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슬기와 민 - 페리지 060421~170513’ 전시의 탈근대적 아카이브 특징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a Post-modern Archival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Sulki & Min - Perigee 060421~17051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56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미학적 시각으로 슬기와 민의전시 ‘슬기와 민 - 페리지 060421~170513’이 가지고 있는 탈근대적 아카이브를 문헌 조사를 통해 연구했다. 아카이브의 근대성은 ...

      이 연구에서는 아카이브에 대한 미학적 시각으로 슬기와 민의전시 ‘슬기와 민 - 페리지 060421~170513’이 가지고 있는 탈근대적 아카이브를 문헌 조사를 통해 연구했다. 아카이브의 근대성은 객관성, 역사성, 가치 중립성 등으로 나타난다. 할 포스터와 스벤 스피커는 아카이브 아트를 통해 아카이브의 불완전함을 드러내는 탈근대적 아카이브를 제시한다. 자크 데리다는 아카이브의 태생적인 죽음 충동을 지적하며, 자기 보존과 파괴라는 모순적 욕망이 동시에 존재함을 강조한다. 슬기와 민의 전시는 아카이브의 근대성과 함께 탈근대적 특징을 함께 가진다. 또한 이 전시는 과거에 대한 기록과 이미지들이 자기 파괴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데리다의 아카이브에 대한 인식을 시각적으로 구현한다. 이를 위해 작가는 불충분한 시각정보를 관객에게 의도적으로 제공하며, 흐려짐이라는 시각 표현으로 떠올리려 할수록 떠오르지 않는 기억을 드러낸다. 또한 이 탈근대적 접근을 통해 작가 스스로도 디자이너와 예술가라는 경계에서 유령적 지위를 취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hesis is mainly focused on the aesthetic perspective on design archives, and the post-modern archives that can be found at the exhibition ‘Sulki & Min - Perigee 060421 ~170513’ is the main object of the study. The modernity of the archive is ...

      The thesis is mainly focused on the aesthetic perspective on design archives, and the post-modern archives that can be found at the exhibition ‘Sulki & Min - Perigee 060421 ~170513’ is the main object of the study. The modernity of the archive is represented by objectivity, historicality, and value neutrality. Hal Foster and Sven Spieker analysis the characteristics of a post-modern archive that reveals the incompleteness of the archive through examples of an archive art. Jacques Derrida claims that the archive has self-destructive desire as known as a death drive, and it is a ghostly space where contradictory desires for self-preservation and destruction exist simultaneously. Sulki & Min's exhibition has the characteristics of archive art in that it has features of post-modern archives as well as features of modern archives. In addition, this exhibition visually embodies Derrida's perception on archive that records and images of the past have self-destructive desire. To this end, the designer duo intentionally provides insufficient, literally blurry visual information to the audience that shows the ambiguousness of memories. In addition, through this post-modern approach, the designers themselves becomes a spectre wandering at the border between design and ar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향숙, "현대 미술에 투영된 아카이브의 아포리아(aporia): 게하르트 리히터의 <아틀라스>" 한국미술이론학회 (11) : 101-120, 2011

      2 "페리지 갤러리"

      3 최성민, "작품설명" 스펙터 프레스 2017

      4 조선령, "아카이브와 죽음충동: 데리다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한국미학예술학회 49 : 3-28, 2016

      5 이경래, "아카이브 아트의 기록학적 함의"

      6 문정현, "슬기와 민의 단명자료 분석: This is not a Pipe Poster" 2019

      7 "슬기와 민"

      8 스벤 스피커, "빅 아카이브: 마르셀 뒤샹부터 소피 칼까지, 요식주의에서 비롯된 20세기 예술" 홍디자인 2013

      9 롤랑 바르트, "밝은 방" 동문선 2006

      10 김경주, "디자인 프로세스를 이용한 시각 표현 연구: 아카이브를 활용한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5

      1 김향숙, "현대 미술에 투영된 아카이브의 아포리아(aporia): 게하르트 리히터의 <아틀라스>" 한국미술이론학회 (11) : 101-120, 2011

      2 "페리지 갤러리"

      3 최성민, "작품설명" 스펙터 프레스 2017

      4 조선령, "아카이브와 죽음충동: 데리다와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한국미학예술학회 49 : 3-28, 2016

      5 이경래, "아카이브 아트의 기록학적 함의"

      6 문정현, "슬기와 민의 단명자료 분석: This is not a Pipe Poster" 2019

      7 "슬기와 민"

      8 스벤 스피커, "빅 아카이브: 마르셀 뒤샹부터 소피 칼까지, 요식주의에서 비롯된 20세기 예술" 홍디자인 2013

      9 롤랑 바르트, "밝은 방" 동문선 2006

      10 김경주, "디자인 프로세스를 이용한 시각 표현 연구: 아카이브를 활용한 작품제작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2015

      11 핼 포스터, "강박적 아름다움" 아트북스 2018

      12 Derrida, Jacques, "Archive Fever: A Freudian Impressi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13 Foster, Hal, "An Archival Impulse" 110 : 2004

      14 최성민, "(불공평하고 불완전한) 네덜란드 디자인 여행" 안그라픽스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계속평가)
      202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20-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