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소 황체에서 발현하는 새로운 유전자의 특성 분석 = Characterization of a Novel Gene in Bovine Corpus Lutea During Estrus Cyc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518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dentifications of the regulatory mechanism for Corpus Lutea have been founded by using expressed sequence tags ( ESTs ) that characterized for the subtracted cDNA library on 5 days of estrus cycl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whole sequence of the ESTs gene and characterize the expressing its mRNA in bovine corpus lutea.

      1. The analysis result of the tissue from corpus lutea start to degradation had a low cytosol and aggregation of the nuclear. During the estrus cycle, the cytosol was magnified and differentiation of the nuclear was clearly manifested. At this time, we could found the cell death and formation the blood vessel.

      2. By the result of BLAST analysis for the EST genes in 5-Day of corpus lutea. One of the genes was checked the Bovine Microtubule gene.

      3. Bovine coupus lutea at various stages was used in the Hematoxylin & Eosin, SQ-PCR, Real Time- PCR, Southern Blot Hybridization. And, we also analyzed the expression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Microtubule and VEGF ( growth factor ), TNFR1 ( cell death ). It was the same expressing pattern between Microtubule and VEGF. Thus, we thought that Microtubule' appearance could be effect to the expressing pattern of VEGF.

      4. The expressing result of TNFR1 was very low during the activation of Microtubule and VEGF. However, it' expression gradually increased in the degradation of CL2~CL1.

      Taking together, we summarized that Microtubule affect the cell and then relationship of the VEGF and TNFR1 play a pivotal role for the cell nutrition and activation depending on the stage of corpus lutea in bovine ovary.
      번역하기

      Identifications of the regulatory mechanism for Corpus Lutea have been founded by using expressed sequence tags ( ESTs ) that characterized for the subtracted cDNA library on 5 days of estrus cycl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whole ...

      Identifications of the regulatory mechanism for Corpus Lutea have been founded by using expressed sequence tags ( ESTs ) that characterized for the subtracted cDNA library on 5 days of estrus cycle.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whole sequence of the ESTs gene and characterize the expressing its mRNA in bovine corpus lutea.

      1. The analysis result of the tissue from corpus lutea start to degradation had a low cytosol and aggregation of the nuclear. During the estrus cycle, the cytosol was magnified and differentiation of the nuclear was clearly manifested. At this time, we could found the cell death and formation the blood vessel.

      2. By the result of BLAST analysis for the EST genes in 5-Day of corpus lutea. One of the genes was checked the Bovine Microtubule gene.

      3. Bovine coupus lutea at various stages was used in the Hematoxylin & Eosin, SQ-PCR, Real Time- PCR, Southern Blot Hybridization. And, we also analyzed the expression pattern of relationship between Microtubule and VEGF ( growth factor ), TNFR1 ( cell death ). It was the same expressing pattern between Microtubule and VEGF. Thus, we thought that Microtubule' appearance could be effect to the expressing pattern of VEGF.

      4. The expressing result of TNFR1 was very low during the activation of Microtubule and VEGF. However, it' expression gradually increased in the degradation of CL2~CL1.

      Taking together, we summarized that Microtubule affect the cell and then relationship of the VEGF and TNFR1 play a pivotal role for the cell nutrition and activation depending on the stage of corpus lutea in bovine ova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황체 형성 5일령에서 나타난 ESTs gene이 황체형성 단계에서 발현되는 양상과 황체주기에 따른 세포의 변화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1. 황체의 생성에서부터 퇴행까지 조직학적 분석을 한 결과 황체의 생성시기에는 세포질이 적고, 핵들이 서로 융합되어 있었으나 유지기로 넘어가면서 세포질의 거대화와 핵의 분화도가 확연하게 형성되어지고 있었다. 이 시기부터 모세혈관의 생성과 더불어 침체기로 접어들면서 세포들의 사멸을 확인하였다.

      2. 황체 5일째에 나타난 ESTs Gene를 찾아 BLAST에서 분석한 결과 Bos Microtubule유전자로 확인되었다.

      3. 위의 정보를 통해 혈관 생성에 관련한 Grows Factor인 VEGF의 유전자를 상호관계 유전자로 선택하고, 세포 사멸사에 관련한 대립유전자로 TNFR1을 선택하여 상호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Microtubule와 VEGF 같은 Pattern을 보임으로 세포활성에 영향을 주는 Microtubule의 형성이 VEGF의 발현양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사료된다.

      4. TNFR1과의 분석양상을 비교한 결과 Microtubule과 VEGF가 활성화는 동안에는 발현의 양이 적었으며 퇴행기 단계인 CL2~CL1으로 갈수록 발현양상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황체의 단계별 세포변화도에 Microtubule가 세포의 영향을 주어 혈관형성 유전자 외 Grows Factor 등의 유전자와 상호 작용을 하며 세포의 영양의 공급 및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황체 형성 5일령에서 나타난 ESTs gene이 황체형성 단계에서 발현되는 양상과 황체주기에 따른 세포의 변화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1. 황체의 생성에서부터 퇴행까지 조직학...

      본 연구는 황체 형성 5일령에서 나타난 ESTs gene이 황체형성 단계에서 발현되는 양상과 황체주기에 따른 세포의 변화도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1. 황체의 생성에서부터 퇴행까지 조직학적 분석을 한 결과 황체의 생성시기에는 세포질이 적고, 핵들이 서로 융합되어 있었으나 유지기로 넘어가면서 세포질의 거대화와 핵의 분화도가 확연하게 형성되어지고 있었다. 이 시기부터 모세혈관의 생성과 더불어 침체기로 접어들면서 세포들의 사멸을 확인하였다.

      2. 황체 5일째에 나타난 ESTs Gene를 찾아 BLAST에서 분석한 결과 Bos Microtubule유전자로 확인되었다.

      3. 위의 정보를 통해 혈관 생성에 관련한 Grows Factor인 VEGF의 유전자를 상호관계 유전자로 선택하고, 세포 사멸사에 관련한 대립유전자로 TNFR1을 선택하여 상호 발현양상을 분석한 결과 Microtubule와 VEGF 같은 Pattern을 보임으로 세포활성에 영향을 주는 Microtubule의 형성이 VEGF의 발현양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사료된다.

      4. TNFR1과의 분석양상을 비교한 결과 Microtubule과 VEGF가 활성화는 동안에는 발현의 양이 적었으며 퇴행기 단계인 CL2~CL1으로 갈수록 발현양상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미루어 황체의 단계별 세포변화도에 Microtubule가 세포의 영향을 주어 혈관형성 유전자 외 Grows Factor 등의 유전자와 상호 작용을 하며 세포의 영양의 공급 및 활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 List of Table = ⅰ
      • List of Figure = ii
      • Ⅰ. 서 론 = 1
      • 목 차
      • ABSTRACT
      • List of Table = ⅰ
      • List of Figure = ii
      • Ⅰ. 서 론 = 1
      • Ⅱ. 연구사 = 3
      • 1. 황체의 역할 및 기능 = 3
      • 2. ESTs의 분석 동향 = 3
      • 3. Microtubule의 역할과 기능 = 4
      • 4. VEGF의 기능 = 5
      • 5. TNF의 기능 = 6
      • Ⅲ. 재료 및 방법 = 7
      • 1. EST 분석 = 7
      • 2. 난소로부터 황체 분리 = 9
      • 3. RNA extreation = 11
      • 4. cDNA Isolation = 11
      • 5. cDNA 정제 = 12
      • 6. SQ-RT PCR ( semiquantitative ) = 12
      • 7. Gene Cloning = 16
      • 8. Sequence Analysis = 16
      • 9. Real - time PCR = 17
      • 10. Southern Blot Hybridization = 18
      • 11. Hematoxylin & Eosin stein = 19
      • Ⅳ. 연구결과 = 22
      • 1. 황체 5-Day ESTs Gene의 Sequence정보와 Microtubule와의 Identity = 22
      • 2. 황체단계별 세포의 변화 = 26
      • 3. 황체 단계별 Microtubule과 VEGF, TNFR1의 발현양과 양상 = 29
      • 4. Real Time-PCR을 통한 발현 양상 = 31
      • 5.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이용한 ESTs gene과 VEGF와의 발현 = 33
      • Ⅴ. 적요 = 35
      • Ⅵ. 참고문헌 = 37
      • 감사의 글 = 4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