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기도직업재활시설인증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Certification Index Development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Gyeonggi Provi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307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ertification index in order to oper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Province, and to improve service quality. It is designed to judge whether or no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performing their work well and to secure the efficiency of facility operation and public obligation by providing standards which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hould maintain.
      Methods such as research on documentary records, expert group FGI, advisory meetings, and Delphi and AHP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study. The certification index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was derived from the results is composed of big realm, middle realm and certification standards. The big realm consists of a management realm including 9 middle realms, and a service realm including 8 middle realms, such as 2 common service realms and 2 special realms based on the kinds of service. One hundred and sixty-three certification index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were derived from these two big realms and seventeen middle realms.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er has propo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certification institution, the introduction of a compulsory certification system, the necessity of incentives for certification institutions, and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ees at facilities through the certification syste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ertification index in order to oper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Province, and to improve 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ertification index in order to operate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cused on the application of a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the industrial characteristics of Gyeonggi Province, and to improve service quality. It is designed to judge whether or not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re performing their work well and to secure the efficiency of facility operation and public obligation by providing standards which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should maintain.
      Methods such as research on documentary records, expert group FGI, advisory meetings, and Delphi and AHP Techniques, were applied to the study. The certification index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facilities that was derived from the results is composed of big realm, middle realm and certification standards. The big realm consists of a management realm including 9 middle realms, and a service realm including 8 middle realms, such as 2 common service realms and 2 special realms based on the kinds of service. One hundred and sixty-three certification indexe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were derived from these two big realms and seventeen middle realms.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the researcher has propose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a certification institution, the introduction of a compulsory certification system, the necessity of incentives for certification institutions, and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ees at facilities through the certification syst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재활시설의 운영 및 서비스질의 향상을 위한 직업재활시설인증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어느 직업재활시설이 어느 정도 잘하고 못하고 있느냐의 판단이 아닌 직업재활시설이라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시설운영의 효율성과 공적 책무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집단의 FGI, 자문회의, 델파이 및 AHP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직업재활시설의 인증지표는 크게 대영역, 중영역, 인증지표로 도출되었다. 대영역은 9개의 중영역을 포함한 경영영역과 6개의 서비스공통영역과 2개의 서비스 종별 특수영역등 중영역 8개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직업재활시설의 인증지표는 2개의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163개의 인증지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증기관 설립의 필요성, 인증의 의무제도입, 인증기관의 인센티브의 필요성, 인증제를 통한 시설직원들의 교육훈련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재활시설의 운영 및 서비스질의 향상을 위한 직업재활시설인증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어느 직업재활시설이 어느 정도 잘하고 못하고 ...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의 특성을 고려한 직업재활시설의 운영 및 서비스질의 향상을 위한 직업재활시설인증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는 어느 직업재활시설이 어느 정도 잘하고 못하고 있느냐의 판단이 아닌 직업재활시설이라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시설운영의 효율성과 공적 책무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전문가집단의 FGI, 자문회의, 델파이 및 AHP등의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직업재활시설의 인증지표는 크게 대영역, 중영역, 인증지표로 도출되었다. 대영역은 9개의 중영역을 포함한 경영영역과 6개의 서비스공통영역과 2개의 서비스 종별 특수영역등 중영역 8개를 포함하는 서비스 영역으로 구성되었다. 직업재활시설의 인증지표는 2개의 대영역, 17개의 중영역, 163개의 인증지표가 도출되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증기관 설립의 필요성, 인증의 의무제도입, 인증기관의 인센티브의 필요성, 인증제를 통한 시설직원들의 교육훈련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한국장애인복지시설정책 어떻게 변화하고 어떻게 대응해야하는가?" 2008

      2 황성철, "한국 노인복지시설 서비스 평가의 전개와 과제: 노인복지서비스의 평가와 과제"

      3 나운환, "직업재활시설의 판로확대 및 우선구매제도개선방안"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2003

      4 나운환, "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과 인증제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07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직업재활기금사업평가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6 대구대학교 직업재활 및 보조공학연구소,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및 중증장애인다수고용사업장 시범사업 연구보고서" 2008

      7 임성옥, "중앙정부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에 대한 비판적 분석:메타평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9 (9): 9-296, 2003

      8 서문원, "재가장애인 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96

      9 나운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인증제 도입과 인증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25-48, 2007

      10 서울복지재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인증모형 개발"

      1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한국장애인복지시설정책 어떻게 변화하고 어떻게 대응해야하는가?" 2008

      2 황성철, "한국 노인복지시설 서비스 평가의 전개와 과제: 노인복지서비스의 평가와 과제"

      3 나운환, "직업재활시설의 판로확대 및 우선구매제도개선방안"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2003

      4 나운환, "직업재활시설 유형개편과 인증제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개발원 2007

      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직업재활기금사업평가보고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6

      6 대구대학교 직업재활 및 보조공학연구소, "중증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 및 중증장애인다수고용사업장 시범사업 연구보고서" 2008

      7 임성옥, "중앙정부의 사회복지시설 평가에 대한 비판적 분석:메타평가를 중심으로" 정부학연구소 9 (9): 9-296, 2003

      8 서문원, "재가장애인 복지 정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96

      9 나운환, "장애인직업재활시설의 인증제 도입과 인증기준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7 (17): 25-48, 2007

      10 서울복지재단,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인증모형 개발"

      11 한국장애인복지진흥원,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유형재편과 세부업무매뉴얼 개발보고서" 2007

      12 나운환, "장애인생산품 우선구매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단체의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한국직업재활학회 12 (12): 2002

      13 최재성, "장애인복지관 평가사업의 특성과 준비" (14) : 1999

      14 이선우, "장애인 직업재활시설의 평가 : 문제와 개선 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 14 (14): 119-140, 2004

      15 서울복지재단, "장애인 주․단기보호시설 평가결과 보고서"

      16 변용찬, "이용시설 서비스 평가현황과 개선방안" 2005

      17 서울복지재단, "아동생활시설 및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인증모형 개발 세미나 자료집"

      18 이선우, "사회복지시설평가의 현실과 개선방안:장애인복지시설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15) : 135-156, 2002

      19 정기원, "사회복지 평가제도의 개선을 위한 인준제도 도입방안의 모색, 한국사회복지행정학"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4) : 2001

      20 김선자, "민간보육시설의 서비스 수준향상 방안 연구, 서울시정개발원 경기도(2007)" 장애인복지시설현황, 홈페이지 자료 2005

      21 나운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직업재활연구" 직업재활학회 16 (16): 2006

      22 부산복지개발원, "노인복지시설 인증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2007

      23 김명진, "계층화 분석법(AHP)에 의한 한국의 적정 국방비 수준결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3

      24 "http://www.qaproject.org/pubs/PDFs/accredmon.pdf"

      25 "http://www.mohw.go.kr"

      26 "http://www.carf.org"

      27 Satty, T. 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eaw-Hill" ohn Wiley 437-504, 1980

      28 Gondles, J. A., "Standards and Certification: A Collaborative Effort" 62 (62): 2000

      29 Rooney, A. L., "Licensure,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Approaches to Health Services Quality" 1999

      30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 사회복지시설평가, 아동복지시설 장애인생활시설 장애인직업재활시설" 2007

      31 변용찬, "2004년 장애인 직업재활기금사업 수행기관 평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06 1.62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