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에 대한 검토와 방향 = ‌A Study and on the Poetry Education as General Education Cour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29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and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oetry education. The educational method with the analytical criticism of new criticism which dominated the early poetry education used to examine the elements of poetic style piece by piece and was constructed with one-sided analyses and explanatory notes of the instructors. In consequence, the passive learners recognized poetry not as the subject of enjoyment and pleasure but as the burden which learners had to memorize and learn. In an attempt to improve and reform these problems, Aesthetics of Reception and Reader-Response Criticism were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Focusing on learners' cognitive progress whil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oetic texts, this teaching method attached importance to diversities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n poetry. However, this method was also confronted with the problems of various understandings without objective criteria and of a gap between desirable readers and lacking readers. Subsequently, the poetry education shifted its focus to writing a poem. After studying these situations, this article is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oetry education as follow. First, reconstruct the existing way of the poetry education and apply it to the poetr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unification and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re are pros and cons in the respective theories and from a unified and communicative view they should be combined and reflected into the poetry education. Second, to make learners take part in the lecture more productively and actively, a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odel should be introduced Third, to concretely develop and intensify the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odel, the educational circumstance should be set up that learners write their own poet, introduce them at class and discuss or share the opinions one another. The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by the mutual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bove all, it is desirable that the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should be achieved under the circumstance learners appreciate poems without constraint and accept and share others' perspectives and opinions so that they could enhance and improve rational communication skill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and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oetry education. The educational method with the analytical criticism of new criticism which dominate...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and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oetry education. The educational method with the analytical criticism of new criticism which dominated the early poetry education used to examine the elements of poetic style piece by piece and was constructed with one-sided analyses and explanatory notes of the instructors. In consequence, the passive learners recognized poetry not as the subject of enjoyment and pleasure but as the burden which learners had to memorize and learn. In an attempt to improve and reform these problems, Aesthetics of Reception and Reader-Response Criticism were introduced as an alternative. Focusing on learners' cognitive progress whil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poetic texts, this teaching method attached importance to diversities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in poetry. However, this method was also confronted with the problems of various understandings without objective criteria and of a gap between desirable readers and lacking readers. Subsequently, the poetry education shifted its focus to writing a poem. After studying these situations, this article is to seek the desirable direction of the poetry education as follow. First, reconstruct the existing way of the poetry education and apply it to the poetr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unification and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there are pros and cons in the respective theories and from a unified and communicative view they should be combined and reflected into the poetry education. Second, to make learners take part in the lecture more productively and actively, a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odel should be introduced Third, to concretely develop and intensify the communication-centered learning model, the educational circumstance should be set up that learners write their own poet, introduce them at class and discuss or share the opinions one another. The contemporary poetry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by the mutual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Above all, it is desirable that the poetry education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should be achieved under the circumstance learners appreciate poems without constraint and accept and share others' perspectives and opinions so that they could enhance and improve rational communication skil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대학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에 대한 검토와 이를 바탕으로 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초기 현대시 교육을 지배했던 신비평의 분석주의에 의한 교육방법은 시의 형식적 요소를 낱낱이 쪼개서 파악하였고, 교수자(전문가)의 일방적인 분석과 주해에 의해 진행된 교수·학습법이다. 그 결과 수동적으로 전락한 학습자는 시는 더 이상 향유하고 즐기는 대상이 아닌 익히고 암기해야할 구조물로 인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교육방법이 학습자 중 심의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 교육이다. 이 교육방법은 학습자가 시 텍스트의 의미를 형성해가는 인지적 과정에 관심을 두고 시 해석과 감상의 다양성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이 교육방법 역시 이상적인 독자와 현실적인 독자의 간극의 문제, 그리고 객관적인 기준이 없는 시 해석의 다양성의 문제에 봉착하였다. 이후 시 교육은 문학적 표현을 강조한 시 쓰기의 문제로 변화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검토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은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기존의 시 교육의 방법을 재구조하여 통합과 교섭의 원리에 따라 교육에 적용하자는 것이다. 각각의 이론이 장, 단점이 있기에 이를 통합과 교섭의 견지에서 현대시 교육에 반영하자는 것이다. 둘째, 보다 더 생산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대화 중심 학습 모형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대화 중심의 학습 모형을 구체적으로 심화, 발전시키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창작한 자작시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토론을 병행하는 교육방향을 설정하자는 것이다. 현대시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상호간의 대화와 토론을 통해 이루어져야하고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적당한 자극을 줄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도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은 학습자들이 시에 대한 자유로운 감상을 통해 서로 다른 관점과 사고를 인정하고 공유함으로써 동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합리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번역하기

      본고는 대학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에 대한 검토와 이를 바탕으로 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초기 현대시 교육을 지배했던 신비평의 분석주의에 의한 교육방법은 시의 형...

      본고는 대학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에 대한 검토와 이를 바탕으로 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초기 현대시 교육을 지배했던 신비평의 분석주의에 의한 교육방법은 시의 형식적 요소를 낱낱이 쪼개서 파악하였고, 교수자(전문가)의 일방적인 분석과 주해에 의해 진행된 교수·학습법이다. 그 결과 수동적으로 전락한 학습자는 시는 더 이상 향유하고 즐기는 대상이 아닌 익히고 암기해야할 구조물로 인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제시된 교육방법이 학습자 중 심의 수용미학과 독자반응비평 교육이다. 이 교육방법은 학습자가 시 텍스트의 의미를 형성해가는 인지적 과정에 관심을 두고 시 해석과 감상의 다양성을 중시하였다. 그러나 이 교육방법 역시 이상적인 독자와 현실적인 독자의 간극의 문제, 그리고 객관적인 기준이 없는 시 해석의 다양성의 문제에 봉착하였다. 이후 시 교육은 문학적 표현을 강조한 시 쓰기의 문제로 변화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을 검토하여 본고는 다음과 같은 현대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기존의 시 교육의 방법을 재구조하여 통합과 교섭의 원리에 따라 교육에 적용하자는 것이다. 각각의 이론이 장, 단점이 있기에 이를 통합과 교섭의 견지에서 현대시 교육에 반영하자는 것이다. 둘째, 보다 더 생산적이고 적극적인 학습자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해서 대화 중심 학습 모형을 도입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대화 중심의 학습 모형을 구체적으로 심화, 발전시키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창작한 자작시를 발표하고 이에 대한 토론을 병행하는 교육방향을 설정하자는 것이다. 현대시 교육은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 상호간의 대화와 토론을 통해 이루어져야하고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적당한 자극을 줄 수 있어야한다. 무엇보다도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은 학습자들이 시에 대한 자유로운 감상을 통해 서로 다른 관점과 사고를 인정하고 공유함으로써 동시대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합리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키는 방향으로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차호일, "현장중심의 현대시 교육론" 한국문화사 2008

      2 윤여탁, "현대식 교육론" 사회평론 2010

      3 최미숙, "현대시 해석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시학회 (14) : 51-74, 2005

      4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19) : 387-410, 2006

      5 레이먼 셀던, "현대문학이론" 문학과지성사 1995

      6 신지영, "학습자 중심의 현대시 교육방안 연구 : 백석 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2008

      7 이홍우, "증보 교육과정탐구" 박영사 1992

      8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지성사 1985

      9 이명재,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7

      10 權赫俊, "문학비평 이론의 시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신 비평과 독자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1997

      1 차호일, "현장중심의 현대시 교육론" 한국문화사 2008

      2 윤여탁, "현대식 교육론" 사회평론 2010

      3 최미숙, "현대시 해석 교육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시학회 (14) : 51-74, 2005

      4 정재찬, "현대시 교육의 방향" 한국문학교육학회 (19) : 387-410, 2006

      5 레이먼 셀던, "현대문학이론" 문학과지성사 1995

      6 신지영, "학습자 중심의 현대시 교육방안 연구 : 백석 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2008

      7 이홍우, "증보 교육과정탐구" 박영사 1992

      8 차봉희, "수용미학" 문학과지성사 1985

      9 이명재,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1997

      10 權赫俊, "문학비평 이론의 시 교육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신 비평과 독자반응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1997

      11 정재찬, "문학교육의 사회학을 위하여" 역락 2003

      12 이상옥, "문학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한신문화사 2 (2): 1992

      13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14 이대규, "문학교육과 수용론" 이화출판사 1998

      15 우한용, "문학교사의 양성과 재교육" 1999

      16 석경징, "문학 비평, 이론과 교육" 한신문화사 3 (3): 1993

      17 이숙정, "대학 교양교육의 방향과 과제: 역량기반 교양교육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11-42, 2012

      18 엄성원, "교양으로서 현대시 교육 방안 연구 -비문학 전공자 대상의 현대시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5 (5): 263-28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