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한제국 황실표상으로서의 이화문(李花紋)이 지닌 융복합적 존재형식의 정체성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9484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한말 격랑의 현장인 덕수궁 석조전과 운현궁 등 왕실 생활의 정수와 서양 문물 유입과정에서의 의·식·주등 사회생활 환경 전반에 나타나고 있으며, 자주독립국인 대한제국황�...

      본 연구는 구한말 격랑의 현장인 덕수궁 석조전과 운현궁 등 왕실 생활의 정수와 서양 문물 유입과정에서의 의·식·주등 사회생활 환경 전반에 나타나고 있으며, 자주독립국인 대한제국황실의 표상으로 쓰인 ‘오얏꽃 문양’이 지닌 융복합적 형이상·하학적인 존재로서의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 내용과 목적은, 국가 상징과 황실문장으로서의 오얏꽃 문양이 지닌 형식미학의 집합조건과 필연성, 조형형상에 대한 체계구조의 준거를 확보하고 심층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아울러 연구방법은, 논의의 중심인 조형표상으로서 오얏꽃 문양이 지닌 내포적, 외연적 상징성, 표상에 대한 속성과 수단을 재해석하고 판별, 진단하기 위하여 62점의 실물을 중심으로 관찰조사와 함께 형성된 조사 방법 및 귀납적 접근방법에 의해 관련연구의 주체성과 존재증명을 확보하였다.
      이를 통해 역사적, 민족적, 문화적 산물인 오얏꽃 문양에 담긴 민족의 혼과 상징적 표상이, 민족정신을 계승하고, 민족아(民族我)의 긍지를 갖는데 있어서 규범이 되는 전제적 가치의 본질을 재해석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발견된 점은, 오얏꽃 문양이 지닌 형이상·하학적인 의미와 원인규명에 의해 미학적, 브랜드적 가치로 조선조말 역사적 환경의 패러다임 변화를 견인한 당위성 확보를 재정립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dentity as fusion metaphysical and physical existence of ’plum flower emblem which appears in overall social environment and is essence of royal life with necessities of life when Western civilization was brought into...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dentity as fusion metaphysical and physical existence of ’plum flower emblem which appears in overall social environment and is essence of royal life with necessities of life when Western civilization was brought into the nation at Seokjojeon Hall of Deoksugung Palace, the scene of a turbulent time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and at Unhyeongung Palace as well and which was also used as symbol of Korean Empire’s royal family.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standard of system architecture on set conditions, inevitability and formative form of aesthetics of form that plum flower artifacts has as a national symbol and royal coat of arms and to explore it in depth.
      The study adopts a methodology formed along with observation study and inductive approach and secures identity and existence proof of related study with 62 actual objects to reinterpret, distinguish and diagnose connotative and denotive symbolization that plum flower artifacts has as a formative symbol and attributes and means regarding the symbol.
      Through this, the study reinterprets the essence of autocratic values that national spirit and symbolic icon in plum flower artifacts, the historical, national and cultural fruit, serves as norms in that people inherit national spirit and feel proud of the nationality.
      This study finds that justifiability which led paradigm change in historical environment in late Joseon is reestablished by metaphysical and physical meanings of plum flower artifacts and cause examination as aesthetical and brand valu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대한제국 국가와 황실문화의 정체성 구조해명
      • Ⅲ. 조형표상으로서의 형이상·하학적 정체성 규명
      • Abstract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대한제국 국가와 황실문화의 정체성 구조해명
      • Ⅲ. 조형표상으로서의 형이상·하학적 정체성 규명
      • Ⅳ. 결론 및 제언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연화, "근대기 유럽과 한국의 아르누보 도자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3) : 321-332, 2009

      2 "Yanagimuneyosi"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2013

      3 KD Facotry, "Traditional Flower Pattern Book" SB

      4 Sheman E.Lee, "The Genius of Japanese Design" Koodansha International

      5 Park, Hyun Jung, "Study of Ouyat flower Emblem in Korean Empire" (1) : 2001

      6 Park, Hyun Jung, "Study of Ouyat flower Emblem in Korean Empi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7 "Seokjojan- Koren Empire History Pavilion" Koren Empire Pavilion 2016

      8 "Ouyat flower -Koren Empire relic" Koren Empire Pavilion 1997

      9 "National Palace of Korea, guidebook" Ahngraphics 2011

      10 "Meet the King in the palace" National Palace of Korea 2013

      1 김연화, "근대기 유럽과 한국의 아르누보 도자 양상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3) : 321-332, 2009

      2 "Yanagimuneyosi"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2013

      3 KD Facotry, "Traditional Flower Pattern Book" SB

      4 Sheman E.Lee, "The Genius of Japanese Design" Koodansha International

      5 Park, Hyun Jung, "Study of Ouyat flower Emblem in Korean Empire" (1) : 2001

      6 Park, Hyun Jung, "Study of Ouyat flower Emblem in Korean Empi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7 "Seokjojan- Koren Empire History Pavilion" Koren Empire Pavilion 2016

      8 "Ouyat flower -Koren Empire relic" Koren Empire Pavilion 1997

      9 "National Palace of Korea, guidebook" Ahngraphics 2011

      10 "Meet the King in the palace" National Palace of Korea 2013

      11 "Korean Patterns" Hollymcorp 2007

      12 Park, Hyun Jung, "Going Museum lonely" A book 2014

      13 Yim, Yang Mook, "Ggotsalmoon in temple" sol publisher 2003

      14 Kim, Youn Hwa, "Formative idea of Ceramic Art" jiguculture 2015

      15 Ok, Soo Hyun, "Establishment Symbol of Koren Empire Kyungwoongung" 2010

      16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 Design, "Dictionary of Korean Floral Art" Ina 2003

      17 Dakewoochidosimo, "Dictionary of Aesthetics, Science of art" mijinsa 1989

      18 Kim, Woo Lim, "Big house gureamje, Unhyungoong" seoul museum of history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