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현대 한국의 단군 인식과 민족문제 = The Ideas of Dangun and Nationalism in Moder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10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for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Dangun was the symbol and source of national unity and solidarity as national founding ancestor. Such understanding of Dangun exercised a great power in strong resistance to Japanese im...

      Befor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Dangun was the symbol and source of national unity and solidarity as national founding ancestor. Such understanding of Dangun exercised a great power in strong resistance to Japanese imperialism, and this understanding is maintained in Korea now. But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even when the saying and behavior toward Dangun become unrestricted, the understandings of Dangun in Korea do not become uniform any longer as before. According to their social position and religion, Korean people come to have different views on Dangun.
      Such changes did not occurred right after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y began to show themselves from 1960s. The Korean society got to be experienced radical changes according as the five-year plan program for economic development was in full operation, and the changes in understanding of Dangun went in gear that situation. This paper describes the four major changes in understanding of Dangun in modern Korea, and examines the relation of Dangun with nationalism in connection with these changes. Th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Dangun and the changes of thoughts and lifestyles in Korean society make Dangun not to be one and only symbol of the Korean as before. None the less Dangun continues to be one of the symbols of the Korean. Being lost the power of one and only symbol of the Korean, Dangun has the potentiality of revitalization in national wises because it has been always rooted in underlying strata of consciousness of Korea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해방 이전, 특히 일제 강점기에 단군은 우리민족의 시조, 우리나라의 국조로서 민족통합과 단결의 상징이자 원천이었다. 이러한 단군인식은 일제 강점기에 일제의 국권 침탈에 항거하는 민...

      해방 이전, 특히 일제 강점기에 단군은 우리민족의 시조, 우리나라의 국조로서 민족통합과 단결의 상징이자 원천이었다. 이러한 단군인식은 일제 강점기에 일제의 국권 침탈에 항거하는 민족의 대동단결에 큰 힘을 발휘했고, 현재까지도 이러한 인식은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정작 단군에 대한 논의와 행위가 자유로워진 해방 이후에 한국사회의 단군인식은 이전처럼 단일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한다. 해방이후 더 이상 계층과 종교를 떠나 모든 사람들이 동일한 단군인식을 공유하게 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민족의 시조로서의 단군의 사회적 위상 역시 계층과 종교에 따라 달라진다.
      물론 이러한 변화가 해방 직후부터 나타난 것은 아니다. 해방 직후 대한민국이 수립되면서 헌법에 홍익인간의 이념이 포함되었으며, 개천절이 4대 국경일의 하나가 되고, 국가연호로 단기(檀紀)가 결정됨에 있어서 큰 논란이 없었다. 이는 해방 직후 우리사회가 당시 계층과 종교의 차이를 떠나 공유된 단군인식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변화는 1960년대부터 나타나기 시작한다. 1960년대에 들어서 정부에 의한 경제개발 5개년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한국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기 시작하는데, 우리사회의 단군인식의 변화 역시 이러한 사회전반의 변화와 맞물려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이 글은 이런 단군인식의 변화를 국가제도 차원, 단군신앙 종교단체, 개신교의 반(反) 단군운동, 강단학계와 재야학계, 북한의 4경우로 나눠서 정리하였다. 이와같은 단군인식의 차이, 하루하루 달라지는 사람들의 생각과 삶으로 인해 한말이나 일제 강점기의 상황에서처럼 단군이 우리 민족의 통합의 상징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단군이 한민족의 중요한 상징으로서의 힘을 잃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유일한 상징으로서의 위치와 힘은 상실한 것으로 보인다. 단군을 둘러싸고 나타난 현대 한국사회의 이러한 논쟁과 갈등은 일차적으로 단군신화에 대한 새로운 해석에서 돌파구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인수, "홍익인간, In 디지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동방미디어 2001

      2 이형래, "해방 후 단군인식과 현대 단군운동의 전개, In 한국사의 단군인식과 단군운동"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06

      3 "한민족독립운동사 2" 국사편찬위원회 182-, 1987

      4 서영대, "한말의 단군운동과 대종교" 114 : 2001

      5 김현숙, "한말 민족의 탄생과 민족주의 담론의 창출:민족주의 역사서술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5 (5): 128-, 2006

      6 정영훈, "한국종교사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 한국신종교학회 8 : 2003

      7 조흥윤, "한국 단군신앙의 실태, In 단군: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출판부 342-345, 1994

      8 옥성득, "초기 한국교회의 단군신화 이해, In 한국기독교와 민족통일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315-317, 2001

      9 양승태, "연호와 국가정체성:단기연호 해명을 위한 정치철학적 논구" 한국정치학회 35 (35): 30-, 2001

      10 서영대, "신화이해의 역사적 변천:북한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8 : 2000

      1 손인수, "홍익인간, In 디지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동방미디어 2001

      2 이형래, "해방 후 단군인식과 현대 단군운동의 전개, In 한국사의 단군인식과 단군운동" 국제평화대학원대학교 출판부 2006

      3 "한민족독립운동사 2" 국사편찬위원회 182-, 1987

      4 서영대, "한말의 단군운동과 대종교" 114 : 2001

      5 김현숙, "한말 민족의 탄생과 민족주의 담론의 창출:민족주의 역사서술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5 (5): 128-, 2006

      6 정영훈, "한국종교사속에서의 단군민족주의" 한국신종교학회 8 : 2003

      7 조흥윤, "한국 단군신앙의 실태, In 단군:그 이해와 자료" 서울대학교출판부 342-345, 1994

      8 옥성득, "초기 한국교회의 단군신화 이해, In 한국기독교와 민족통일운동"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315-317, 2001

      9 양승태, "연호와 국가정체성:단기연호 해명을 위한 정치철학적 논구" 한국정치학회 35 (35): 30-, 2001

      10 서영대, "신화이해의 역사적 변천:북한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78 : 2000

      11 박광용, "북한학계의 단군인식과 단군릉 발굴" 역사문제연구소 52 : 2000

      12 "동아일보"

      13 "동아일보"

      14 강돈구, "동아시아의 종교와 민족주의" 한국종교학회 22 : 29-, 2001

      15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제9권:학생독립운동사"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214-215, 1977

      16 윤이흠, "단군:그이해와자료" 서울대학교출판부 1994

      17 박정학, "단군에 대한 인식혼란에 관한 연구" 강원사학회 17∙18 : 60-64, 2001

      18 김홍철, "단군신앙의 실태와 그 특성" 단군학회 1 : 1999

      19 이강오, "단군신앙의 실태분석" 한국정신문화연구원 32 : 1987

      20 오병무, "단군신앙계열의 흐름과 전망" 한국신종교학회 8 : 38-51, 2003

      21 이진구, "단군상 논쟁을 통해 본 신화와 역사담론, In 신화와역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22 정영훈, "단군과 근대 한국민족운동, In 한국의 정치와 경제 8" 24-26, 1995

      23 정영훈, "남과 북의 단군인식과 단군숭앙" 고조선단군학회 12 : 177-216, 2005

      24 윤종영, "국사교과서 파동" 혜안 1999

      25 송호정, "국경일과 개천절, In 단군 만들어진 신화" 44-45, 2004

      26 "공중에 떠버린 단군상"

      27 "개천절봉축대회거행"

      28 "개천절경축식거행"

      29 민병하, "개천절, In 디지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동방미디어 2001

      30 "개천절 봉축식전 27일 거행예정"

      31 "開極節기념"

      32 "開天節노래制定"

      33 "開天節標語制定"

      34 "檀紀年號 廢止를 推進:새해부터 西紀만 쓰도록"

      35 최정수, "檀紀使用에異見"

      36 김태훈, "‘목잘린’단군상, 역사논쟁비화:초등학교에서 잇따른 수난……민족 구심점의 대상이 갈등∙분열의씨앗으로" 조선일보사 1575 :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