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는 대의민주주의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다. 정당이나 후보자는 선거를 통해 국가의 정권을 획득하기 때문에 이들이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유권자들의 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6375304
서울 :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학위논문(박사) --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 정치학과 국제정치 전공 , 2022. 8
2022
한국어
서울
115 p. ; 26 cm
지도교수: 이재철
I804:11020-00000008505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유권자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는 대의민주주의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다. 정당이나 후보자는 선거를 통해 국가의 정권을 획득하기 때문에 이들이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유권자들의 지...
유권자의 적극적인 투표 참여는 대의민주주의의 생명이라고 할 수 있다. 정당이나 후보자는 선거를 통해 국가의 정권을 획득하기 때문에 이들이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서는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분석하여 그들에 맞는 선거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부동층은 선거 결과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이 가진 특성을 연구하는 것 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그리고 한국정치학회 등 다양한 기관이 국회의원 선거 직후 공동으로 실시한 제18대 국회의원선거부터 제21대 국회의원선거까지의 유권자 의식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선거운동 기간 동안 투표 선택을 결정한 부동층이다. 부동층을 보다 심층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선거운동 기간 이전에 투표 선택을 미리 결정한 고정층, 그리고 투표를 포기한 기권층도 연구의 범위에 포함하여 비교 분석을 하였다. 또한, 연구에서 교차분석을 통해 부동층의 특성과 변화 추이를 탐구한 이후 회귀분석으로 부동층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동층은 여성이 남성보다 많았고 중도적인 이념 성향을 가지고 있다는 특성이 드러났다. 하지만 이들은 고정층과 마찬가지로 강한 정당일체감을 가지고 있었으며, 선거 등 정치활동에 대한 관심도도 높은 유권자로 보아야 한다. 뿐만 아니라 이들은 충분한 정치정보를 습득하고 있었으며, 정부의 국정운영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부동층의 연령 특징으로는 젊은층에서 중장년층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학력 분포도 고학력에서 저학력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부동층의 정치적 특징으로는 지역주의의 영향력이 감소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이밖에 부동층은 합리적인 선택을 바탕으로 투표하는 유권자라는 주장에 대한 명확한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outh Korea is a representative democracy with significant influence in Northeast Asia. Political parties hold state power by winning elections, so the ultimate goal of political parties or alternate candidates is to win the election or to obtain more...
South Korea is a representative democracy with significant influence in Northeast Asia. Political parties hold state power by winning elections, so the ultimate goal of political parties or alternate candidates is to win the election or to obtain more than half of the votes. To achieve this goal, the first thing to do is to determine which voters can become the target of winning, and formulate a targeted election strategy to expand their support.
This paper takes the entire floating layer in the 18th to 21st national assembly elections as the research object, and takes the time when the election campaign starts as the dividing standard, analyzes and studies the characteristics and distribution of floating voters, and compares them with early decided voters and abstaining voters. Comparisons were made, whi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floating vot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let us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ing trends of the floating layer in the 18th to 21st Korean National Assembly elections. The floating voters as the research object of this paper still have the characteristics of women and moderate ideological orientation, but at the same time, they also have a strong sense of political party unity, and they are highly concerned about elections and other political activities, and have sufficient relevant Information reserves, have a positiv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state affairs, and do not frequently change their support candidates during the election. Not only that, the floating voters in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s show a trend of gathering from young people to middle-aged people, from high-educated to low-educated, and the influence of regionalism, which is a political feature of important political parties in South Korea, is becoming less and less obviou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lthough there is no clear evidence that the floating voters in the South Korean parliamentary elections are voters influenced by rational choice theory, at least it can be said that they are by no means the floating voters who passively participate in politics in the traditional sense.
목차 (Table of Contents)
1 전용주, "투표행태의 이해", 서울: 한울, 2009
2 윤성이, 민희, "감정과 정치참여.", 한국정치학회보, 50(1). 271-294, 2016
3 조성대, "투표 참여와 기권.", 전용주 외. 투표행탱의 이해. 서울:한울, 2009
4 이갑윤, "한국인의 투표 행태", 서울: 후마니타스, null
5 이현우, "한국에서의 경제투표.",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II.서울: 푸른 길, null
6 이감윤, "한국의 선거와 지역주의", 서울: 오름, null
7 강원택, 박찬욱, "2012년 국회의원선거 분석", 서울: 나납., 2012
8 류재성, 이승민, 송병권, "누가 경제투표를 하는가?", 박찬욱 편. 제 17대 대통령선거를분석한다. 서울: 생각의 나무, 2008
9 진영재, "부동층 유권자 형태 분석", 서울: 집문당, 2002
10 강원택, "세대, 이념과 노무현 현상.", 계간 사상, 9. 80-102, 2002
1 전용주, "투표행태의 이해", 서울: 한울, 2009
2 윤성이, 민희, "감정과 정치참여.", 한국정치학회보, 50(1). 271-294, 2016
3 조성대, "투표 참여와 기권.", 전용주 외. 투표행탱의 이해. 서울:한울, 2009
4 이갑윤, "한국인의 투표 행태", 서울: 후마니타스, null
5 이현우, "한국에서의 경제투표.",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II.서울: 푸른 길, null
6 이감윤, "한국의 선거와 지역주의", 서울: 오름, null
7 강원택, 박찬욱, "2012년 국회의원선거 분석", 서울: 나납., 2012
8 류재성, 이승민, 송병권, "누가 경제투표를 하는가?", 박찬욱 편. 제 17대 대통령선거를분석한다. 서울: 생각의 나무, 2008
9 진영재, "부동층 유권자 형태 분석", 서울: 집문당, 2002
10 강원택, "세대, 이념과 노무현 현상.", 계간 사상, 9. 80-102, 2002
11 오세제, 이현우, "386세대의 조건적 세대효과.", 의정연구, 20(1). 199-230, 2009
12 David A. M. Peterson, "Campaign Learning and Vote Determinants.", 53(2):445-460, 2009
13 문우진, "지역주의 투표의 특성과 변화.", 의정연구, 23(1). 82-111, 2014
14 김일철, 안병만 , "유권자의 정치정향과 투표행태", 한국정치학회 보.27(2),99-120, 1993
15 이현우, "2006지방선거의 유동투표자 분석.", 국가전략, 13(3). 143-167, 2007
16 이재철, "17대 대통령 선거에서의 경제투표.", 현대정치연구, 1 (1).111-136, 2008
17 조기속, "합리적 선택: 한국의 선거와 유권자", 서울: 한울, 1996
18 김용철, 천성권, 지충남, 지병문, 유경화, "현대한국의 정치: 전개와 정과 동인", 서울: 박영사, 2010
19 김민욱, 진영재, "18대 국회의원성거에 나타난 '부동층'.", 김민정‧이내영 편. 변화하는 한국 유권자3. 패널조사를 통해 본 18대 국회의원선 거.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09
20 한석준, "16대 대선 부동층 특성과 투표행태 분석.", 동아시아연 구, 8. 151-174, 2004
21 권혁용, "2007년 대통령선거에서 나타난 경체투표.", 이현우‧권혁용 공편 변화하는 유권자2. 서울: EA. 2008, 2008
22 Burnham, W. D., "The Changing Shape of the American Political Universe.", 59: 7–28, 1965
23 한정훈, "누가, 왜 대선후보 지지결정을 늦추는가?", 박찬욱 외 편. 한국 유권자의 선택2. 18대 대선. 서울: 아산정책연구원, 2013
24 박원호, "부동층의 표심 이동과 이슈의 영향력 분석.", EAI 오피니언 리뷰, 3. 1-10, 2010
25 안순철, "선거체제 비교: 제도적 효과와 정치적 영향", 개정판.서울: 법 문사, 2016
26 소순창, "지방선거에서 나타난 무당파층의 실증분석.", 조중빈 편.한국의 선거III. 서울: 푸른길, 1999
27 강원택, "지역주의 투표와 합리적 선택: 비판적 고찰.", 한국정치학 회보, 34(2). 51-67, 2000
28 이정부, "한국인의 투표행태: 제14대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 회보.26(3).113-132, 1992
29 조성대, "스윙 투표자의 특징과 투표 행대에 관한 연구", 한국정치 학회보. 52(2). 31-56, 2018
30 이현출, "무당파층의 투표행태: 제16대 총선을 중심으로.", 한국정치 학회보, 34(4).137-160, 2001
31 하영애, "제18대 대통령선거 연구: 여성이슈를 중심으로.", 한국 동북 아논충, 72. 351-376, 2014
32 곽진영, "한국 정당의 이합집산과 정당체계의 불안정성.", 한국정당 학회보, 8(1).115-146, 2009
33 진영재, "부동층 집단'의 세분화를 통한 '부동층'의 이해.", 이현우‧ 권혁용 편. 변화하는 한국 유권자 2. 패널조사를 통해 본 대선.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2008, 2007
34 황아란, "정당태도와 투표행태.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II", 서울: 푸른 길, 1998
35 Bartels, M. Larry, "Uninformed Voters: Information Effects in Presidential Elections.", 40: 194-230, 1996
36 김중각, "국회의원 선거제도 개혁논의와 현실적 개선방안.", 의정논 총10(1). 65-90, 2015
37 장 훈, "분할투표의 연속성과 변화: 20대 충선을 중심으로", 미래 정치연구, 7(2). 65-87, 2017
38 류재성, "부당파 유권자 특성: 무태도인가 부정적 태도인가?", 대한 정치학회보, 20(1). 101-127, 2012
39 박경미, "정당 이합집산의 조건: 열린우리당의 변화(2003-2007).", 한국과 국제정치, 62. 29-55, 2008
40 강원택, "2010지방선거에서의 분할투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과 국제정치, 26(4). 1-26, 2010
41 윤광일, "지역주의 변화: 1988년, 2003년 및 2016년 조사결과 비 교.", 의정연구, 23(1). 113-149, 2014
42 김일철, 안병만, 서진완, "6.27 지방선거에 나타난 유권자의 자치정 향과 투표행태", 한국정치학회보. 29(4).373-392, 1995
43 장승진, "제20대 총선의 투표선택: 회고적 투표와 세 가지 심판론.", 한국정치학회보, 50(6). 151-169, 2016
44 송근원, 정봉성, "16대 대선에서 나타난 유권자들의 정책입장과 투표 행태.", 21세기정치학회보, 17(1). 46-70, 2007
45 길정아, 정진민, "18대 대선에서 나타난 한국 무당파 유권자의 특성 과 행태.", 국가정략, 20(3). 135-162, 2014
46 박원호, 송진미, "이슈경쟁과 합의이슈모델: 2014년 서울시장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5(1). 29-62, 2016
47 류재성, "부동층은 누구인가? 지지후보 결정시점의 요인에 관한 연 구.", 박찬욱‧강원택편. 년 국회의원선거 분석. 서울: 나남. 2012, 2012
48 황아란, "경제투표에 대한 정치심리학적 접근: 제15대 대선을 중심 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4(2). 193-212, 2000
49 조성대, "재20대 총선과 부동층: 마바지 결정자들의 합리성에 대한 탐구", 한국의 선거VII. 서울: 오름, 2017
50 강원택, "한국 선거정치의 변화와 지속: 이념, 이슈, 캠페인과 투표참여", 서울: 나남, 2010
51 이준한, "한국의 이념성향과 생애주기효과: 2007년과 2012년 대통 령선거.", 정치정보연구, 16(2). 1-26, 2013
52 김용호, "민주당 이후 한국 정당정치의 제도화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 미래정치연구, 6(1). 5-25, 2016
53 김성연, "20대 총선에서 정책 투표의 영향: 안보와 복지 이슈를 중 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6(3). 47-78, 2017
54 최용섭, "한국의 집권당 변화에 관한 연구: 열인우리당 변화를 중심 으로.", 한국동북아논충, 51. 219-240, 2009
55 김 욱, "정책선거 개념의 재정립을 통한 제5회 지방선거의 정책성 향 평가", 21세기정치학회보, 22(1). 253-272, 2012
56 류재성, "부동층은 누가인가? 2012년 총선 및 대선, 2014년 지방 선거 비교 분석", 평화연구. 113-144, 2014
57 강원택, 송정민, 노환희, "한국 선거에서 세대효과: 1997년부터 2012 년까지의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2(1). 113-140, 2013
58 윤광일, "6‧4 지방선거와 분할투표: 기초단체장과 기초의회 선거 사 례 분석.", 의정연구, 20(3). 186-220, 2015
59 윤광일, "6‧4 지방선거와 분할투표: 광역단체장과 광역의회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3(3). 35-67, 2014
60 진영재, "대통령선거에서 부동표의 성격과 측정-개념과 방법론의 경험적 논의.", 한국의 선거II. 서울: 푸른길, 1998
61 강경태, "한국 대통령 선거 어떤 유권자가 참여하나? : 선거관심도 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7(1). 91-111, 2003
62 김진주, 정회옥, 윤종빈, "한국 무당파의 특성과 투표행태 분석: 제18 대 대통령선거를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7(1). 83-109, 2015
63 김 욱, "16대 대선에서 세대와 이념, 그리고 가치의 영향. 이남영 편. 한국의 선거V", 서울: 나남출판, 2006
64 조성대, "부동층에 관한 연구: 19대 총선에서 정당선호, 선거쟁점과 투표 결정시기.", 한국정치학회보, 47(3). 109-129, 2013
65 박찬욱, 홍지연, "제18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한국유권자들의 분활 투표 행태에 관한 분석.", 한국정치연구, 18(1). 1-28, 2009
66 신 진, "부동층의 투표행태분석: 1995.6.27 지방선거에서 충남도지사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30(1). 181-197, 1996
67 김용철, 조영호, "지역주의 정당구도의 지속과 변화: 경제적 가설의경 험적 검증을 통한전망.", 한국과 국제정치, 33(2). 65-99, 2017
68 김성연, "한국 선거에서 경제 투표의 영향: 제18대 대통령 선거 패 널 데이터 분석결과.", 한국정치학회보, 50(5). 109-130, 2016
69 박원호, "2008총선에서 나타난 세대 효과와 연령 효과에 관한 분 석: 386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8(1). 65-86, 2009
70 박원호, 송정민, "정당은 유권자에게 얼마나 유의미한가?: 한국의 무 당파층과 국회의원총선거.", 한국정치연구, 21(2). 115-143, 2012
71 강원택, "투표참여, 민주주의와 정당 정치: 2007년 대선과 2008 년 충선에서의 기권자 분석.", 현대정치연, 1(2). 76-102, 2008
72 배은진, 엄기홍, "한국 지방선거에서의 경재투표?: 광역당체장 선거 를 중심으로 한 결험적 분석.", 21세기정치학회보, 26(2). 77-97, 2016
73 강우진, "제18대 대선과 경제투표: 경제성장에 대한 정책선호의 일 치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47(5). 213-233, 2013
74 조진만, 최준영, "1인2표 병립제의 도입과 유권자의 투표행태: 일관 투표와 분활투표의 결정요인 분석", 한국정치학회보, 40(1). 71-90, 2006
75 길정아, 김준석, 김성연, "한국 유권자들은 정책에 따라 투표하는가?: 정책 선호, 정책 인식, 그리고 정책투표.", 한국정치학회보, 47 (1). 167-183, 2013
76 김한나, 박원호, "제20대 총선의 후보자 당선결정요인: 정당의 공천 방식과 후보의 경쟁력을 중심으로.", 21세기정치학회보, 26(2). 51-76, 2016
77 문은영, "한국 부동층의 특성에 관한 연구: 민주화 이후 각 선거에서 미결정 부동층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보, 16(2). 37-71, 2017
78 김성연, "한국 무당파의 이념, 정책 선호, 그리고 정치적 태도: 제1 8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중도 및.", 국제지역연구, 19(3). 149-172, 2015
79 최효노, "경쟁정당에 대한 선호도와 후보요인이 분할투표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4년 지방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4 (2). 55-82, 2015
80 송근원, "유권자들의 후보 선택에 영향을 미친 정책 이슈에 관한 연 구: 2002년 16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16(2). 239-323, 2007
81 장 훈, "한국 정당연구에서 거시 역사접근의 재구성: 연구 주체성, 역사연구, 사회과학이론의 균형을 찾아서", 한국정치학회보,13 (2). 5-30, 2014
82 지변은, "한국에서의 전략적 투표: 대통령 선거와 국회의원 선거에 서 나타난 약소 정당지지자들의 투표 행태", 국제정치논총, 48(2). 151-171, 2008
83 유성진, 유성진, "부동층의 특성과 투표행태. 이내영‧임성학 편. 변화하는 한국 유권자 4. 패널조사를 통해 본 지방선거", 서울: 동아시아 연구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