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서정주 시의 ‘신라’ 표상과 불교적 상상력 = 시집 『신라초』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82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정주가 『신라초』를 통해 발견해낸 ‘영생 실감’이라는 신개지는 이미 『귀촉도』와 『서정주시선』 등에서 이미 그 출현의 전조를 내보인 것으로서 돌발적이거나 의도적인 미적 기획...

      서정주가 『신라초』를 통해 발견해낸 ‘영생 실감’이라는 신개지는 이미 『귀촉도』와 『서정주시선』 등에서 이미 그 출현의 전조를 내보인 것으로서 돌발적이거나 의도적인 미적 기획이 아니라고 사료된다. 서정주는 『신라초』를 통해 사적(史的) 계승자가 되어 보다 광활하고 비정형적이며 균질하지 않은 화려장엄한 영혼과 시간으로의 활공을 선보인다.
      영원주의로 일컬어지는 신라정신은 ‘세대계승’의 차원에서 시작된 미학적 기획이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한국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서정주가 겪었던 내적인 갈등을 극복하고 치유하는 과정에서 만난 정신적 원형이었으며, 또한 이러한 지향에는 서정주의 인생의 원숙함이 또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서정주의 시편들은 과거의 역사를 현재적 시간으로 치환하며, 그의 시편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영원의 삶을 사는 인물들로서 호명되는 특징을 드러낸다. 서정주는 ‘신라’ 표상의 작품들을 통해 혼교(魂交), 혹은 영통(靈通)으로서의 영원성의 시학을 펼쳐 보인다. 이와 같은 시학은 영원성이 우주 세계에 편재하는 질서임을 체감하게 해준다. 서정주의 시편들은 유기적인 생명관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서 인간과 자연의 조화와 통합을 지향한다. 이러한 지향은 그의 시에서 상승의 상상력으로 나타나며, 나아가 원환적인 변신을 보여주는 대상들을 등장시키기도 한다.
      서정주의 시세계는 불교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다. ‘신라’ 표상의 작품들이 보여주는 상관성으로서의 세계 인식, 인간과 자연의 융화, 윤회하는 주체 등은 불교적 세계관에서 잉태된 것이다. 서정주의 시는 불교적 상상력을 채용함으로써 한국의 시사(詩史)에서 돌올하고도 유현한 형이상학적 깊이를 획득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ew cultivated land called ‘realization of eternal life’ that Seo Jeong-ju discovered through 『Sillacho』 has already showed a sign of its appearance in 『Gwichokdo』 and 『Collection of Seo Jeong-ju’s Poems』, etc. Thus, it is though...

      The new cultivated land called ‘realization of eternal life’ that Seo Jeong-ju discovered through 『Sillacho』 has already showed a sign of its appearance in 『Gwichokdo』 and 『Collection of Seo Jeong-ju’s Poems』, etc. Thus, it is thought that it is not accidental or intentional aesthetic planning. Seo Jeong-ju becomes a historical heir through 『Sillacho』 and exhibits gliding; more spacious, atypical, unhomogeneous, splendid and magnificent spirit and time. The Silla spirit called eternalism can be seen as planning started in a dimension of ‘succession of generations’. It was a good and beautiful order met in a process overcoming and curing internal conflict that Seo Jeong-ju experienced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Seo Jeong-ju’s maturity of age became another reason in self-government of this order and harmony.
      Seo Jeong-ju’s poem pieces replace the past history with contemporary time, and characters appearing in his poem pieces show characteristics called as characters living eternal life. Seo Jeong-ju spreads poetics of eternity as exchange of souls or communication with the spirit through works of a symbol of ‘Silla’. Poetics like this make us experience that eternity is an order omnipresent in the universe. Poem pieces of Seo Jeong-ju are based on organic views on life and aim at harmony and integration of human being and the Nature. The aim like this appears as rising imagination in his poems, and also makes targets showing circular transformation appear. The poetic world of Seo Jeong-ju is based on Buddhist imagination. The world recognition, harmony between human beings and the Nature, the transmigrating subject, etc. as a correlation showing works of a symbol of ‘Silla’ are conceived from Buddhist world views. Poems of Seo Jeong-ju are acquiring the excellent, profound and metaphysical depth in the Korean poem history by adopting Buddhist imagin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신라, 그 심미(審美)의 표상
      • 3. 혼교, 혹은 영통의 자각과 유기적 우주관
      • 4. 동재적(同在的) 역사로서의 신라 소재 화소(話素)
      • 〈국문초록〉
      • 1. 문제제기
      • 2. 신라, 그 심미(審美)의 표상
      • 3. 혼교, 혹은 영통의 자각과 유기적 우주관
      • 4. 동재적(同在的) 역사로서의 신라 소재 화소(話素)
      • 5. 수직적 상승의 상상력과 인연설의 시적 개시(開示)
      • 6.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병조, "한국종교사상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1

      2 홍신선, "한국시와 불교적 상상력" 역락 2004

      3 고영섭, "한국불학사-新羅時代篇" 연기사 2002

      4 박진숙, "한국 근대문학에서의 샤머니즘과 ‘민족지’(ethnography)의 형성" 한국현대문학회 (19) : 19-46, 2006

      5 마쯔나가 유께이, "코스모스와 만다라" 고려원 1988

      6 김재성, "초기불교 산책1" 한언 2010

      7 마르치아 엘리아데, "종교사 개론" 까치 1993

      8 홍용희, "전통지향성의 시적 추구와 대동아공영권-서정주 친일시의 논리" 한국문학연구소 (34) : 275-294, 2008

      9 이인영, "전통의 시적 전유- 서정주의 ‘신라정신’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46) : 273-304, 2009

      10 김미숙, "자이나교의 영혼설에 대한 불교의 논박" 267-288, 2003

      1 정병조, "한국종교사상사" 연세대학교출판부 1991

      2 홍신선, "한국시와 불교적 상상력" 역락 2004

      3 고영섭, "한국불학사-新羅時代篇" 연기사 2002

      4 박진숙, "한국 근대문학에서의 샤머니즘과 ‘민족지’(ethnography)의 형성" 한국현대문학회 (19) : 19-46, 2006

      5 마쯔나가 유께이, "코스모스와 만다라" 고려원 1988

      6 김재성, "초기불교 산책1" 한언 2010

      7 마르치아 엘리아데, "종교사 개론" 까치 1993

      8 홍용희, "전통지향성의 시적 추구와 대동아공영권-서정주 친일시의 논리" 한국문학연구소 (34) : 275-294, 2008

      9 이인영, "전통의 시적 전유- 서정주의 ‘신라정신’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46) : 273-304, 2009

      10 김미숙, "자이나교의 영혼설에 대한 불교의 논박" 267-288, 2003

      11 E. 후라오봘르너, "원시불교" 고려원

      12 진창영, "신라정신의 노장사상적 연구-서정주 시를 중심으로" 123 : 195-217, 1999

      13 김충열, "신라의 조화정신-그를 가능케한 삼대여건" 257-267, 1988

      14 황종연, "신라의 발견" 동국대학교출판부

      15 윤종갑, "신라불교의 신체관과 영혼관 ­ 「삼국유사」와「삼국사기」를 중심으로" 한국철학사연구회 (15) : 289-322, 2004

      16 이평래, "신라불교 여래장사상 연구" 민족사 1996

      17 김정신, "서정주의 『新羅硏究』 고찰 - 그의 시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45 : 177-198, 2009

      18 박현수, "서정주와 미학적 기획으로서의 신라정신-사소 모티프’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14) : 89-119, 2006

      19 서정주, "서정주문학앨범" 웅진출판 1993

      20 김현자, "서정주 시의 은유와 환유" 116-135, 1999

      21 오세영, "서정주 시의 영원과 현실" 17 : 77-100, 1995

      22 이상오, "서정주 시의 무속적 상상력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51) : 203-228, 2006

      23 최현식, "서정주 시의 근대와 반근대" 소명출판 2003

      24 동국대학교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학 개론" 동국대학교출판부 1988

      25 오형근, "불교의 영혼과 윤회관" 새터 1978

      26 남정희,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우리문학회 (29) : 267-291, 2010

      27 홍기삼, "불교문학연구" 집문당 1997

      28 한국문학연구소, "미당 연구" 민음사 1994

      29 박순희, "미당 시에 나타난 풍류정신- 신라초를 중심으로" 15 : 401-423, 2002

      30 윤재웅, "미당 서정주" 태학사 1998

      31 박성배, "깨침과 깨달음" 예문서원 2002

      32 김정설, "風流精神" 영남대학교출판부 2009

      33 김준오, "詩論" 삼지원 1982

      34 서정주, "未堂산문" 민음사 1993

      35 엄경희, "未堂과 木月의 시적 상상력" 보고사 2003

      36 서정주, "未堂徐廷柱詩全集" 민음사 1983

      37 서정주, "徐廷柱文學全集 1-5" 1972

      38 정병조, "佛敎文化史論" 한국불교연구원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