result that the descent-line heir system by the idea that families and countries are the same worked. For tending parents with filial piety, emperors' was different from ordinary people's. In this case, emperors' filial piety had an effect on the people in the world as well as themselves. In this sense, School of Ru emphasized efficiency of governing the realm and making the world peaceful in emperors' filial piety. Efficiency shown when practicing various levels of filial piety was applied to all the parts that men led a life including religious, ethical, political, and educational aspects. Accordingly the ideal of filial piety by School of Ru used its strong influence on all of individuals and countries. Eventually, filial piety includes reason to unite(大一統) Governing through Family Reverence (孝治) with traditional rule b virtue (德治) by beginning from the same structure of the descent-line heir system. And understanding this idea of filial piety can be found to be the core to understand feudal society of the same structure of the descent-line heir system.
순조 후반기의 성균관과 유생에 대한 시각 - 유소에 대한 비답을 중심으로 -
공자의 인(仁)사상과 효(孝)교육문화를 통한 인격·인성교육 정책방향(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