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어폰 사용 실태와 건강 문제를 파악하여 청각보건교육 프 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경상남 도 I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955198
2013
Korean
359
학술저널
17-25(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어폰 사용 실태와 건강 문제를 파악하여 청각보건교육 프 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경상남 도 I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어폰 사용 실태와 건강 문제를 파악하여 청각보건교육 프 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경상남 도 I 대학생 180명으로, 이어폰 사용과 관련된 건강 문제를 파악하기 위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음악청취 시 87.8%가 이어폰을 사용하였으며, 이어폰 종류는 69.4%가 커널형이라고 응답하였다. 하루 사용시간은 1시간 이상인 경우가 66%, 이어폰 음량을 최대 volume 15라고 보았을 때 10이상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34.4%를 차지하였다. 이어폰 사용으 로 인한 건강 문제에서는 난청과 관련하여 진료가 필요한 경우가 57.8%를 차지하였으며, 69.4%는 이명, 64.4%는 두통 및 이통, 83.3%는 염증, 60.6%는 주의력 저하, 58.9%는 불안감 등을 호소하였다. 대학생의 이어폰 사용으로 인한 건강 문제 중 특히 난청은 개인의 삶의 질 뿐만 아니라, 장래 직업을 선택하는데 있어 제한이 될 수 있기에 본 연구를 통해 드러난 건 강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어폰 사용과 관련하여 적절한 가이드라인과, 난 청 예방 및 조기발견을 위한 청각보건교육을 마련하여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내러티브 면담을 통해 본 산재근로자의 행동유형 및 심리상담 요구
지역 보건의료 서비스 개선을 위한 보건소 기능 재정립에 관한 실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