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혁주 「춘향전」 텍스트(들), 그 서사의 차이와 주체의 균열 = The Narrative Difference and the Crack of Subject of Jang Hyuk-Ju's <Chunhyang-Je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400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1938, the texts and discourses of Jang Hyuk-Ju's "Chunhyang-jeon" were produced within the category of the historical struc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ut they show a hybrid character that is difficult to interpret only as a dichoto...

      In 1938, the texts and discourses of Jang Hyuk-Ju's "Chunhyang-jeon" were produced within the category of the historical struc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but they show a hybrid character that is difficult to interpret only as a dichotomous composition of empire - colonies.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hybridity of the discourse structure surrounding the performance of "Chunhyang-jeon" rather than to identify the hybrid character of the "Chunhyang-jeon" text itself. In other words, the paper reveals that the "Chunhyang-jeon" performance dismantled these historical boundaries through the narrative differences in Jang Hyuk-Ju's "Chunhyang-jeon" text and also clarifies that his "Chunhyang-jeon" could cross the desire of the subject in different positions in the composition of empire - colonies.
      The "Chunhyang-jeon" play performed by 'Shinhyep' (an association of drama) had a hybrid borderline that is neither pro-Japanese nor pro-Joseon, because there are many subjects intersected elaborately. In this context, Jang Hyuk-Ju's "Chunhyang-jeon" can be regarded as a text that reveals various cracks that are not converged to the 'oriental' discourse of Japanese imperialism. As mentioned above, the case of "Chunhyang-jeon" performed by Shinhyep, can be confirmed that the positions of both creative subjects cross in this script at the same time because of the fact that Murayama directed the play and Yoo Chi-jin also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correction work. Furthermore, Jang Hyuk-Ju, who wrote the "Chunhyang-jeon" script, published the other editions of "Chunhyang-jeon"(which called ShinJoh edition), taking a position different from Murayama's view. Therefore, "Chunhyang-jeon", which Jang Hyuk-Ju published before he agreed with colonial policy in Japan, can be read as text that helps to understand his literary position.
      He reveals his view of modern literature, emphasizing the critical narrative that exposes the structural ills of Joseon society in his ShinJoh edition. The cracks and literary difficulties that occurred between his political stance and literary gaze were working together in his ShinJoh edition. As a result, it made a narrative difference between the script and the ShinJoh edition of "Chunhyang-jeon". In other words, the performances and texts of "Chunhyang-jeon" reveal the historical boundaries and cultural hybridity that emerge across empires and colonies, language and narrative, tradition and modernity. Furthermore, it can be confirmed again that the positions of the various subjects cross each other within the contex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38년 장혁주의 「춘향전」 텍스트와 관련 담론은, 20세기 전반의 제국-식민지라는 역사 구조의 범주 안에서 생산되었지만, 제국-식민지라는 이분법적인 구도로 해석하기 어려운 혼종적 성...

      1938년 장혁주의 「춘향전」 텍스트와 관련 담론은, 20세기 전반의 제국-식민지라는 역사 구조의 범주 안에서 생산되었지만, 제국-식민지라는 이분법적인 구도로 해석하기 어려운 혼종적 성격을 보여준다. 논문은 「춘향전」 텍스트 자체의 성격을 규명하기 보다는, 「춘향전」 공연이라는 사건을 둘러싼 담론 구조의 혼종성을 밝히는데 목적을 두었다. 다시 말해서, 논문은 장혁주의 「춘향전」 텍스트에 나타난 서사적 차이를 통해서, 신협의 「춘향전」 공연이라는 사건이 오히려 이러한 역사적 경계를 해체하고 있다는 것을 설명하였으며, 장혁주의 「춘향전」을 통해 제국-식민지의 역사 구도 속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주체의 욕망이 교차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협의 「춘향전」 공연이 결과적으로 ‘일본적’이지도 동시에 ‘조선적’이지도 않은 경계적인 혼종성을 갖게 되는 배경에는, 바로 다수의 주체들이 입장들이 교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하겠다. 이러한 의미에서, 장혁주의 「춘향전」은 당시 일제의 ‘동양’담론으로 수렴되지 않는 다양한 균열을 드러내주는 텍스트라고 볼 수 있다. 신협의 「춘향전」의 경우, 무라야마가 연출을 하였지만 장혁주가 대본을 쓰고 유치진이 수정 작업에 참여하였다는 점을 상기할 때, 이 텍스트에 복수의 창작 주체의 입장이 교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장혁주는 「춘향전」 대본을 창작하였지만 「춘향전」에 대해 무라야마와 다른 입장을 보이면서, 대본과 별도로 다른 판본인 「춘향전」 신조본을 출간한다. 따라서 장혁주가 본격적으로 식민지 정책에 동조하기 전에 발표한 「춘향전」의 복수의 판본은, 그의 문학적 입장을 파악할 수 있는 텍스트로 읽을 수 있다. 그는 신조본에서 조선사회의 구조적인 병폐를 부각하는 비판 서사를 강조하면서 자신의 근대문학에 대한 시각을 드러낸다. 「춘향전」 신조본과 대본의 서사적 차이에는, 장혁주의 정치적 입장과 문학적 시선 사이에서 발생한 균열과 문학적 곤란함이 작동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1938년 「춘향전」 공연과 텍스트는 제국과 식민지, 언어와 서사, 전통과 현대 등을 가로지르며 발생하는 역사적 경계성과 문화적 혼종성을 드러내고 있다. 나아가 이 과정에서 복수의 다양한 주체의 위치가 서로 교차하고 있음을 확인시켜 주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春香傳」批判座談会" 5 (5): 1938

      2 무라야마 도모요시, "<春香伝>余談"

      3 김윤식, "한국 작가의 일본어 작품" 1974

      4 임종국,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66

      5 장혁주, "조선인 취락을 가다" 1937

      6 무라야마 도모요시, "조선연극의 진로에 대하여" 1 : 1945

      7 박석태,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본 ‘향토성’ 개념 연구"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4

      8 고영란, "제국 일본의 출판시장 재편과 미디어 이벤트 ‘張赫宙’를 통해 본 1930년 전후의 개조사(改造社)의 전략"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6) : 113-146, 2009

      9 장혁주, "정확한 이해" 3 (3): 1940

      10 김계자, "장혁주의 「춘향전」을 통해 본 제국과 식민지의 변주" 비교문화연구소 38 : 7-28, 2015

      1 "「春香傳」批判座談会" 5 (5): 1938

      2 무라야마 도모요시, "<春香伝>余談"

      3 김윤식, "한국 작가의 일본어 작품" 1974

      4 임종국, "친일문학론" 평화출판사 1966

      5 장혁주, "조선인 취락을 가다" 1937

      6 무라야마 도모요시, "조선연극의 진로에 대하여" 1 : 1945

      7 박석태,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본 ‘향토성’ 개념 연구"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04

      8 고영란, "제국 일본의 출판시장 재편과 미디어 이벤트 ‘張赫宙’를 통해 본 1930년 전후의 개조사(改造社)의 전략"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6) : 113-146, 2009

      9 장혁주, "정확한 이해" 3 (3): 1940

      10 김계자, "장혁주의 「춘향전」을 통해 본 제국과 식민지의 변주" 비교문화연구소 38 : 7-28, 2015

      11 시라카와 유타카, "장혁주 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12 장혁주, "잊히지 않는 두 여성" (33) : 1934

      13 이응수, "일본에서의 「春香伝」수용 연구"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19) : 551-572, 2011

      14 이원조, "신협 극단 공연의 천향전 관극평"

      15 백현미, "신민족적 전통과 동양적 전통- 1930년대 후반 경성과 동경에서의 <춘향전>공연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23) : 211-243, 2004

      16 장혁주, "문단의페스토菌" 1935

      17 이준식, "무라야마 도모요시의 진보적 연극운동과 조선문화 사랑" 역사문제연구소 (88) : 280-302, 2009

      18 이서향, "동경학생예술좌 제2회 공연을 보고(2)"

      19 가라타니 고진, "네이션과 미학" 도서출판b 2009

      20 장혁주, "내 산책" 5 (5): 1937

      21 강상순, "고전소설의 근대적 재인식과 정전화 과정: 1920~30년대를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원 (55) : 47-92, 2011

      22 유치진, "東朗 柳致眞 全集 1" 서울예대출판부 1988

      23 장혁주, "朝鮮の知識人に訴ふ" 1939

      24 유치진, "春香傳의 東京上演과 그 飜案臺本의 批評의 批評"

      25 장혁주, "春香傳の劇化" 7 : 1938

      26 장혁주, "春香傳について" 1938

      27 金承久, "春香傳について" 1937

      28 장혁주, "春香傳" 1938

      29 무라야마 도모요시, "映画化される 春香傳 座談會-中"

      30 "映画化される 春香傳 座談會"

      31 윤영련, "新協극단상연의 춘향전을 보고"

      32 "新協 “春香伝” 座談会" 6 (6): 1938

      33 秋田雨雀, "故郷へ帰る 春香伝"

      34 任展慧, "張赫宙論" 岩波書店 1965

      35 하야시 코지, "張赫宙論" (36) : 1983

      36 "座談會 朝鮮文化の将来と現在"

      37 김석범, "岩波講座文學 제8권" 이와나미 서점 1976

      38 장혁주, "『춘향전』 후기" 1938

      39 유치진, "『춘향전』 각색에 대하여" (5) : 1936

      40 장혁주, "『애원의 동상』의 비평" 5 (5): 1937

      41 서동주, "1938년 일본어연극 <춘향전>의 조선 ‘귀환’과 제국일본의 조선 붐" 동아시아고대학회 (30) : 193-229, 2013

      42 양근애, "1930년대 전통의 재발견과 연극 <춘향전>" 한국공연문화학회 (16) : 143-176,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통일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3-2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인문학논총 -> 통일인문학논총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9 1.222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