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국 물류시장 확대와 한국 물류기업의 발전 방안 연구 : 제3자 물류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25854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08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 중국학과 , 2008. 2

      • 발행연도

        2008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58.7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 Logistics Providers by expanding into the Chinese Logistics Market : Focused on the Third Party Logistics

      • 형태사항

        vii, 80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강준영
        참고문헌: p. 70-76

      • 소장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국외국어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irst explains major change in Chinese logistics market due to ‘Suggestions to speed up China logistics development' plan and WTO, then the theory of fundamentals for third party logistics (3PL) business and the insight for current SWOT analysis for the Korean 3PLs in Chinese market and my suggestions for its development are included.
      The Chinese government, recently, recognised 'Logistics' as one of the core industry in economy, and therefore it made a vast amount of provide infrastructure to the industry and lowering its restrictions, for foreign investors and their business, is in motion. Meanwhile, the market envelopment is also changing. Traditional logistics system, which has separate suppliers for each functions (Transportation, Warehouse, Insurance, etc), is turning into more integrated system that can provide multiple function from one provider.
      All these factors are making it more necessary than ever for the Korean 3PLs to develop more effective logistics system in the Chinese market to acquire competitive advantages.
      But, despite the importance and the growth potential of the Chinese Market, the Korean 3PLs in China haven't been able to create a prosperous condition due to various reasons. That includes a lack of acknowledge for subcontractors itself and its quality management, insufficient mutual understanding about 3PLs, failure to meet customer's expectation and response to market change, improper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low development on customer and other database management.
      In addition, most of the Korean 3PLs in China is relatively small business. This fact made them to have a certain limitations of its sales and investment capability. Insufficient capability of investment, again, makes focusing on short-team response rather than long-term strategy. And only few large enterprises are investing in earnest.
      Suggestions for the Korean 3PLs in China can be summarized in four categories as follows.
      First, a form of business, Merger or strategic tie-up is essential to increase business volume, complement and resources. And also cooperation with other 3PLs is recommended to supplement functions. These will allow security of production resources and ultimately enhances competitive advantages.
      For segmentation, providing services for every segment will be burden, and this approach won't guarantee success in any segment. What the Korean 3PLs should focus on is IT capability such as e-logistics. It will take more enhanced data-processing technology, logistics system.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hould focus on developing both logistics and IT professionals so that advanced logistics capability based on IT technology can be served.
      Geographical segmentation is also needed. Concerning China's extensive region, it is impossible to be categorized as single geographic segment. It is, for sure, the first priority to build logistics system in east coast (Shanghai) and northern area (Beijing, Tienjin). After that, remember region should e divided into nodes, and logistics system should be built in multiple nodes in order. Last step would be connecting each other. Although factor to consider is that the Chinese logistics system is expanding toward inland. This is the result of both the development of western area and domestic market opening. So not only east coast area but also inland area should be now considered as business area.
      In matter of business scale, it is no surprise that general logistics company with asset fits more than small business, which has limitation in long-term strategy, in the Chinese market. It allows you more margin to establish and invest for long-term strategy. And also developing local and global services, categorized by region and industry, needs understanding, know-how, and information system. All of them strength of huge enterprise. Therefore large size with multi-function capability would bring advantage in competition.
      Our research indicates that Korean 3PL business is based on providing logistics for Korean manufacturer. And they do not own transportation or logistics system by itself. To compete with global giant 3PLs with skill and reputation, Korean 3PLs option would be merger, strategic tie-up, and joint venture. Especially tie-up with the Chinese 3PL seems most effective and the potential for sharing core strength is high. This is because it could give specialization for cost decrease, synergy, acquired intelligence, increased customer service, risk management, creatively, and ultimately competitive advantage.
      As wrote above, Korean 3PL's should keep in mind that tie-up with the Chinese 3PLs'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sole entrance of the Chinese market, and in needs of manufactures.
      번역하기

      This study first explains major change in Chinese logistics market due to ‘Suggestions to speed up China logistics development' plan and WTO, then the theory of fundamentals for third party logistics (3PL) business and the insight for current SWOT a...

      This study first explains major change in Chinese logistics market due to ‘Suggestions to speed up China logistics development' plan and WTO, then the theory of fundamentals for third party logistics (3PL) business and the insight for current SWOT analysis for the Korean 3PLs in Chinese market and my suggestions for its development are included.
      The Chinese government, recently, recognised 'Logistics' as one of the core industry in economy, and therefore it made a vast amount of provide infrastructure to the industry and lowering its restrictions, for foreign investors and their business, is in motion. Meanwhile, the market envelopment is also changing. Traditional logistics system, which has separate suppliers for each functions (Transportation, Warehouse, Insurance, etc), is turning into more integrated system that can provide multiple function from one provider.
      All these factors are making it more necessary than ever for the Korean 3PLs to develop more effective logistics system in the Chinese market to acquire competitive advantages.
      But, despite the importance and the growth potential of the Chinese Market, the Korean 3PLs in China haven't been able to create a prosperous condition due to various reasons. That includes a lack of acknowledge for subcontractors itself and its quality management, insufficient mutual understanding about 3PLs, failure to meet customer's expectation and response to market change, improper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low development on customer and other database management.
      In addition, most of the Korean 3PLs in China is relatively small business. This fact made them to have a certain limitations of its sales and investment capability. Insufficient capability of investment, again, makes focusing on short-team response rather than long-term strategy. And only few large enterprises are investing in earnest.
      Suggestions for the Korean 3PLs in China can be summarized in four categories as follows.
      First, a form of business, Merger or strategic tie-up is essential to increase business volume, complement and resources. And also cooperation with other 3PLs is recommended to supplement functions. These will allow security of production resources and ultimately enhances competitive advantages.
      For segmentation, providing services for every segment will be burden, and this approach won't guarantee success in any segment. What the Korean 3PLs should focus on is IT capability such as e-logistics. It will take more enhanced data-processing technology, logistics system.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should focus on developing both logistics and IT professionals so that advanced logistics capability based on IT technology can be served.
      Geographical segmentation is also needed. Concerning China's extensive region, it is impossible to be categorized as single geographic segment. It is, for sure, the first priority to build logistics system in east coast (Shanghai) and northern area (Beijing, Tienjin). After that, remember region should e divided into nodes, and logistics system should be built in multiple nodes in order. Last step would be connecting each other. Although factor to consider is that the Chinese logistics system is expanding toward inland. This is the result of both the development of western area and domestic market opening. So not only east coast area but also inland area should be now considered as business area.
      In matter of business scale, it is no surprise that general logistics company with asset fits more than small business, which has limitation in long-term strategy, in the Chinese market. It allows you more margin to establish and invest for long-term strategy. And also developing local and global services, categorized by region and industry, needs understanding, know-how, and information system. All of them strength of huge enterprise. Therefore large size with multi-function capability would bring advantage in competition.
      Our research indicates that Korean 3PL business is based on providing logistics for Korean manufacturer. And they do not own transportation or logistics system by itself. To compete with global giant 3PLs with skill and reputation, Korean 3PLs option would be merger, strategic tie-up, and joint venture. Especially tie-up with the Chinese 3PL seems most effective and the potential for sharing core strength is high. This is because it could give specialization for cost decrease, synergy, acquired intelligence, increased customer service, risk management, creatively, and ultimately competitive advantage.
      As wrote above, Korean 3PL's should keep in mind that tie-up with the Chinese 3PLs'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sole entrance of the Chinese market, and in needs of manufactur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10차 5개년 계획(suggestions to speed up China logistics development)과 WTO 가입의 영향에 따라 물류환경 및 산업에 있어서의 큰 변화가 생기게 된 중국 물류시장에 대한 실정을 알아보고, 제3자 물류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 제3자 물류기업의 실태를 알아보았으며, 본 연구의 진행에 있어 SWAT 분석을 통해 중국 내 한국물류기업의 제 3자 물류 서비스에 대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최근 중국 정부는 물류산업을 경제발전의 핵심 산업의 하나로 인식하고 인프라 확충 및 시스템 구축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였으며, 외국인 투자 기업을 위해 규제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물류업에 대해 전문화와 현대화, 표준화를 요구하게 되면서 수송, 창고, 보관 등이 기능별로 분산되어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던 전통적인 물류시장이 이들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제3자 물류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물류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중국 내 한국 물류기업의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서 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물류시스템 구축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 진출한 한국 물류기업의 협력업체의 파악 및 서비스 품질의 유지 미비, 3PL업체에 관련된 공감대 미형성, 고객의 기대수준 관리와 고객들의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우수한 인재의 확보와 고객의 정보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의 미비 등으로 인해 중국 물류시장이라는 중요성과 제3자 물류업의 발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 한국 물류기업들은 중소 규모의 복합운송 업체 위주로 중국으로 진출하였기 때문에 영업 활동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몇몇 대기업들이 중국시장에 본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지만, 아직은 많은 기업들이 장기적인 전략을 세우기보다는 단기적 대응의 소규모 투자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 물류기업이 중국 물류시장에서 제3자 물류업체로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중국 내 제3자 기업으로서의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형식별, 업종별, 지역별, 규모별 측면에서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기업의 형식상 측면에서는 통합물류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생산자원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하여 물류기업간의 합병 또는 전략적 제휴를 적극 추진하여 통합 물류기업의 규모 확대 혹은 공동화, 협업화를 통해 부족한 경영자원을 보완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업종별로는 모든 상품에 대해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자세는 물류기업에 상당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제3자 물류시장에서 성공적인 위치를 보장해주지 못하므로, 한국 제3자 물류기업들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e-logistics 능력을 확보해 IT산업에 집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쟁우위가 용이한 IT기술을 활용하여 첨단 물류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고, 물류 전문가와 IT 전문 인력의 육성을 통하여 IT기반의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겠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국 물류시장은 진출 대상지역의 선택과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간적 범위가 매우 광대하므로 전체 지역을 하나의 시장으로 간주하고 진출하는 것은 매우 비현실적이므로, 우선은 上海 등 동부 연안지역이나 北京, 天津 등 북부 지역에 지역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후에는 중국을 몇 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진출한 뒤 이들 지역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부 대 개발 및 내수시장개방으로 중국 물류시장은 연안지역을 벗어나 내륙으로 확대되고 있으므로, 동부 연해 지역에 한정된 진출이 아니라 투자 환경이 개선되고 있는 내륙 주요 거점도시로 그 외연을 확대할 필요성도 있다.
      또한 규모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단기적인 기업 이익과 직결된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소형 물류기업 보다는 해당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전략을 수립하여 중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다국적으로 구축된 표준화되고 고도화된 노하우와 정보 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역별ㆍ업종별로 다양한 서비스 상품을 개발하고 업체별로 역할을 분담하는 등 실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다양한 서비스를 구축하기에 용이한 자산형 종합 물류기업이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현재 한국 물류 기업들은 대부분 한국계 화주기업들의 물류관련 업무를 대행하는 수준이며, 아직까지 독자적인 물류 시설과 운송수단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들이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거대한 자금력, 선진적 물류기술 및 관리 노하우, 중국 내 광범위한 네트워크 구축 등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글로벌 제3자 물류기업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위의 발전 방안 중에서도 인수 합병이나 전략적 제휴 또는 합작 투자를 통하여 경쟁우위 확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국계 물류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가장 효용성이 있으며, 서로 가지고 있는 핵심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는 화주기업에의 전문화를 통한 물류비용의 절감과 시너지 효과의 달성, 물류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정보의 획득, 고객서비스의 향상, 위험성 회피의 가능성 증대, 상호간 창조성의 공유, 상호협력을 통한 경쟁우위의 달성 등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중국계 물류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궁극적으로 추구하여 개별적인 진입 보다는 제휴 등을 통한 진입이 수익성 확보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염두하고, 화주 니즈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실적 향상 및 명성 확보에 주력하여야 하겠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10차 5개년 계획(suggestions to speed up China logistics development)과 WTO 가입의 영향에 따라 물류환경 및 산업에 있어서의 큰 변화가 생기게 된 중국 물류시장에 대한 실정을 알아보고, 제3자...

      본 연구는 10차 5개년 계획(suggestions to speed up China logistics development)과 WTO 가입의 영향에 따라 물류환경 및 산업에 있어서의 큰 변화가 생기게 된 중국 물류시장에 대한 실정을 알아보고, 제3자 물류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국내 제3자 물류기업의 실태를 알아보았으며, 본 연구의 진행에 있어 SWAT 분석을 통해 중국 내 한국물류기업의 제 3자 물류 서비스에 대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최근 중국 정부는 물류산업을 경제발전의 핵심 산업의 하나로 인식하고 인프라 확충 및 시스템 구축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였으며, 외국인 투자 기업을 위해 규제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물류업에 대해 전문화와 현대화, 표준화를 요구하게 되면서 수송, 창고, 보관 등이 기능별로 분산되어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던 전통적인 물류시장이 이들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제3자 물류시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물류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중국 내 한국 물류기업의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해서 좀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물류시스템 구축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 진출한 한국 물류기업의 협력업체의 파악 및 서비스 품질의 유지 미비, 3PL업체에 관련된 공감대 미형성, 고객의 기대수준 관리와 고객들의 변화에 대한 대응 부족, 우수한 인재의 확보와 고객의 정보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의 미비 등으로 인해 중국 물류시장이라는 중요성과 제3자 물류업의 발전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크게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 한국 물류기업들은 중소 규모의 복합운송 업체 위주로 중국으로 진출하였기 때문에 영업 활동의 한계를 가지고 있어서, 몇몇 대기업들이 중국시장에 본격적인 투자를 하고 있지만, 아직은 많은 기업들이 장기적인 전략을 세우기보다는 단기적 대응의 소규모 투자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 물류기업이 중국 물류시장에서 제3자 물류업체로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중국 내 제3자 기업으로서의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형식별, 업종별, 지역별, 규모별 측면에서 종합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기업의 형식상 측면에서는 통합물류서비스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생산자원을 조기에 확보하기 위하여 물류기업간의 합병 또는 전략적 제휴를 적극 추진하여 통합 물류기업의 규모 확대 혹은 공동화, 협업화를 통해 부족한 경영자원을 보완하여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업종별로는 모든 상품에 대해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겠다는 자세는 물류기업에 상당한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제3자 물류시장에서 성공적인 위치를 보장해주지 못하므로, 한국 제3자 물류기업들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e-logistics 능력을 확보해 IT산업에 집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경쟁우위가 용이한 IT기술을 활용하여 첨단 물류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하고, 물류 전문가와 IT 전문 인력의 육성을 통하여 IT기반의 물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하겠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중국 물류시장은 진출 대상지역의 선택과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공간적 범위가 매우 광대하므로 전체 지역을 하나의 시장으로 간주하고 진출하는 것은 매우 비현실적이므로, 우선은 上海 등 동부 연안지역이나 北京, 天津 등 북부 지역에 지역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후에는 중국을 몇 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여 순차적으로 진출한 뒤 이들 지역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서부 대 개발 및 내수시장개방으로 중국 물류시장은 연안지역을 벗어나 내륙으로 확대되고 있으므로, 동부 연해 지역에 한정된 진출이 아니라 투자 환경이 개선되고 있는 내륙 주요 거점도시로 그 외연을 확대할 필요성도 있다.
      또한 규모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단기적인 기업 이익과 직결된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소형 물류기업 보다는 해당지역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현실적이고 효율적인 전략을 수립하여 중장기적인 발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다국적으로 구축된 표준화되고 고도화된 노하우와 정보 시스템을 기반으로 지역별ㆍ업종별로 다양한 서비스 상품을 개발하고 업체별로 역할을 분담하는 등 실력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다양한 서비스를 구축하기에 용이한 자산형 종합 물류기업이 유리하다.
      결론적으로 현재 한국 물류 기업들은 대부분 한국계 화주기업들의 물류관련 업무를 대행하는 수준이며, 아직까지 독자적인 물류 시설과 운송수단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이들이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거대한 자금력, 선진적 물류기술 및 관리 노하우, 중국 내 광범위한 네트워크 구축 등에서 비교우위에 있는 글로벌 제3자 물류기업을 상대하기 위해서는 위의 발전 방안 중에서도 인수 합병이나 전략적 제휴 또는 합작 투자를 통하여 경쟁우위 확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중국계 물류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은 가장 효용성이 있으며, 서로 가지고 있는 핵심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이는 화주기업에의 전문화를 통한 물류비용의 절감과 시너지 효과의 달성, 물류업무의 원활한 수행을 위한 정보의 획득, 고객서비스의 향상, 위험성 회피의 가능성 증대, 상호간 창조성의 공유, 상호협력을 통한 경쟁우위의 달성 등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중국계 물류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를 궁극적으로 추구하여 개별적인 진입 보다는 제휴 등을 통한 진입이 수익성 확보에 보다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염두하고, 화주 니즈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실적 향상 및 명성 확보에 주력하여야 하겠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第1章 序論 = 1
      • 第1節 硏究의 背景 및 目的 = 1
      • 第2節 硏究의 方法 및 範圍 = 3
      • 第2章 中國의 第三者 物流 市場 現況 = 5
      • 第1節 第三者 物流의 一般的 槪要 = 5
      • 第1章 序論 = 1
      • 第1節 硏究의 背景 및 目的 = 1
      • 第2節 硏究의 方法 및 範圍 = 3
      • 第2章 中國의 第三者 物流 市場 現況 = 5
      • 第1節 第三者 物流의 一般的 槪要 = 5
      • 第2節 中國 第三者 物流市場의 規模 = 10
      • 第3節 中國 內 第三者 物流企業의 類型 및 特徵 = 18
      • 第4節 中國 內 第三者 物流企業의 서비스 提供 範圍 = 24
      • 第3章 中國의 物流 市場 育成과 第三者 物流 서비스 = 30
      • 第1節 物流 産業의 重要性 認識 = 30
      • 第2節 物流 分野의 規制 緩和 = 32
      • 第3節 物流 인프라 擴充 = 36
      • 第4節 物流業의 專門化 및 現代化 = 40
      • 第4章 韓國 物流 企業의 第三者 物流 서비스 提供에 관한 發展方案 = 44
      • 第1節 韓國 第三者 物流企業의 中國 進出 實態 = 44
      • 第2節 韓國 第三者 物流企業의 基本的인 發展 戰略 = 50
      • 第3節 韓國 第三者 物流企業의 發展 方案 = 53
      • 第5章 結論 = 71
      • 參考文獻 = 75
      • ABSTRACT = 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