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대 국회 본회의 표결에 나타난 정당 간 정책연합 = Coalitional Politics in the Rall-call Votes among Parliamentary Parti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38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Various coalition theories-such as minimum winning coalition, fewest actor coalition, minimum range coalition, universal coalition, government-opposition coalition-have been researched in the western academia. Based on these theoretical accomplishment...

      Various coalition theories-such as minimum winning coalition, fewest actor coalition, minimum range coalition, universal coalition, government-opposition coalition-have been researched in the western academia. Based on these theoretical accomplishment,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atterns of policy coalitions among the tree parliamentary parties, Uri, GNP, and DLP, by analyzing 2,188 Roll-call votes in the 17th National Assembly. On the half of the votes, the Uri, the GNP and the DLP formed the universal coalitions. The other half of the votes, however, showed the coalition of parties close each other in terms of ideology and policies.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N.A., the ruling party, Uri, initiated the progressive reform polices in a coalition with the DLP. When the term of the 17th National Assembly had passed the half way point, however, the people’s support started leaving the ruling party, Uri Party. As a result, the National Assembly members of the ruling party lost the direction and their liberalism, and made a coalition with the Grand National Par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소승리연합(minimum winning coalition), 최소행위자연합(fewest actor coalition), 최소거리연합(minimum range coalition), 보편연합(universal coalition), 여야축을 중심으로 한 연합(government-opposition coalition) 등 연...

      최소승리연합(minimum winning coalition), 최소행위자연합(fewest actor coalition), 최소거리연합(minimum range coalition), 보편연합(universal coalition), 여야축을 중심으로 한 연합(government-opposition coalition) 등 연합에 의해 내각이 구성되곤 하는 의원내각제 국가들인 유럽뿐만 아니라 대통령제 국가인 미국에서도 다양한 연합에 대한 이론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축적된 이론을 바탕으로 17대 국회 본회의 표결의 분석을 통해 우리의 정책연합의 패턴을 고찰하였다. 17대 국회에서 있었던 총 2,188건의 기명표결 중 절반 정도에서는 열린우리당, 한나라당, 민주노동당 간의 보편적 연합이 형성되었으며, 나머지 절반정도에 있어서는 이념적 거리, 혹은 정책적 거리가 가까운 정당끼리 정책연합을 만들었던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7대 국회 초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진보개혁적 정책을 내세울 때에는 민주노동당과의 연합이 자주 이루어졌다. 그러나 17대 국회 중반 이후 열린우리당에 대한 국민들의 지지의 낙폭이 커지자 이합집산을 거듭하던 그 후신들은 진보성을 탈색하고 주로 한나라당과 연합을 이루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정치상황의 변화에 따라 국회에서의 정책연합이 변할 뿐만 아니라 정책분야에 따라서도 정책연합의 패턴이 일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우, "한국과 미국의 국회의원 표결요인 비교: 자유무역협정 비준의 경우"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105-126, 2005

      2 진영재, "한국 정당통합 및 연합 유형과 선거 결과와의 관계에서 나타난 특질: 1987년 민주화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2 (42): 129-149, 2008

      3 박찬표, "제17대 국회의 정당 경쟁 구도 분석" 한국정당학회 7 (7): 5-40, 2008

      4 김민전, "의원의 정당충성도, 이념성, 그리고 재선(reelection)결과 -18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4 (14): 31-59, 2008

      5 현재호, "민주화 이후 정당간 연합에 관한 연구: DJP연합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47 (47): 147-178, 2004

      6 전진영, "국회의원의 정당충성도 분석: 성차는 존재하는가?"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01-121, 2010

      7 가상준, "국회의원 투표 행태 분석: 지방교육자치 관련 법안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67-88, 2009

      8 Denters, Bas, "Towards a Conditional Model of Coalitional Behaviour" 13 (13): 295-309, 1985

      9 Riker, William H., "The Theory of Political Coalitions" Yale University Press 1962

      10 Clinton, Joshua, "The Statistical Analysis of Roll Call Data" 98 (98): 335-370, 2004

      1 이현우, "한국과 미국의 국회의원 표결요인 비교: 자유무역협정 비준의 경우" 한국국제정치학회 45 (45): 105-126, 2005

      2 진영재, "한국 정당통합 및 연합 유형과 선거 결과와의 관계에서 나타난 특질: 1987년 민주화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42 (42): 129-149, 2008

      3 박찬표, "제17대 국회의 정당 경쟁 구도 분석" 한국정당학회 7 (7): 5-40, 2008

      4 김민전, "의원의 정당충성도, 이념성, 그리고 재선(reelection)결과 -18대 국회의원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4 (14): 31-59, 2008

      5 현재호, "민주화 이후 정당간 연합에 관한 연구: DJP연합을 중심으로" 아세아문제연구소 47 (47): 147-178, 2004

      6 전진영, "국회의원의 정당충성도 분석: 성차는 존재하는가?"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19 (19): 101-121, 2010

      7 가상준, "국회의원 투표 행태 분석: 지방교육자치 관련 법안을 중심으로" 한국의회발전연구회 15 (15): 67-88, 2009

      8 Denters, Bas, "Towards a Conditional Model of Coalitional Behaviour" 13 (13): 295-309, 1985

      9 Riker, William H., "The Theory of Political Coalitions" Yale University Press 1962

      10 Clinton, Joshua, "The Statistical Analysis of Roll Call Data" 98 (98): 335-370, 2004

      11 Weingast, Barry R., "The Political Economy of Benefits and Costs: A Neoclassical Approach to Distributive Politics" 89 (89): 642-664, 1981

      12 Hansen, Martin Ejnar, "The Dimensionality of European Parliaments: Comparing Denmark, Norway and Ireland" 2006

      13 Wattenberg, Martin, "The Decline of American Political Parties, 1952-1996" Harvard University Press 1998

      14 Cox, Gary W., "Setting the Agenda: Responsible Party Government in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15 Mainwaring, Scott, "Rethinking Party Systems in the Third Wave of Democratization: The Case of Brazil"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16 Shugart, Matthew S., "Presidents and Assemblies: Constitutional Design and Electoral System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17 Leieserson, "Power and Ideology in Coalition Behavior. in: The Study of Coalition Behavior" Holt, Rinehart, Winston 1970

      18 Shelsle, Kenneth A., "Political Preferences for the Pork Barrel: A Generalization" 25 (25): 96-111, 1981

      19 Morgenstern, Scott, "Patterns of Legislative Poli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4

      20 Straffin, Philip, "Parliamentary Coalitions: A Tour of Models" 57 (57): 259-274,

      21 Laver, Michael, "Multiparty government: the politics of coalition in Europe" Ann Arbor Paperbacks 1998

      22 Strom, K., "Minority Government and Majority Ru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23 Clausen, Aage R., "Legislative Voting Analysis in Disciplined Multi-Party Systems: The Swedish Case. in: The History of Parliamentary Behavio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59-185, 1977

      24 Hug, Simon, "Left-Right Positions of Political Parties Switzerland" 13 (13): 305-330, 2007

      25 Giannetti, Daniela, "Intra-Party Politics and Coalition Governments in Parliamentary Democracies" Routledge 2008

      26 Carey, John M., "Incentives to Cultivate a Personal Vote: A Rank Ordering of Electoral Formulas" 14 (14): 417-439, 1995

      27 Leieserson, Michael, "Game Theory and the Study of Coalition Behavior. in: The Study of Coalition Behavior: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Cases from Four Countries" Holt, Rinehart and Winston 255-272, 1970

      28 Austen-Smith, David, "Elections, Coalitions, and Legislative Outcomes" 82 (82): 405-422, 1988

      29 Kam, Christopher, "Do Ideological Preferences Explain Parliamentary Behaviour? Evidence from Great Britain and Canada" 7 (7): 89-126, 2001

      30 Pennings, Paul, "Democratizing Candidate Selection Causes and Consequences" 7 (7): 297-322, 2001

      31 Hix, Simon, "Democratic Politics in the European Parliamen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7

      32 Strom, K., "Constraints on Cabinet Formation in Parliamentary Democracies" 38 (38): 303-335, 1994

      33 Axelrod, Robert, "Conflict of Interest" Markham Publishing Company 1970

      34 Laver, M., "Coalitions and Cabinet Government" 84 (84): 873-890, 1990

      35 De Swaan, Abram, "Coalition Theories and Cabinet Formations"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1973

      36 Gallagher, Michael, "Candidate Selection in Comparative Perspective" Sage 1998

      37 Rosenthal, Howard, "Analyzing Roll Calls with Perfect Spatial Voting" 48 (48): 620-632, 2004

      38 Poole, Keith T., "Analysis of Congressional Coalition Patterns: A Unidimensional Spatial Model" 12 (12): 55-75,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05 학술지등록 한글명 : 의정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egislative Studi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1 0.81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3 0.94 1.256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