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사 ‘행여’의 통시적 연구 = A Diachronical Study of Adverb 'Haengye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34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Korean adverb 'haengyeo'' diachronically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and meaning of the adverb that has been used since the Middle Age. The adverb in the Middle Age was formed by a combination of Chinese word '幸/...

      This study examined Korean adverb 'haengyeo'' diachronically and analyzed th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and meaning of the adverb that has been used since the Middle Age. The adverb in the Middle Age was formed by a combination of Chinese word '幸/hʌyŋ' and the adverbial suffix '-hhyeo>hyeo'. The adverb 'hʌyŋhyeo' occurred in declarative sentences, '-keodeun, -myeon' conditional clauses, and clauses of other connective endings; '-lyeoniwa, -ni, -eo, -ko', and adnominal·nominal clauses. However, it was mainly used in conditional clauses and not productively used in other constructions. It mainly expressed the original meaning of 'hʌyŋ(hope, fortunately, please)' in many constructions, while it also expressed 'assumption' or 'supposition' in some conditional and adnominal clauses.
      The adverb with the original meaning of Chinese word '幸' was still used in Modern Korean. However, the distribution of the adverb was extended to some exclamatory, interrogative, (negative) imperative constructions and several concessive clauses. Similarly, the distribution of the adverb expressing 'assumption' or 'supposition' was extended to interrogative sentences and some concessive and causal clauses.
      'Haengyeo' in the on-line corpus of contemporary Korean showed various distributions that have not been completely discussed in the previous studies. It occurred in interrogatives, negative imperatives, and declarative sentences expressing supposition. In addition, it occurred in clauses of various connective endings including '-myeon, -lsera and -taganeun' and '-ki' nominal and adnominal clauses. 'Haengyeo' in contemporary Korean is considered as an adverb expressing 'assumption' or 'supposition' and no longer considered as an adverb with the original meaning. 'Haengyeo' in the constructions such as 'haengyeo(na) ha-' and negative imperatives appears to keep the original meaning, but its semantic function is actually analyzed as 'assumption' or 'suppositon' with a positive expec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부사 ‘행여’의 통시적 고찰을 통해 중세국어 이후의 그 분포 양상과 의미기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세국어 시대의 ‘혀’는 한자어 어근 ‘幸/-’에 접미사 ‘->혀’가...

      본고는 부사 ‘행여’의 통시적 고찰을 통해 중세국어 이후의 그 분포 양상과 의미기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중세국어 시대의 ‘혀’는 한자어 어근 ‘幸/-’에 접미사 ‘->혀’가 결합된 것으로, 주로 조건의 연결어미 ‘-거든, -면’ 구문에 나타나나 그 밖에 평서문이나 ‘-려니와, -ㄴ, -니, -어, -고’와 같은 연결어미 구문, 그리고 관형절 및 명사절에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그런데 이 시대의 ‘혀’는 주로 ‘다행히, 바라건대, 부디’와 같은 한자 본래의 의미대로 쓰였으며, ‘-면, 거든’ 구문과 같은 일부의 환경에서만 ‘가정’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근대국어 시대의 자료에서도 여전히 한자 본래의 의미를 나타내는 ‘혀’ 구문이 쓰였다. 그러나 ‘가정’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혀’는 그 분포가 확대되어 중세국어 자료에는 보이지 않는 의문문이나 조건의 연결어미 이외의 연결어미 구문에서도 ‘가정’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혀’가 확인되었다.
      온라인 말뭉치 자료에 나타나는 현대국어의 ‘행여’는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못한 다양한 분포를 보인다. 즉 의문문이나 조건의 연결어미 ‘-면’ 구문뿐만 아니라 추측을 나타내는 평서문과 부정명령문, ‘-ㄹ세라, -다가는’ 등과 같은 다양한 연결어미 구문, 그리고 ‘-기’ 명사절이나 관형절 등과 결합하는 분포를 보인다. 이러한 ‘행여’는 한자 본래의 의미기능은 사라지고 일반적인 ‘가정’이나 ‘추측’의 의미를 나타내는 부사로 분석되었다. 다만 관용적 쓰임의 ‘행여(나) 하-’구문과 부정명령문 등과 같은 일부 제한된 환경에서만 한자 본래의 ‘기대’의 의미기능이 살아남아 일종의 ‘기대적 가정/추측’과 같은 의미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易言"

      2 "六祖法寶壇經諺解"

      3 "靈驗略抄"

      4 "女訓諺解"

      5 "女小學"

      6 "女四書"

      7 "論語諺解"

      8 "老乞大諺解"

      9 張英熙, "현대 국어 話式副詞의 의미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0 서정수, "한국어의 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1 "易言"

      2 "六祖法寶壇經諺解"

      3 "靈驗略抄"

      4 "女訓諺解"

      5 "女小學"

      6 "女四書"

      7 "論語諺解"

      8 "老乞大諺解"

      9 張英熙, "현대 국어 話式副詞의 의미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5

      10 서정수, "한국어의 부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5

      11 민현식, "한국어 부사에 대한 연구-중세국어 부사의 유의어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61 : 1987

      12 이상복, "한국어 부사류에 대하여" 연세대 9 : 1977

      13 임유종, "한국어 부사 연구" 한국문화사 1999

      14 이숙경, "중세국어 가정부사의 의미체계 변화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15 이승명, "중·근세 국어 부사 어휘의 변천" 배달말학회 (31) : 123-156, 2002

      16 강은국, "조선어 접미사의 통시적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3

      17 허 웅, "우리 옛말본" 샘문화사 1975

      18 김문기, "어휘적·문법적 요소로서 말재어찌씨" 우리말학회 (16) : 99-118, 2005

      19 민현식, "양태부사의 의미에 대하여" 6 : 1995

      20 박지숙, "국어 의문형 서법 부사 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1 정성애, "국어 부사의 통시론적 고찰" 신라대학교 대학원 2011

      22 손남익, "국어 부사 연구" 박이정 1995

      23 "飜譯老乞大"

      24 "飜譯小學"

      25 "闡義昭鑑諺解:筆寫本"

      26 "闡義昭鑑諺解:木版本"

      27 "閨閤叢書"

      28 "重刊本女四書諺解"

      29 "警民編諺解(草溪本)"

      30 "警民編諺解(全州本)"

      31 "諺解臘藥症治方"

      32 "諺解胎産集要"

      33 "諺解痘瘡集要"

      34 "蒙語老乞大"

      35 "蒙山法語諺解"

      36 "蒙山和尙法語略錄諺解"

      37 "種德新編諺解"

      38 "禪宗永嘉集諺解"

      39 "眞言勸供"

      40 "淸語老乞大"

      41 "法華經諺解"

      42 "正俗諺解"

      43 "楞嚴經諺解"

      44 "杜詩諺解"

      45 "月印釋譜"

      46 "明義錄諺解"

      47 "救急簡易方"

      48 "救急方諺解"

      49 "御製警民音"

      50 "御製訓書諺解"

      51 "御製百行源"

      52 "御製內訓"

      53 "家禮諺解"

      54 "太平廣記諺解:樂善齋本(18C)"

      55 "太平廣記諺解:覓南本(17C 후반)"

      56 "增修無寃錄諺解"

      57 "圓覺經諺解"

      58 "周易諺解(宣祖本)"

      59 "南明集諺解"

      60 "十九史略諺解"

      61 "勸念要錄"

      62 朴碩文, "副詞形成의 通時的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2

      63 "分門瘟疫易解方"

      64 "內訓"

      65 "五倫行實圖"

      66 "三綱行實圖"

      67 "三壇施食文"

      68 "七大萬法"

      69 "Kaist Concordance Program"

      70 "21세기 세종계획"

      71 서상규, "16세기 국어의 말재어찌씨의 통어론적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EOMUNYEONGU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3 0.724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