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활동 이론(Activity Theory)에 근거한 중등교육실습 운영 분석 :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입장에서 = An Activity Theoretical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n Teaching Practicum in Second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5367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education is performed through specific meeting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when the education is started, processed and further completed. In training such an important teacher, teaching practicum has so much special meaning that it is called the flower of the preliminary teacher curriculum. However, most of the scholars say that the current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is not sufficiently meaningful in terms of the opera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value. This research, therefore, was intended to present solu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eaching practicum by exposing the perceptions and contradictions of the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among practicum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ll related.
      The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activity system of teaching practicum in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desirable structure and the actual implement of teaching practicum?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solutions for overcoming the contradictions?
      This study has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framework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from Engeström's third-generation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each subject in relation to the teaching practicum.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practical school teachers, professors and officials of education colleges, supervisors and researchers at the education office from May to September 2019, an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analysis method, which is the typical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med the activity systems of the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for the teaching practicum, and revealed the common primary and secondary contradictions within and among each subject, including the tertiary and quaternary contradictions for some of them.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commonly had a "know-you" attitude and unsubstantial collaboration as primary contradiction. In this regard, the rules concerning teaching practicum were unclear, and division of labor was abnormally conducted, causing secondary contradictions. There were subsequent contradictions such as ‘a wide variety of guidance’ at schools, ‘the neglect of teaching practicum’ at colleges, ‘limits of indirect and documentary support’ at administrative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of each subject toward other subjects were aggregated to suggest comprehensive measure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such a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acticum, organizing and operating a transcendent consultative body, establishing a system of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 colleges and practical schools, and improving the teaching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mprovement in teaching practicum requires more concrete effort from not just a single institution, but overall systemic cooperation. It also suggests that the leading role of the administrative body in improving the teaching practicum is needed, and furthermore, we can see the requirements for need analysis to be conducted in colleges of education.
      번역하기

      Since education is performed through specific meeting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when the education is started, processed and further completed. In training such an important teacher, teaching practicum has so ...

      Since education is performed through specific meetings wi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s would play a significant role when the education is started, processed and further completed. In training such an important teacher, teaching practicum has so much special meaning that it is called the flower of the preliminary teacher curriculum. However, most of the scholars say that the current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is not sufficiently meaningful in terms of the operation compared to its importance and value. This research, therefore, was intended to present solutions for the effective operation of teaching practicum by exposing the perceptions and contradictions of the secondary teaching practicum among practicum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all related.
      The research issu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activity system of teaching practicum in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contradictions between the desirable structure and the actual implement of teaching practicum?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solutions for overcoming the contradictions?
      This study has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using the framework of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from Engeström's third-generation to identify the perceptions of each subject in relation to the teaching practicum.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ing practical school teachers, professors and officials of education colleges, supervisors and researchers at the education office from May to September 2019, and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the inductive analysis method, which is the typical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o derive the results of the study.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ormed the activity systems of the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for the teaching practicum, and revealed the common primary and secondary contradictions within and among each subject, including the tertiary and quaternary contradictions for some of them. Practical schools, colleges of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stitutions commonly had a "know-you" attitude and unsubstantial collaboration as primary contradiction. In this regard, the rules concerning teaching practicum were unclear, and division of labor was abnormally conducted, causing secondary contradictions. There were subsequent contradictions such as ‘a wide variety of guidance’ at schools, ‘the neglect of teaching practicum’ at colleges, ‘limits of indirect and documentary support’ at administrative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requirements of each subject toward other subjects were aggregated to suggest comprehensive measures to overcome the contradictions such a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eaching practicum, organizing and operating a transcendent consultative body, establishing a system of ‘collaboration’ between education colleges and practical schools, and improving the teaching curriculum of education colle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improvement in teaching practicum requires more concrete effort from not just a single institution, but overall systemic cooperation. It also suggests that the leading role of the administrative body in improving the teaching practicum is needed, and furthermore, we can see the requirements for need analysis to be conducted in colleges of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교육은 교사와 학생과의 교사와 학생과의 구체적인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교사는 교육이 시작되고 진행되어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중요한 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 교육실습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꽃’이라고 불릴 만큼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중등 교육실습은 그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운영적인 측면에 있어 충분히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인식 및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에서는 교생실습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교육실습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한 구조와 현실과의 모순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모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각 주체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Engeström의 제3세대 문화역사 활동이론의 틀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2019년 5월부터 9월까지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지도교사, 사범대 교수 및 업무 관계자, 교육청 장학사 및 연구사를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질적 연구의 전형적 분석 방법인 귀납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활동체제를 구성하였으며, 종합적인 교육실습 활동체제와 이들을 비교하여 공통 1차, 2차 모순 및 각 주체별로 가지는 모순점들을 드러냈다.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은 공통적으로 ‘알아서 하세요’식의 방임적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허울뿐인 협력 관계를 지니는 공통 1차 모순을 갖고 있었다. 이와 관련해 교육실습과 관련한 규칙은 불명확했고, 분업은 비정상적으로 실시되어 2차 모순을 발생하고 있었다. 실습지도학교에서는 ‘천차만별의 지도’, 사범대에서는 ‘교육실습 방임’, 행정기관에서는 ‘간접적, 문서적 지원의 한계’ 등의 모순점들을 갖고 있었다. 이후 각 주체별로 서로에게 가지는 요구사항들을 종합하여 모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실습의 중요성 인식, 초월적 공동협의체 조직 및 운영, 사범대-실습학교 간 ‘공동 협력’ 체계 구축, 사범대 교육과정의 실질적 개선 등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실습의 개선을 위해서는 한 기관이 아닌 전체적인 시스템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실습의 개선에 있어서 행정기관의 주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며, 나아가서는 사범대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교육은 교사와 학생과의 교사와 학생과의 구체적인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교사는 교육이 시작되고 진행되어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교육은 교사와 학생과의 교사와 학생과의 구체적인 만남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교사는 교육이 시작되고 진행되어 마무리되는 시점까지 중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존재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중요한 교사를 양성하는데 있어 교육실습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꽃’이라고 불릴 만큼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러나 현재의 중등 교육실습은 그 중요성과 가치에 비해 운영적인 측면에 있어 충분히 의미를 살리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대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인식 및 모순을 드러냄으로써 교육실습이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에서는 교생실습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연구문제 2. 교육실습이 원활히 운영되기 위한 구조와 현실과의 모순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모순점을 극복하기 위한 해결책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교육실습과 관련한 각 주체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Engeström의 제3세대 문화역사 활동이론의 틀을 활용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2019년 5월부터 9월까지 교육실습과 관련한 실습학교 지도교사, 사범대 교수 및 업무 관계자, 교육청 장학사 및 연구사를 면담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질적 연구의 전형적 분석 방법인 귀납적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실습에 대한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의 활동체제를 구성하였으며, 종합적인 교육실습 활동체제와 이들을 비교하여 공통 1차, 2차 모순 및 각 주체별로 가지는 모순점들을 드러냈다.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은 공통적으로 ‘알아서 하세요’식의 방임적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허울뿐인 협력 관계를 지니는 공통 1차 모순을 갖고 있었다. 이와 관련해 교육실습과 관련한 규칙은 불명확했고, 분업은 비정상적으로 실시되어 2차 모순을 발생하고 있었다. 실습지도학교에서는 ‘천차만별의 지도’, 사범대에서는 ‘교육실습 방임’, 행정기관에서는 ‘간접적, 문서적 지원의 한계’ 등의 모순점들을 갖고 있었다. 이후 각 주체별로 서로에게 가지는 요구사항들을 종합하여 모순점을 극복할 수 있는 교육실습의 중요성 인식, 초월적 공동협의체 조직 및 운영, 사범대-실습학교 간 ‘공동 협력’ 체계 구축, 사범대 교육과정의 실질적 개선 등의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교육실습의 개선을 위해서는 한 기관이 아닌 전체적인 시스템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육실습의 개선에 있어서 행정기관의 주도적인 역할이 필요하며, 나아가서는 사범대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분석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가. 중등 교육실습 7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3. 용어의 정의 7
      • 가. 중등 교육실습 7
      • 나. 활동이론 7
      • Ⅱ. 이론적 배경 8
      • 1. 중등 교육실습 8
      • 가. 중등 교육실습의 소개 8
      • 나. 중등 교육실습에 대한 시도교육청 현황 13
      • 1) 중등 교육실습 업무 지원 13
      • 2) 가산점 부여 14
      • 다. 중등 교육실습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16
      • 라. 선행연구 고찰 23
      • 1) 교육실습의 현황 및 인식 23
      • 2) 개선 방안의 종합 26
      • 3) 이미 개발 된 실습 매뉴얼 27
      • 2. 활동 이론 30
      • 가. 활동이론의 발전과 가정 30
      • 1) 제 1세대 활동이론과 활동체계 30
      • 2) 제 2세대 활동이론과 활동의 위계적 구조 31
      • 3) 제 3세대 활동이론과 근본 원칙 35
      • 나. 활동체제의 구성요소 39
      • 다. 활동체제와 하위체제 41
      • 라. 활동체제에서의 모순 43
      • Ⅲ. 연구 방법 47
      • 1. 연구 대상의 선정 47
      • 가. 실습학교 실습지도교사 및 연구부장 48
      • 나. 사범대 실습지도교수 및 실습 업무 담당자 49
      • 다. 시도교육청 교육실습 담당 장학사 및 연구사 50
      • 라. 사범대 4학년 재학생 50
      • 2. 연구 도구 51
      • 3. 자료 수집 53
      • 가. 교육실습 관련 주체와의 심층 면담 54
      • 나. 교육실습 관련 문서 54
      • 다. 연구자 일지 55
      • 4. 자료 분석 55
      • 가. 분석 방법 55
      • 나. 분석 절차 56
      • 다. 타당성 확보 전략 57
      • 라. 연구 윤리 58
      • 마. 연구자의 주관성 59
      • Ⅳ. 연구 결과 60
      • 1. 연구문제 1 :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 사범대학생의 교육실습 활동체제 60
      • 가. 실습지도교사 입장에서의 교육실습 인식 61
      • 1) 제각각 실습지도 61
      • 2) 귀찮은 교육실습 63
      • 나. 사범대 입장에서의 교육실습 인식 65
      • 1) 위탁 보내는 난처한 담임 선생님 65
      • 2) 누구의 업무도 아닌 교육실습 67
      • 다. 행정기관 입장에서의 교육실습 인식 70
      • 1) 지침을 근거삼은 방패막이 70
      • 2) 교육청마다 다른 교육실습 72
      • 라. 사범대학생 입장에서의 교육실습 인식 74
      • 1) 복불복 지도 75
      • 2) 현장 위주, 실습 위주의 사범대 교육 요구 76
      • 2. 연구문제 2 : 교육실습 활동체제 간의 모순 78
      • 가. 교육실습 협력 활동체제의 종합 78
      • 나. 현행 교육실습 활동체제의 모순 관계 82
      • 1) 공통 1차 & 2차 모순 82
      • 2) 실습지도교사 모순 - 천차만별의 지도 90
      • 3) 사범대 내 모순 - 교육실습 방임 92
      • 4) 행정기관 내 모순 - 간접적, 문서적 지원의 한계 94
      • 3. 연구문제 3 : 모순점 극복 방안 99
      • 가. 교육실습 중요성 인식 100
      • 나. 초월적 공동협의체 조직 101
      • 다. 사범대-실습학교 공동 협력관계 형성 106
      • 라. 사범대 교육과정의 실질적 개선 110
      • Ⅴ. 논의 112
      • 1. 실습학교, 사범대, 행정기관, 사범대학생의 교육실습 인식 112
      • 가. 실습지도교사 입장에서의 교육실습 인식 112
      • 나. 사범대 입장에서의 교육실습 인식 113
      • 다. 행정기관 입장에서의 교육실습 인식 115
      • 라. 사범대학생 입장에서의 교육실습 인식 116
      • 2. 교육실습 활동체제 간의 모순 118
      • 3. 모순점 극복 방안 123
      • Ⅵ.결론 및 제언 129
      • 1. 요약 129
      • 2. 시사점 130
      • 3. 제언 132
      • 참고문헌 135
      • ABSTRACT 1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