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군정기 미국의 대(對)한반도 점령 정책: 1945-1948 = An Evaluation of the U.S. Occupational Policy toward Korean Peninsula, 1945-1948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321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as written to depict the base of U.S. occupational policy toward Korean peninsula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1943-1948. This article was focused on the question, “What was the meaning of Korea toward the United State...

      This article was written to depict the base of U.S. occupational policy
      toward Korean peninsula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1943-1948. This article was focused on the question, “What was the meaning
      of Korea toward the United States?” In this respect, this article started from
      the different question of traditionalists, “What was the meaning of the United
      States toward Korea?” This paper prepared an answer to the former question.
      [1] The meaning of the U.S. toward Korea has been always significant. On
      the other side, the meaning of Korea toward the U.S. was less high. This
      mutual relationship made the Korean-American relations unequal. In some
      respects, the U.S. was responsible to a series of tragedies in the contemporary
      Korean history from fall of the late Korean Empire to separ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2] During the liberation age (1945-1948), the meaning of Korea toward the
      U.S. was a kind of dependent variables to the U.S. interest in Japan. In the
      process of post-war policy, the U.S. was satiated with the occupation of the
      Japanese Islands. Therefore the U.S. was willing to give up interests in Korea
      to keep them in Japan. In this respect, the U.S. considered the Korean
      peninsula as a scapegoat for her policy toward Japan in the process of division
      of Korea.
      [3] The U.S. evaluated the Korean peninsula as an anti-communist fortress
      in the Far East Asia. The commun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ould not
      only be a direct menace to the defence of Japan but also the ruin of a bank of
      “the Pacific Lake.” Under the circumstances of 1945-1950, the U.S. wanted
      to make the Pacific “an American Lake.” Korean peninsula had the meaning
      of a bank of the American Lake.
      [4] Korean peninsula had a meaning of show-window of Western
      democracy to show to the socialist bloc. As a part of the grand design, the U.S. wanted to show the predominance of democracy by the constitution of
      parliamentary democracy in the South Korea. However, the extreme left-right
      struggle, their selfishness, and lack of political capability were obstacles to the
      U.S. idea of parliamentary democracy. After that, the U.S. government put a
      priority of anti-communist policy to democratization, and consequently gave
      implicit assent to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in the South Korea.
      [5] The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Far East [Korea] was based on the
      defence by the strategy of “the chain of islands” and the strategy of air/naval
      forces priority, which means the reluctance to land on th East-Asian
      continent. U.S. basic concept on the Far East was that the Far East continent
      is “a swamp.” So-called Acheson’s defensive perimeter was off-spring of
      such a strategy. This concept has been consistent in the U.S. foreign policy
      toward the Far Ea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미군정기(1945-1948)의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기저(基底)를 탐구하기 위해서 쓰인 글이다. 이 논문의 기본적인 시각은, ‘미국에 대하여 한국은 누구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

      이 논문은 미군정기(1945-1948)의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기저(基底)를 탐구하기 위해서 쓰인 글이다. 이 논문의 기본적인 시각은, ‘미국에 대하여 한국은 누구인가?’라는 물음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 글은 한국에 대하여 미국은 누구인가?’라는 전통적인 물음과 출발을 달리 하고 있다. 이 글은 전자의 질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대답을 준비하고 있다.
      [1] 한국에 대한 미국의 의미는 늘 막중했다. 그런 반면에 미국에 대한 한국의 의미는 그리 높지 않았다. 이러한 상관 관계가 한미관계를 불평등하게 만들었고, 그런 점에서 미국은 한국의 망국으로부터 현대사에 이르기까지의 일련의 비극에 대하여 일정한 책임이 있다.
      [2] 해방 정국에서 미국에 대한 한국의 의미는 일본의 종속 변수로서의 가치를 갖는 것이었다. 미국은 전후 처리 과정에서 일본 전역을 점령한 데 대한 포만감을 가지고 있었고, 일본에서의 이익을 지킬 수 있다면 한반도에서의 이익을 양보할 뜻이 있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한국의 분단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미국은 한반도를 대일 정책의 희생양으로 고려한 측면이 있다.
      [3] 미국은 동아세아에서 반공 보루로서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서의 한반도의 의미를 주목했다. 한반도의 공산화는 일본의 방위에 직접적인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태평양호」의 일각이 무너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1945-1950년의 상황에서 미국은 태평양을 자신들의 내해(內海)로 만들고 싶어 했다. 한반도는 그 호수의 일각으로서의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4] 한반도는 미국이 사회주의권에 보여줄 수 있는 민주주의 전시장으로 서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그 일환으로 남한에서의 의회민주주의의를 구현함으로써 민주주의의 우월성을 공산권에 보여주고 싶었다. 그러나 남한 정치인들의 극좌화∙극우화와 소승적 욕망, 정치적 역량의 부족은 미국이 구상한 의회민주주의를 구현하는 데 걸림돌이 되었다. 아울러 미국은 한국에서의 민주화 보다는 반공화에 더 높은 가치를 둠으로써 남한 정부의 권위주의화에 묵시적으로 기여했다.
      [5] 미국의 대극동(한국) 정책의 기조는 육지에 상륙하지 않으며, ‘섬의 고리’에 기초를 두고 있는 해∙공군 우선 전략에 의하여 이곳을 방어한다는 것이었다. 극동 대륙에 대한 미국의 기본 인식의 밑바닥에는 극동이야말로 늪(swamp)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으며, 그러한 인식이 대표적으로 표현된 것이 애치슨라인이었다. 이러한 원칙은 그 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변함없이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의 기조를 이루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복룡, "한국전쟁과미국유도설:D.애치슨 연설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2) : 1988

      2 "한국전쟁 휴전협정문"

      3 盧啓鉉, "한국외교사연구" 해문사 1968

      4 신복룡, "한국분단사연구:1943-1953" 한울출판사 2006

      5 하우스만(Jim Hausman), "한국대통령을움직인미군대위:하우스만 증언" 한국문원 1995

      6 "조선일보"

      7 "동아일보"

      8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속기록"

      9 조병옥, "나의회고록" 민교사 1959

      10 渡邊勝美, "鮮米修好通商條約交涉史" 普專學會 (2) : 1935

      1 신복룡, "한국전쟁과미국유도설:D.애치슨 연설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2) : 1988

      2 "한국전쟁 휴전협정문"

      3 盧啓鉉, "한국외교사연구" 해문사 1968

      4 신복룡, "한국분단사연구:1943-1953" 한울출판사 2006

      5 하우스만(Jim Hausman), "한국대통령을움직인미군대위:하우스만 증언" 한국문원 1995

      6 "조선일보"

      7 "동아일보"

      8 "남조선과도입법의원 속기록"

      9 조병옥, "나의회고록" 민교사 1959

      10 渡邊勝美, "鮮米修好通商條約交涉史" 普專學會 (2) : 1935

      11 신복룡, "韓美修交의始末과교훈in: 한국정치사" 박영사 2003

      12 "舊韓末條約彙纂(中)" 국회도서관 1965

      13 "每日新報"

      14 小谷益次郞, "仁川撤收誌,[仁川引揚誌]" 새얼문화재단 (봄) : 2001

      15 Villard, Oswald G, "We Must Free Korea Now" XL (XL): 1945

      16 FRUS, "Vol. VIII: The Far East"

      17 FRUS, "Vol. VI, The Far East"

      18 Buss, Claude A, "The United States and the Republic of Korea" Hoover Institute Press 1982

      19 Appenzeller, H. G, "The Opening of Korea: Admiral Shufeldt’s Account of It" I : 1892

      20 Ridgway,Matthew B, "The Korean War" Doubleday & Co. 1967

      21 Bajanov, Evgueny P, "The Korean Conflict, 1950~1953: The Most Mysterious War of 20th Century, Based on Secret Soviet Archives" mimeo 1953

      22 U.S. Department of Defense, "The Entry of the Soviet Union into the Waragainst Japan"

      23 FRUS, "The Conferences at Cairo and Teheran"

      24 FRUS:1945:The Conference of Berlin:The Potsdam Conference,Vol.I & II, "The Conference of Berlin: The Potsdam Conference, Vol. I & II" USGPO 1960

      25 U.S. Congress Committee on Foreign Affairs, "Soviet Diplomacy and Negotiating Behavior: Emerging New Context for U.S. Diplomacy:Special Studies Series on Foreign Affairs, Vol. 1"

      26 MacArthur, Douglas, "Reminiscences" McGraw-Hill 1964

      27 Chang Chi-yun, "Record of the Cairo Conference" China Culture Publishing Foundation 1953

      28 Acheson,D, "Present at the Creation" W. W. Norton Co. 1969

      29 JCS, "Part II: 1946~1953, The Soviet Union, Microfilm" University Publications of America, Inc. 1979

      30 Chomsky,Noam, "On Power and Ideology" South End Press 1987

      31 Stimson,Henry L, "On Active Service in Peace and War" Hutchinson & Co. 1947

      32 "New York Times"

      33 "MacArthur Hearings"

      34 McCune, G. M, "Korean-American Relations, Vol. I"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50

      35 Gayn,Mark, "Japan Diary" William Sloane Associates 1948

      36 Mahan,Alfred, "Influence of Sea Power upon History" Prentice-Hall Inc. 1980

      37 Louis, W. Roger, "Imperialism at Bay" Oxford University Press 1978

      38 HUSAFIK, "Historical Manuscript File"

      39 Pauley,E.W., "Hearings before the Committee on Armed Forces"

      40 FRUS, "Conferences at Malta and Yalta" USGPO 1955

      41 RG 332, "Box 21, 22, 44"

      42 McGrath,Paul C., "Army in the Korean Conflict"

      43 Park Il-keun, "Anglo-American Diplomatic Materials Relating to Korea,1866-1886" Shinmundang 1982

      44 Dulles,Foster R, "America’s Rise to World Power:1898-1955" Harper Co. 1955

      45 Sandusky,Michael C, "America’s Parallel" Old Dominion Press 1983

      46 Sawyer,Robert K,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in Peace and War"

      47 Hoag, C. L,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48 Meade,E.Grant,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King’s Crown Press 1951

      49 RG 165, "ABC 014 Japan"

      50 Wedemeyer, A. C, "A. C. Report to the President: Korea, 1947" USGPO 19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 1 1.924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