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생의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emperament, Emotional Health of Family of Origin on the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46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 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들에게 기질, 원가족의 정서 적 건강성, 그리고 자아...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 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들에게 기질, 원가족의 정서 적 건강성, 그리고 자아분화 검사를 실시하여, 이들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 고,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 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과 자아분화와의 상관관계에서 기질의 정서성과 자아분화 간에는 유 의미한 부적상관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가족의 정서성과 자아분화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 아본 결과 기질의 하위요인인 정서성, 활동성과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의 하위요 인인 자율성이 중학생의 자아분화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독립변인으로 나타났으 며, 이들 세 변인이 자아분화의 약 5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선천적인 경향을 가지는 기질의 하위요인들은 정서적 감정과 지적인 사고의 조화로운 성숙 을 내포하는 자아분화 수준에 부적 관계를 가지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 및 타인에 대한 이해심과 신뢰감을 내포하고 있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중학생 의 자아분화 수준에 정적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중학생의 자아분화 성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질에 따른 개인차를 고려한 가족 프로그램 및 가족의 정서적 건강성 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emperament and the emotional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on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135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surveyed using the Scale of Emotionality, A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emperament and the emotional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on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135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surveyed using the Scale of 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EAS), Family-of-Origin Scale(FOS), and the Scale of Self-Differentiation. The conclusions based on result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ity of tempera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We have to consider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empera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emotionality of the family of origi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differentia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need to develop and keep balance of the spirit of cooperation and independence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sub-factors of the emotionality and activity from temperament and autonomy and intimacy from the healthiness of the family of origin significantly explain the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that have an inborn tendency had negative relations with the self-differentiation that implies a harmonized maturity between emotional feelings and intellectual thinking, while the emotional healthiness of the family of origin that implies the responsibility for one s own behavior and the understanding and trust toward others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level. Conclu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differences ba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temperament nee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family programs and other approaches customized for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결과
      • Ⅴ.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