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람이 꽃보다 아름다운가? = Is the Human really more beautiful than Flowers?: An Environment Ethical Contemplation about Princess Mononok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73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인간이 자연과 어떻게 관계할 것인가? 이 질문은 인간의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이어져 온 철학적 입장으로서의 자연관에 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에 있어서는 온난화와 기후변화, 에너지 위기, 핵문제와 같은 지구환경의 위기에 대응하는 실천적인 태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자연에 관한 실천적 태도로서의 규범을 환경윤리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당연히 생명의 그물로서의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성찰, 자연에 대한 철학적 전제, 그리고 그 속에서의 인간을 이해하는 세계관을 기초로 한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원령공주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대립적인 구도 속에서 환경윤리 혹은 생명윤리의 길을 묻고 있다. 이 작품은 이야기 속에 관통하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성찰과 질문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그 관계회복에 있어서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주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신뢰와 낙관주의를 견지하고 있다. 생명의 윤리는 이 조화와 균형의 지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인간이 자연과 어떻게 관계할 것인가? 이 질문은 인간의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이어져 온 철학적 입장으로서의 자연관에 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에 있어서는 온난화와 기후...

      인간이 자연과 어떻게 관계할 것인가? 이 질문은 인간의 역사 속에서 끊임없이 이어져 온 철학적 입장으로서의 자연관에 대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현대에 있어서는 온난화와 기후변화, 에너지 위기, 핵문제와 같은 지구환경의 위기에 대응하는 실천적인 태도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자연에 관한 실천적 태도로서의 규범을 환경윤리라고 할 수 있는데, 이는 당연히 생명의 그물로서의 생태계에 대한 이해와 성찰, 자연에 대한 철학적 전제, 그리고 그 속에서의 인간을 이해하는 세계관을 기초로 한다.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원령공주에서는 인간과 자연의 대립적인 구도 속에서 환경윤리 혹은 생명윤리의 길을 묻고 있다. 이 작품은 이야기 속에 관통하는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성찰과 질문을 통해서, 궁극적으로 그 관계회복에 있어서의 인식론적, 존재론적 주체로서의 인간에 대한 신뢰와 낙관주의를 견지하고 있다. 생명의 윤리는 이 조화와 균형의 지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w should mankind form relation with nature? This has been a continual inquiry about the philosophical standpoint on nature in the human history. In modern times, it is also an inquiry about our practical attitude toward such environmental crises as the global warming, the climate change, the energy crisis and the nuclear issue.
      This norm as a practical attitude toward nature can be called environment ethics and, as a matter of course, is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and contemplation about the ecosystem as the life net, the philosophical premise for nature, and the view of the world on which we understand humankind in the ecosystem and nature.
      Princess Mononoke directed by Hayao Miyazaki puts a question on the way of environment ethics or bioethics in the conflicting composition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In the film, the contemplation and inquiry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are penetrating through the plot. Through this, the film holds fast to optimism and trust in the human as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subject for ultimate recovery of the relation. Bioethics can lie in the harmony and balance.
      번역하기

      How should mankind form relation with nature? This has been a continual inquiry about the philosophical standpoint on nature in the human history. In modern times, it is also an inquiry about our practical attitude toward such environmental crises as ...

      How should mankind form relation with nature? This has been a continual inquiry about the philosophical standpoint on nature in the human history. In modern times, it is also an inquiry about our practical attitude toward such environmental crises as the global warming, the climate change, the energy crisis and the nuclear issue.
      This norm as a practical attitude toward nature can be called environment ethics and, as a matter of course, is based upon the understanding and contemplation about the ecosystem as the life net, the philosophical premise for nature, and the view of the world on which we understand humankind in the ecosystem and nature.
      Princess Mononoke directed by Hayao Miyazaki puts a question on the way of environment ethics or bioethics in the conflicting composition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In the film, the contemplation and inquiry about the relation between the human and nature are penetrating through the plot. Through this, the film holds fast to optimism and trust in the human as the epistemological and ontological subject for ultimate recovery of the relation. Bioethics can lie in the harmony and bal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환경윤리란 무엇인가
      • 3. 모노노케 히메에서의 자연과 인간
      • 4. 맺는말 : 공생의 전제, 사랑
      • 국문요약
      • 1. 서론
      • 2. 환경윤리란 무엇인가
      • 3. 모노노케 히메에서의 자연과 인간
      • 4. 맺는말 : 공생의 전제, 사랑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