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영화 '국제시장'은 한국전쟁의 확전에 따른 철수작전으로 남한에 피난 온 ‘함경도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담아 진한 감동을 전해주었다. 이를 통해 어느덧 한국전쟁 75여년이 다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48680
김민영 (군산대학교)
2019
Korean
한국전쟁 ; 월남 피난민 ; 이주와 정착 ; 해망동 ; 海望洞 ; 구술 ; 수산업 ; Korean War ; North Korea Refugees ; migration and settlement ; Haemangdong ; oral expression ; fishing industry
KCI등재
학술저널
1-17(17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15년 영화 '국제시장'은 한국전쟁의 확전에 따른 철수작전으로 남한에 피난 온 ‘함경도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담아 진한 감동을 전해주었다. 이를 통해 어느덧 한국전쟁 75여년이 다가...
2015년 영화 '국제시장'은 한국전쟁의 확전에 따른 철수작전으로 남한에 피난 온 ‘함경도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담아 진한 감동을 전해주었다. 이를 통해 어느덧 한국전쟁 75여년이 다가오는 오늘의 시점에서 자칫 우리의 뒷전에 남아있었을 법한 피난민의 이야기가 바로 우리 곁 이웃의 삶이었음을 일깨워 주었다.
주지하듯이 그간 한국전쟁과 관련하여 적잖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주로 거시적 차원의 정치, 군사, 경제, 사회, 이데올로기 분야에 치우쳤던 게 현실이었다. 그만큼 전쟁을 몸소 겪은 사람들의 삶과 생활세계, 경험한 사람들의 목소리에 그다지 귀 기울이지 않았던 것이다.
하지만 근래 각 주제별, 각 지역 차원에서 한국전쟁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 국가 차원의 연구에 대한 반성과 아래로부터의 연구를 지향하려는 학계의 문제제기가 강해지고 있는 것이다.
즉 한국전쟁 발발 및 휴전으로부터 70여년의 지나온 시간 가운데 그간 한국전쟁에 대한 관심이었던 전쟁의 원인에 대한 연구로부터 이후 다양한 주제로 그 관심영역이 확장되고 있다. 예컨대 피난민, 여성, 지역사회와 산업에 미친 영향 등이 바로 그것을 말해주고 있다.
이 경우 기록을 넘어 ‘경험과 기억’이라는 요소가 중요하게 부각된다. 당연히 개인적인 경험, 그리고 기억을 발굴하는 방법으로 ‘구술’이 사용된다. 이를 통해 주류 역사에서 제외된 대상과 주제에 대한 이야기들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한국전쟁기 월남 피난민의 이주와 정착 가운데 특히 항구도시 군산지역 해망동의 황해도사람들과 지역 수산업을 견인한 그들의 삶의 궤적에 주목하고자 한다. 2016년 봄부터 여름에 걸쳐 18명의 인터뷰를 실시하여 그 가운데 5명의 이야기를 소개했다.
다만 아쉬운 것은 한 시기 300세대가 넘는 피난민들의 거주지는 세월의 흐름 가운데 그 자취마저 찾아볼 길이 쉽지 않다는 것이다. 이제 한국전쟁 75년, 더 늦기 전에 피난민의 이야기와 그 삶의 터전이 지역사의 한 부분으로 복원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수산업을 비롯한 지역사회의 산업의 한 부분을 담당했던 그들 삶의 소중한 이야기도 발굴되고 지역사로 정리되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de to My Father’ in 2015 is a film with deep inspiration through a life story of ‘Hamkyong-do people’ who evacuated into South of Korea during the withdrawal operation because of expanded The Korean War. This brought us to the fact that the ...
‘Ode to My Father’ in 2015 is a film with deep inspiration through a life story of ‘Hamkyong-do people’ who evacuated into South of Korea during the withdrawal operation because of expanded The Korean War. This brought us to the fact that the story of refugees which could be left behind us at the current time when this year almost marks 75 years from The Korean War could be the lives of our neighborhood.
As you know, there has been several research related to the Korean War. However, it is the reality that the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the area of Politics, military, economics, society and ideology at the macro level. This means that we have not been interested in the lives of people who experiencing war, their living world and voice of people experiencing war.
On the other hand, the research on The Korean War according to each themes and local level has been conducted actively. The reflection on the previous research on the national level and raising issue from academic circle seeking for research from below has become stronger.
In other word, since the research on the cause of war which received interest in The Korean War during the time when 70 years have passed since breakout of the Korean War and truce was conducted, the interest has been extended into various themes. For example, refugees, women, local society and interest has become the example.
In this case the element of ‘experience and memory’ beyond record could be highlighted. Naturally ‘oral expression’ in the way of discovering personal experience and memory could be used. Through this, the stories on subjects and themes excluded from mainstream history have been focused.
Therefor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focus on the trace of the life among people who lived in Heamangdong, Hwangheado and led its local fishing industry in the area of Gunsan, a port city among the migration and settle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The stories 5 people among 18 interviewees from spring to summer in 2016 will be introduced.
In particular, what leaves us much to be desired is that it is not easy to find the trace of refugees’ houses over 300 households during the hurting passing of time. Now I hope that the stories and base of refugees before too late will be restored in someplace of local history. In addition, I wish their valued stories which became a part of local industry including fishing industry could be discovered and settled as local history.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도서(섬)학회, 20 (20): 1-187, 2008
2 한국도서(섬)학회, 21 (21): 1-100, 2009
3 양영조, "한국전쟁시 대구지역 피난민 실태 분석"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0) : 197-232, 2003
4 차철욱,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8) : 3-34, 2010
5 국립박물관, "한국서해도서"
6 무등일보, "테마뉴스 김정호의 광주 역사산책 2편 14. 피난민"
7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 – 아래로부터의 전쟁연구 -" 한울아카데미 15-217, 2003
8 김민영, "전북 서해안지역 해양역사・문화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도서(섬)학회 29 (29): 1-17, 2017
9 김귀옥, "월남민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서울대학교 출판부 3-460, 2002
10 속초문화원, "속초시 거주 피난민 정착사"
1 한국도서(섬)학회, 20 (20): 1-187, 2008
2 한국도서(섬)학회, 21 (21): 1-100, 2009
3 양영조, "한국전쟁시 대구지역 피난민 실태 분석"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0) : 197-232, 2003
4 차철욱, "한국전쟁 피난민과 국제시장의 로컬리티"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8) : 3-34, 2010
5 국립박물관, "한국서해도서"
6 무등일보, "테마뉴스 김정호의 광주 역사산책 2편 14. 피난민"
7 표인주, "전쟁과 사람들 – 아래로부터의 전쟁연구 -" 한울아카데미 15-217, 2003
8 김민영, "전북 서해안지역 해양역사・문화연구의 성과와 과제" 한국도서(섬)학회 29 (29): 1-17, 2017
9 김귀옥, "월남민의 생활경험과 정체성" 서울대학교 출판부 3-460, 2002
10 속초문화원, "속초시 거주 피난민 정착사"
11 김민정, "복 없으니 고생이지: 한국 사회의 변화와 ‘피난민’ 장씨의 생애이야기" 한국가족학회 26 (26): 145-176, 2014
12 김수관, "근대 서해안지역 수산업연구" 선인 11-164, 2006
13 군산어업협동조합, "군산어업 결산보고서"
14 군산시수산업협동조합, "군산시수협70년사"
15 군산수협50년사편찬위원회, "군산수협50년사"
16 김수관, "고군산군도 인근 서해안지역 수산업사 연구" 선인 17-294, 2008
17 국립문화재연구소, "고군산군도"
브랜드 퍼스넬리티 맵을 통한 지역자원 및 특성파악 사례연구 - 신안군 임자면 지역 퍼스넬리티 규명을 중심으로 -
일본의 양식산 광어 생산구조 변화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2 | 0.42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4 | 0.43 | 0.57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