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洛神賦圖: 전통의 形塑와 發展 = The Goddess of the Luo River: The Shaping of a Tra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167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 역사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이미지를 꼽자면, 曹植이 지은 詩篇 『洛神賦』에 王獻之의 書法과 顧愷之의 회화가 결합한 예술형식이 가장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후세에 전승되는 과정에서 각각 세 개의 형식이 서로 유기적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창작자와 감상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여타 현상을 일깨워 주고 있다. 따라서 창작품이란 시대에 따른 새로운 해석을 의미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에 일어날 재해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먼저 12세기 당시 〈낙신부〉의 전통을 재현시키고자 기획한 노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송 휘종은 왕헌지가 쓴〈洛神十三行〉을 石刻으로 전하고 있고, 아울러 친히 臨寫하여 만천하에 알리고 있다. 현존하는 세 개 본 중 가장 오래된 〈洛神賦圖卷〉은 고개지의 손에서 나왔다고 하지만 이 또한 송대 궁정에서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낙신십삼행〉에서 표현된 文雅한 세계와 달리 그림은 일종의 오래된 도상과 함께 당시의 奇想적인 분위기가 혼합되어 재현된 것이다. 이는 12세기의 그림을 기초로 한 것이라고 한다면, 14세기 衛九鼎과 倪瓚이 함께 만들어낸 낙신은 또 다른 종류의 絶俗적인 여신에 초점을 맞춰 새롭게 해석한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형상은 16세기 蘇州에서 고도로 상업화된 사회 속에서 또 다시 仇英의 필 아래 嬌媚한 美人으로 변하게 된다. 18세기에 들어와 乾隆帝가 이 그림을 수장한 후 改裝은 계속되었고, 아울러 궁정화가 丁觀鵬은 황제의 명령에 따라 改修와 摹本 작업을 이루어 내었다. 〈낙선부도〉를 역사 발전의 원점으로 돌려놓는 황제의 이러한 행위는 ‘主題傳統’이라는 범례로 볼 수 있는데, 이는 ‘大家傳統’과 비교해서 中國畵史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번역하기

      중국 역사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이미지를 꼽자면, 曹植이 지은 詩篇 『洛神賦』에 王獻之의 書法과 顧愷之의 회화가 결합한 예술형식이 가장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

      중국 역사에서 가장 오랫동안 사랑받아 온 이미지를 꼽자면, 曹植이 지은 詩篇 『洛神賦』에 王獻之의 書法과 顧愷之의 회화가 결합한 예술형식이 가장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은 후세에 전승되는 과정에서 각각 세 개의 형식이 서로 유기적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어 창작자와 감상자와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여타 현상을 일깨워 주고 있다. 따라서 창작품이란 시대에 따른 새로운 해석을 의미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다음 세대에 일어날 재해석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본문에서는 먼저 12세기 당시 〈낙신부〉의 전통을 재현시키고자 기획한 노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송 휘종은 왕헌지가 쓴〈洛神十三行〉을 石刻으로 전하고 있고, 아울러 친히 臨寫하여 만천하에 알리고 있다. 현존하는 세 개 본 중 가장 오래된 〈洛神賦圖卷〉은 고개지의 손에서 나왔다고 하지만 이 또한 송대 궁정에서 제작된 것이다. 그러나 〈낙신십삼행〉에서 표현된 文雅한 세계와 달리 그림은 일종의 오래된 도상과 함께 당시의 奇想적인 분위기가 혼합되어 재현된 것이다. 이는 12세기의 그림을 기초로 한 것이라고 한다면, 14세기 衛九鼎과 倪瓚이 함께 만들어낸 낙신은 또 다른 종류의 絶俗적인 여신에 초점을 맞춰 새롭게 해석한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형상은 16세기 蘇州에서 고도로 상업화된 사회 속에서 또 다시 仇英의 필 아래 嬌媚한 美人으로 변하게 된다. 18세기에 들어와 乾隆帝가 이 그림을 수장한 후 改裝은 계속되었고, 아울러 궁정화가 丁觀鵬은 황제의 명령에 따라 改修와 摹本 작업을 이루어 내었다. 〈낙선부도〉를 역사 발전의 원점으로 돌려놓는 황제의 이러한 행위는 ‘主題傳統’이라는 범례로 볼 수 있는데, 이는 ‘大家傳統’과 비교해서 中國畵史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one of the most popular female figure image in the Chinese art history, "Luoshen" not only refers to Cao Zhi's poem, but also includes Wang Xianzhi's calligraphic and Gu Kaizhi's pictorial creations inspired by the poem. Numerous works have been created through responding to this collective image, each representing a distinctive interpretation of its own time, and serving as the foundation for future re-interpretations.
      This paper stasts with a discussion of efforts trying to reestablish the "Luoshen" tradition in the 12th century. Besides Emperor Huitsong's enfraving Wang Xianzhi's "Luoshen" on a stele, Song court painters' recreating Gu Kaizhi's illustration is also remarkable. Their "Luoshenfu tu", judging from the three versions still extant today, reveals an emphasis on fantastic elements of the text and a preference on applying their own inagination to create archaic images. Unlike the 12th century interpretation, Wei Jiudong and Ni Tsan from the chaotic 14th century collaboratively represented the "Luoshen" as a purified, idealized goddess, while Qiu yin from Suzhou of the 16th century transformed the goddess into a secula beauty responding to the taste of its highly commercialized society. When "Luoshenfu tu" entered the imperial collection in the 18th century, Emperor Qianlong not only had it assertively remounted, but also commissioned his court painter Ding Guanpeng to make a "copy", but following his revisionist directions. Its result is a demonstration of the emperor's dominant attitude toward d1e past "Luoshen" traditi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uoshen" can also be considered as one the best examples representing the shaping process of the "thematic tradition". Compared with the "master tradition", the "thematic tradition" very often plays a more Significant role in d1e painting history of China.
      번역하기

      As one of the most popular female figure image in the Chinese art history, "Luoshen" not only refers to Cao Zhi's poem, but also includes Wang Xianzhi's calligraphic and Gu Kaizhi's pictorial creations inspired by the poem. Numerous works have been cr...

      As one of the most popular female figure image in the Chinese art history, "Luoshen" not only refers to Cao Zhi's poem, but also includes Wang Xianzhi's calligraphic and Gu Kaizhi's pictorial creations inspired by the poem. Numerous works have been created through responding to this collective image, each representing a distinctive interpretation of its own time, and serving as the foundation for future re-interpretations.
      This paper stasts with a discussion of efforts trying to reestablish the "Luoshen" tradition in the 12th century. Besides Emperor Huitsong's enfraving Wang Xianzhi's "Luoshen" on a stele, Song court painters' recreating Gu Kaizhi's illustration is also remarkable. Their "Luoshenfu tu", judging from the three versions still extant today, reveals an emphasis on fantastic elements of the text and a preference on applying their own inagination to create archaic images. Unlike the 12th century interpretation, Wei Jiudong and Ni Tsan from the chaotic 14th century collaboratively represented the "Luoshen" as a purified, idealized goddess, while Qiu yin from Suzhou of the 16th century transformed the goddess into a secula beauty responding to the taste of its highly commercialized society. When "Luoshenfu tu" entered the imperial collection in the 18th century, Emperor Qianlong not only had it assertively remounted, but also commissioned his court painter Ding Guanpeng to make a "copy", but following his revisionist directions. Its result is a demonstration of the emperor's dominant attitude toward d1e past "Luoshen" traditio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Luoshen" can also be considered as one the best examples representing the shaping process of the "thematic tradition". Compared with the "master tradition", the "thematic tradition" very often plays a more Significant role in d1e painting history of Chin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왜〈낙신부도〉인가?
      • Ⅱ. 12세기〈낙신부〉이미지
      • Ⅲ. 14세기의 해석
      • Ⅳ. 仇英의 美人에서 乾隆帝의 〈洛神賦圖〉까지
      • Ⅴ. 맺음말
      • Ⅰ. 왜〈낙신부도〉인가?
      • Ⅱ. 12세기〈낙신부〉이미지
      • Ⅲ. 14세기의 해석
      • Ⅳ. 仇英의 美人에서 乾隆帝의 〈洛神賦圖〉까지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