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극권 진출을 위한 해양공간 인문지리: 동해-오호츠크 해-베링 해 = Human Geography of Marine Space for the Advancement of the Arctic Circle: the East Sea, the Sea of Okhotsk and the Bering Sea.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accessibility of the Arctic Circle is increasing, researches on the Arctic Circle are very actively being carried out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se studies are mostly conducted in the individual areas of political, economic and scientific ...

      As the accessibility of the Arctic Circle is increasing, researches on the Arctic Circle are very actively being carried out at home and abroad. However, these studies are mostly conducted in the individual areas of political, economic and scientific domains, so it is necessary to analyze values at a comprehensive level as a space where geopolitical, geographical and geocultural problems work in combination.
      To realize this end, the following three things need to be considered. First, the research area is a place where the interests in resource development and northern route management that will determine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as well as the Artic neighbors are concentrated. Second, the linkage of the research area requires systematic research, that is, each research topic is closely linked by the future development strategy (blueprint) of the relevant countries. Third, all research topics are integrated studies that are investigated in combination by closely linked geopolitical, geopolitical and geocultural approaches.
      In particular, since the study of the Ohotsk Sea and the Coast of Bering Sea, which are the gateways to the Arctic, is a necessary space for approaching the Arctic, the future growth engine of the Republic of Korea,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e growth in advance. Therefore, the study aims to explore the comprehensive value and analysis contents & methods of the Artic from the views of humanities and geographical approach to the research sp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공간(동해-오호츠크해-베링해)은 한국사회에 에너지·자원 확보/수입원/공급처의 다변화, 물류유통,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으로의 확장, 생활공간의 확대, 해외 식량 기지의 확보(수산�...

      본 연구공간(동해-오호츠크해-베링해)은 한국사회에 에너지·자원 확보/수입원/공급처의 다변화, 물류유통,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으로의 확장, 생활공간의 확대, 해외 식량 기지의 확보(수산업 등), 환경과 생태에 대한 글로벌 이슈의 충족, 녹색성장의 토대, 남북한 통합 촉진과 북한경제 발전의 연착륙유도 등을 제공할 수 있는 미래 한국사회의 ‘기회의 공간’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를 통해 국제사회와 우리의 기대에 부합하는 미래의 한국사회를 건설하기 위한 선도적 준비로써 해당지역의 지정, 지경 지문화적 의미와 연구필요성 등을 제기해보고자 한다.
      북극권의 접근성이 높아가고 있는 상황에서 북극권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대부분 정치적, 경제 및 과학적 입장의 개별적 영역에서 진행되고 있어 지정, 지경 및 지문화적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공간으로서 종합적 차원에서의 가치와 분석 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사항이 먼저 고려될 필요성이 있다. 첫째, 연구공간은 21세기 한반도뿐 아니라 해당국들의 미래를 결정할 자원개발과 북방항로 운용의 이해관계가 집중된 곳; 둘째, 연구대상지역의 연계는 시스템적 연구(Systemic Approaches)를 요구, 즉 각 연구 주제는 관련국의 미래 발전 전략(청사진)에 의해 상호 긴밀하게 연계; 셋째, 모든 연구 주제는 긴밀하게 연계된 지정학적, 지경학적, 지문화적 접근법들에 의해 복합적으로 연구되는 통합연구(Integrated Studies).
      특히, 우리의 입장에서 북극을 향하는 관문인 오호츠크 해 및 베링 해 연안 지역연구는 향후 대한민국의 미래성장 동력 지역인 북극에 접근하는데 있어 반드시 필요한 공간으로 이에 대한 선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기에 본 연구를 통해, 연구공간에 대한 인문·지리학적 접근에서 지역의 종합적 가치와 분석 내용과 방법 등을 모색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태호, "환동해 연구시리즈 1" 돌베개 2014

      2 주강현,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환동해 연구시리즈 2" 돌베개 2015

      3 김석환, "한국의 북극 거버넌스 구축 및 참여 전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4 림금숙, "창지투(長吉圖) 선도구와 북한 나선특별시, 러시아 극동지역 간경제협력 과제" 통일연구원 2011

      5 이효진,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경제권’ 추진 동향과전망" KIEP 1-13, 2014

      6 엄순천, "잊혀져가는 흔적을 찾아서: 퉁구스족(에벤키족) 씨족명 및 문화연구" 2016

      7 강덕수, "에벤키어와 한국어의 구조적-어휘적 유사성 연구" 언어연구소 (62) : 1-24, 2014

      8 김민수, "시베리아 에벤크족의 세계 모델과 강(江)"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0 (30): 29-56, 2015

      9 이재혁, "사할린한인과 사회적기업을 통한 한러 경제협력" 한림대학교 러시아 연구소 308-318, 2016

      10 홍성원, "북극해항로와 북극해 자원개발: 한러 협력과 한국의 전략" 국제지역연구센터 15 (15): 95-124, 2012

      1 강태호, "환동해 연구시리즈 1" 돌베개 2014

      2 주강현,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환동해 연구시리즈 2" 돌베개 2015

      3 김석환, "한국의 북극 거버넌스 구축 및 참여 전략"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14

      4 림금숙, "창지투(長吉圖) 선도구와 북한 나선특별시, 러시아 극동지역 간경제협력 과제" 통일연구원 2011

      5 이효진,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경제권’ 추진 동향과전망" KIEP 1-13, 2014

      6 엄순천, "잊혀져가는 흔적을 찾아서: 퉁구스족(에벤키족) 씨족명 및 문화연구" 2016

      7 강덕수, "에벤키어와 한국어의 구조적-어휘적 유사성 연구" 언어연구소 (62) : 1-24, 2014

      8 김민수, "시베리아 에벤크족의 세계 모델과 강(江)"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0 (30): 29-56, 2015

      9 이재혁, "사할린한인과 사회적기업을 통한 한러 경제협력" 한림대학교 러시아 연구소 308-318, 2016

      10 홍성원, "북극해항로와 북극해 자원개발: 한러 협력과 한국의 전략" 국제지역연구센터 15 (15): 95-124, 2012

      11 윤영미, "북극해 해양분쟁과 지정학적 역학관계의 변화 - 러시아의 북극해 국가전략과 대응방안 -" 한국-시베리아센터 14 (14): 1-42, 2010

      12 황진회, "북극해 항로, 항로개척 역사와 최근동향" 한국해안.해양공학회 7 (7): 64-68, 2014

      13 크리스토프 자이들러, "북극해 쟁탈전 - 북극해를 차지할최종 승자는 누구인가" 도서출판 숲 2009

      14 엄선희, "북극해 어업자원의 보존과 이용을 위한 국제 거버넌스 고찰과정책적 시사점" 8 : 34-64, 2010

      15 엄선희, "북극해 수산업을 둘러싼 국제 동향" 15-23, 2014

      16 김선래, "북극해 개발과 북극항로: 러시아의 전략적 이익과 한국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한국-시베리아센터 19 (19): 35-64, 2015

      17 홍성원, "북극항로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국제지역연구센터 13 (13): 557-584, 2010

      18 이성우, "북극항로 개설에 따른 해운항만 여건 변화 및물동량 전망"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1

      19 이성규, "북극지역 자원개발 현황 및 전망"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20 문진영, "북극이사회의 정책동향과 시사점" 대외경제정 책연구원 2014

      21 한종만, "북극권 베링해협 터널 프로젝트의 현황과 이슈" 배재대 사회과학연구소 30 : 1-26, 2010

      22 한종만, "북극, 한국의 성장공간" 명지출판사 2014

      23 이재혁, "북극, 한국의 성장공간" 명지출판사 228-262, 2014

      24 김정훈, "북극, 한국의 성장공간" 명지출판사 164-200, 2014

      25 심의섭, "베링해협 터널의 구상과 전개" 한국-시베리아센터 19 (19): 73-102, 2015

      26 RUSSIA BEYOND, "메드베데프 총리, 러시아 대륙붕 5만km 확장 정부결의안 서명"

      27 이재혁, "러시아의 중앙지방관계와 시베리아의 지방화 탐색" 엠-에드 2013

      28 이영형, "러시아의 북극해 확보전략: 정책방향과 내재적 의미" Asia-Pacific Research Center 33 (33): 103-129, 2010

      29 이영형, "러시아의 북극진출과 북극해의 몸부림" 엠애드 2011

      30 제성훈, "러시아의 북극개발 전략과 한․러 협력의 새로운 가능성"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3-08, 2013

      31 한종만, "러시아의 교통정책과 베링해협 터널 프로젝트" 한국철도학회 18 (18): 79-90, 2015

      32 한종만, "러시아북극권 크라스노야르스크 국립사범대 국제교육포럼 참관 기행문" 한국외대 러시아연구소 (348) : 1-4, 2015

      33 한종만, "러시아마피야현상의 이해" 명지출판사 2011

      34 한종만, "러시아 현대화 전략의 가능성 및 시사점"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7 (27): 541-576, 2012

      35 한종만, "러시아 조직범죄집단과 한국의 형사정책적 대응방안"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9

      36 김태진, "러시아 시베리아지역 소멸위기 언어에 대한 고찰- 네네츠어를 중심으로 -" 한국-시베리아센터 17 (17): 161-188, 2013

      37 이영형, "러시아 사할린州의 자원생산 및 무역구조에 대한 경제지리학적 해석"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5 (25): 77-102, 2010

      38 한종만, "러시아 사할린 한인의 인적/물적 자원의 변천과정" 동북아역사재단 2012

      39 한종만, "러시아 사할린 주 인적자원의 과거, 현재, 미래" 한국-시베리아센터 17 (17): 1-92, 2013

      40 한종만, "러시아 북극권의 이해" 신아사 232-249, 2010

      41 김태진, "러시아 북극권 소수 민족 언어연구 - 코미어(коми язык)를 중심으로 -" 한국-시베리아센터 16 (16): 271-294, 2012

      42 한종만, "러시아 마피야현상의 이해② 부패, 마약, 지역별 범죄조직" 명지출판사 2011

      43 이재혁, "러시아 극동지역의 관광자원과 한국 관광산업 개발 방안" 한국-시베리아센터 19 (19): 103-128, 2015

      44 한종만, "러시아 극동지역 캄차트카 반도 지역연구"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6 : 15-38, 2003

      45 정명화, "러시아 극동지역 수산분야에 대한 한·러 협력 동향" 112-132, 2014

      46 박종관, "러시아 교통물류 발전전략: 북극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31 (31): 29-62, 2016

      47 이기석, "두만강 하구 녹둔도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2

      48 이재혁, "동해의 정치지리학과 남·북·러 가스관 통과지 북한" 한림대학교 러시아연구소 (3) : 41-48, 2013

      49 남상구, "남쿠릴열도 영토분쟁의 역사적 경위와 현황: 일본 정부 대응을중심으로" 4 : 122-144, 2012

      50 이윤식, "남북러 가스관 사업의 효과, 쟁점, 과제" 통일연구원 2011

      51 백훈, "남ㆍ북ㆍ러 가스관 사업의 정책적 접근" 한국동북아경제학회 23 (23): 93-123, 2011

      52 홍완석, "남 쿠릴 4도’와 ‘독도’ 영유권 분쟁 비교 연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31-52, 2008

      53 한종만, "국내 북극 관련 인문사회과학 연구 현황 및 과제" 극지연구소 3-9, 2016

      54 "防衛白書" 防衛省·自衛隊 2015

      55 植田博, "商業性から見た北極海航路" 日本国際問題研究所 23-38, 2013

      56 金田秀昭, "北極海とわが国の防衛" 日本国際問題研究所 39-50, 2013

      57 日本国際問題研究所, "北極のガバナンスと日本の外交戦略" 2013

      58 Кинжалов, Р. В., "Русская Америка" Мысль 1994

      59 Kaczynski, Vlad, "US-Russian Bering Sea Marine Border Dispute: Conflict over Strategic Assets, Fisheries and Energy Resource" (20) : 2-5, 2007

      60 Jongman Han, "The Russian Programs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of the Far East and the Baikal Region and Its Implications for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Russia" Institute for Russian, East European, and Eurasian Studies 24 (24): 407-444, 2014

      61 이동형, "The Practice and Development Strategy of the Multilateral Local Government Cooperation Networks in the East Sea Rim" Institute of Global Affairs 17 (17): 41-59, 2010

      62 Jongman Han, "The Potential of the Russian Arctic Circle: Possibilities and Problems" Institute for Far Eastern Studies, Kyungnam University 27 (27): 183-215, 2011

      63 배규성, "The Issues and Oceans Governance in the Arctic" 21st Century Political Science Association 20 (20): 457-478, 2010

      64 윤성학, "Study of Economic Impact of the SK-NK-Russia Gas Line: Case of South Korea" Institute for Russian, East European, and Eurasian Studies 22 (22): 259-280, 2012

      65 Perry, Charles M., "New Strategic Dynamics in the Arctic Region: Implications for National Security and International Collaboration" 2012

      66 Huotari, Jussi, "Arctic Roulette - will economic sanction open the door for Sino-Russian offshore operations in the High North" (5) : 20-, 2014

      67 Heleniak, Timothy, "Arctic Populations and Migration, Norden, Arctic Human Development Report" Regional Processes and Global Linkages, Nordic Council of Ministers 53-104, 2014

      68 김봉길, "A study on the necessity and policy alternatives of the Economic Cooperation in East-sea rim region" Institute of Global Affairs 17 (17): 1-20, 2010

      69 Jinsuk Kwak,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Famine Myth of the Koryaks in Siberia" The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n Cultures 1 (1): 75-86, 2015

      70 TaeJin Kim, "A Study on Noun in Ainu Dialect and Russian: Focusing on Form, Gender, Number, Case" The Joongwo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null (null): 45-69, 2010

      71 TaeJin Kim, "A Study on Languages in the Siberian Region: with a Focus on the Minor Language in the Russian Arctic Circle" The Joongwon Linguistic Society of Korea null (null): 31-53, 20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8-03-1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Siberian studies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7 0.66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