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An Investigation of Practical Retraining Needs and Significance for Estheticians Kwon, Ji Hye Dept. of Beauty Arts,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93404
서울 :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8
학위논문 (석사) --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 미용예술학과 피부미용전공 , 2018
2018
한국어
646.726 판사항(23)
서울
89 p. ; 26 cm.
I804:11015-20000000424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An Investigation of Practical Retraining Needs and Significance for Estheticians Kwon, Ji Hye Dept. of Beauty Arts, ...
ABSTRACT
An Investigation of Practical Retraining Needs
and Significance for Estheticians
Kwon, Ji Hye
Dept. of Beauty Arts,
Major in Esthetic
The Graduate School of
SeoKyeong University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training of estheticians by categorizing in two groups of those estheticians in hospitals and general estheticians according to their work places in order to provide the basis for retraining program designing by understanding the needs and significance of the training they want. A survey was conducted on Estheticians from twenties to fifties working at a skin care shop in Seoul and Gyeonggi-do from May 10 to June 26, 2016.
Collected data is being proces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obtain frequency analysis, cross-correlation analysis, and statistical hypothesis test (t-test) using SPSS WIN 21.0 program.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general statistics of target group described that 406(98.3%) females, 257(62.2%) in their twenties, 221(53.5%) graduated two-year vocational colleges, 206(49.9%) work at shops in hospitals, 111(26.9%) work at private shops, 83(20.1%) work at franchised shops and 13(3.1%) work at shops in hotels and resorts.
Secondly, the survey on retraining status differences of estheticians shows 42 persons(37.8%) at private beauty shops answered that the retraining is done by staff managers and shop managers while 33 persons(39.8%) at franchised shops answered that it is performed by staff, shop managers, and retraining managers.
For those from shops in hospitals, 62(30.1%) by staff, shop managers and comparably high 61(29.6%) by retraining managers while 58(28.2%) answered that the retraining is provided by beauty product companies to show the difference.
Commonly performed retraining consist of technical training (81 persons, 39.3%) and beauty knowledge education (63 persons, 30.6%) at shops in hospitals. Meanwhile, in general shops 65(58.6%) of private shops, 64(77.1%) of franchise shops, 7(63.6%) of shops in hotels and resorts answered that technical training is mostly performed, however, 15(13.5%) of private shops, 8(9.6%) of franchise shops answered beauty knowledge education is mostly done.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general estheticians can achieve the balance between technical aspects and knowledge aspects by activating the retraining programs of beauty knowledge educations which were to be performed with relatively low proportions.
Third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aspects required to perform facial care at shops in hospitals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of acne’ (M=4.15), ‘Knowledge of effectiveness and usage of tools’ (M=4.04), ‘Knowledge of treatment and laser post-processing’ (M=3.96) in order while needs of retraining on ‘Knowledge of acne’ (M=4.08), ‘Knowledge of effectiveness and usage of tools’ (M=3.92), ‘Knowledge of treatment and laser post-processing’ (M=3.87) in order.
Four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cal aspects required to perform facial care at shops in hospitals showed that both significance and needs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acne extrusion and management’ (M=4.22), ‘Techniques of treatment and laser post-processing’ (M=4.03), ‘Techniques of adequate tool usage for types of skin’ (M=4.03) in order.
Fif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customer and shop management at shops in hospitals showed that both significance and needs of retraining on ‘Education to improve consultation skills’ (M=3.99), ‘Customer service training’ (M=3.96), ‘Manners and personality education’ (M=3.84) in order. Such results indicate that the growing of medical skin care at beauty skin care market lead to appreciate the importance of consulting skills and service skills on their work domain.
Six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aspects required to perform facial care by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for accurate analysis of skin’ (M=4.21), ‘Knowledge of adequate management methods for skin types and product usage’ (M=4.14), ‘Knowledge of ingredients in cosmetic products’ (M=4.10) in order while needs of retraining on ‘Knowledge for accurate analysis of skin’ (M=4.02), ‘Knowledge of skin physiology and structure’ (M=3.95), ‘Knowledge of adequate management methods for skin types and product usage’ (M=3.92) in order.
Six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cal aspects required to perform facial care by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the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adequate methods for acne management’ (M=4.14), ‘Techniques of adequate hand skills for facial outline management’ (M=4.10) in order while needs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combining new hand skills to personal skills’ (M=4.06), ‘Techniques of adequate methods for acne management’ (M=3.97), ‘Techniques of adequate hand skills for facial outline management’ (M=3.94) in order.
Eigh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knowledge aspects required to perform body care by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both significance and needs of retraining on ‘Knowledge of muscles and anatomic physiology’ (M=4.10), ‘Knowledge of adequate management methods for body types’ (M=4.04), ‘Knowledge of massage principles and beauty factors’ (M=4.02) in order.
Nin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cal aspects required to perform body care by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hand skills for antepartum and postpartum care’ (M=4.22), ‘Techniques of adequate hand skills for slimming management’ (M=4.22), ‘Techniques of combining new hand skills to personal skills’ (M=4.20) in order while needs of retraining on ‘Techniques of hand skills for antepartum and postpartum care’ (M=4.09), ‘Techniques of combining new hand skills to personal skills’ (M=4.07), ‘Techniques of adequate hand skills for slimming management’ (M=4.02) in order.
Tenthly, analysis of differences between needs and significance of retraining on customer and shop management for general estheticians showed that both significance and needs of retraining on ‘Education to improve consultation skills’ (M=4.23), ‘Trainings for smooth communications with customers’ (M=4.20), ‘Customer service training’ (M=4.13) in order.
As a result, when conducting a retraining programs for estheticians, the programs are required to be activated and systematically designed with more diversity and depth by understanding of significance and needs of general estheticians and estheticians hospitals with in order to lead the trainings to improve the quality of individuals and success of beauty care shops to further develop domestic skin care market.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를 근무지에 따라 병원 내 피부미용사와 일반피부미용사로 분류하여 그들의 실무재교육 실태가 어떠한지 파악하고 그들이 원하는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를 파악...
본 연구는 피부미용사를 근무지에 따라 병원 내 피부미용사와 일반피부미용사로 분류하여 그들의 실무재교육 실태가 어떠한지 파악하고 그들이 원하는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를 파악하여 피부미용 재교육 프로그램의 설계 및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2016년 5월 10일부터 6월 21일까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피부관리실에서 근무하고 있는 20대에서 50대의 피부미용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회수된 420부 설문지 중 무응답이 있거나 응답이 불성실한 설문지 7부를 제외한 41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결과 성별은 406명(98.3)이 여성이었고, 연령은 20대가 257명(62.2%), 학력은 전문대 졸업이 221명(53.5%)이였으며 현재 근무지는 병원 내 피부관리실 206명(49.9%), 개인 피부관리실 111명(26.9%), 프랜차이즈 피부관리실 83명(20.1%), 호텔 및 리조트 내 피부관리실 13명(3.1%)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피부미용사의 실무재교육 실태 차이 조사결과 개인 피부관리실은 42명(37.8%)이 실장 및 점장이 재교육을 담당한다고 하였고 프랜차이즈 피부관리실은 33명(39.8%)이 동일하게 실장과 점장, 그리고 교육 담당자가 실무재교육을 담당한다고 응답하였다. 병원 내 피부관리실은 실장 및 점장이 62명(30.1%), 교육담당자가 61명(29.6%)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지만 제품회사가 재교육을 담당한다고 58명(28.2%)이 응답하여 차이를 보였다. 많이 실시하는 실무재교육 내용으로 병원 내 피부관리실은 기술교육이 81명(39.3%), 피부지식 교육이 63명(30.6%)으로 기술교육과 더불어 피부지식 교육의 비중도 높게 나왔지만 일반 피부관리실의 경우 개인 피부관리실 65명(58.6%), 프랜차이즈 피부관리실 64명(77.1%), 호텔 및 리조트 내 피부관리실 7명(63.6%)이 기술교육을 많이 실시한다고 하였고, 개인 피부관리실 15명(13.5%), 프랜차이즈 피부관리실 8명(9.6%)이 피부지식 교육을 많이 실시한다고 응답하여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일반 피부미용사의 비교적 낮은 비중의 피부지식 향상을 위한 실무재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일반 피부미용사의 기술적 측면과 지식적 측면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셋째, 병원 내 피부미용사의 페이스관리 시 필요한 지식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는 ‘여드름에 대한 지식’(M=4.15), ‘기기 사용법 및 효능에 대한 지식’(M=4.04), ‘시술 및 레이저 후처리에 대한 지식'(M=3.96) 순으로 나타났으며 실무재교육 요구도는 ‘여드름에 대한 지식’(M=4.08), ‘기기 사용법 및 효능에 대한 지식’(M=3.92), ‘시술 및 레이저의 원리와 효능에 대한 지식'(M=3.87)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병원 내 피부미용사의 페이스관리 시 필요한 기술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는 ‘여드름 압출과 관리에 대한 기술’(M=4.22), ‘시술 및 레이저 후처리에 대한 기술’(M=4.03), ‘피부유형별 알맞은 적절한 기기사용의 기술'(M=4.0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병원 내 피부미용사의 고객 및 운영관리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는 ‘상담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M=3.99), ‘서비스 교육’(M=3.96), ‘인성 및 예절을 위한 교육'(M=3.8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피부미용 시장의 메디컬 스킨케어 분야가 커짐에 따라 병원 내 피부미용사의 직무영역이 상담능력과 서비스 능력까지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여섯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페이스관리 시 필요한 지식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는 ‘정확한 피부분석을 위한 지식’(M=4.21), ‘피부유형별 알맞은 관리방법 및 제품 사용에 대한 지식'(M=4.14), ‘화장품 성분에 대한 지식'(M=4.10)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무재교육 요구도는 ‘정확한 피부분석을 위한 지식’(M=4.02), ‘피부생리 및 구조에 대한 지식'(M=3.95), ‘피부유형별 알맞은 관리방법 및 제품 사용에 대한 지식'(M=3.9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일곱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페이스관리 시 필요한 기술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는 ‘여드름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관리방법의 기술’(M=4.14), ‘윤곽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12), ‘본인의 수기테크닉에 새로운 테크닉을 접목 시키는 기술'(M=4.1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무재교육 요구도는 ‘본인의 수기테크닉에 새로운 테크닉을 접목 시키는 기술’(M=4.06), ‘여드름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관리방법의 기술’(M=3.97), ‘윤곽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3.94)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덟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바디관리 시 필요한 지식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는 ‘근육 및 해부생리에 대한 지식’(M=4.10), ‘바디유형별에 알맞은 관리방법에 대한 지식'(M=4.04), ‘경락의 원리와 미용변인에 대한 지식'(M=4.0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아홉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바디관리 시 필요한 기술적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는 ‘산전, 산후관리를 위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22), ‘슬리밍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22), ‘본인의 수기테크닉에 새로운 테크닉을 접목 시키는 기술'(M=4.20)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실무재교육 요구도는 ‘산전, 산후관리를 위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09), ‘본인의 수기테크닉에 새로운 테크닉을 접목 시키는 기술’(M=4.07), ‘슬리밍관리에 알맞은 적절한 수기 테크닉의 기술'(M=4.02)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열 번째, 일반 피부미용사의 고객 및 운영관리 측면의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의 차이 분석결과, 실무재교육 중요도와 요구도는 ‘상담능력을 키울 수 있는 교육’(M=4.23), ‘고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교육’(M=4.20) ‘서비스 교육'(M=4.1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미용사를 위한 실무재교육 프로그램을 진행 할 시 병원 내 피부미용사와 일반 피부미용사가 중요하게 생각하고 요구하는 실무재교육을 파악하여 좀 더 다양하고 심층적인 재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활성화 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재교육의 결과가 교육으로 그치지 않고 피부미용사의 자질 향상과 피부관리실에 좋은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체계적인 실무재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국내 피부미용시장은 한층 더 발전 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