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최초의 記事는 이나리야마 철검 명문에서 찾을 수 있다. 명문은 장도인의 우두머리로 대왕에게 봉사한 근원을 기념하기 위하여 8대에 걸친 계보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계보의식은 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624323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1-84(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일본 최초의 記事는 이나리야마 철검 명문에서 찾을 수 있다. 명문은 장도인의 우두머리로 대왕에게 봉사한 근원을 기념하기 위하여 8대에 걸친 계보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계보의식은 왕...
일본 최초의 記事는 이나리야마 철검 명문에서 찾을 수 있다. 명문은 장도인의 우두머리로 대왕에게 봉사한 근원을 기념하기 위하여 8대에 걸친 계보를 기록하고 있다. 이런 계보의식은 왕실의 역사서인 帝紀와 호족들의 기록인 舊辭로 연결된다. 6세기에 성립되었다고 하는 제기와 구사는 古事記와 日本書紀의 원사료로 여겨 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는 이 문헌들의 성립시기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어 있다. 아 울러 고사기ㆍ일본서기와 天皇記ㆍ國記의 관련성이 간과되어 왔다. 을사의 변 과 정에서 천황기는 소실되었다. 그러나 국기는 天武의 형이자 후에 天智가 된 中大兄 황자에게 전해졌다. 672년의 을사의 변을 통하여 권력을 장악한 천무는 계보의 혼 란을 정비하고 호족들을 통제하기 위하여 새로운 역사서를 편찬하고자 하였으나, 천황기는 소실되었다. 그 결과, 천무는 국기로부터 천황 및 호족의 계보와 관련된 내용을 추출할 수밖에 없었다. 제기는 완성된 문헌이 아니라 천황가와 관련된 내용 을 표현하는 용어였을 뿐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can find the first Japanese historical description in the inscription of iron sword discovered from Inariyama tomb. It described the lineage of eight generations to memorize the origin of serving the king as the top(首) of guardian(杖刀人). The...
We can find the first Japanese historical description in the inscription of iron sword discovered from Inariyama tomb. It described the lineage of eight generations to memorize the origin of serving the king as the top(首) of guardian(杖刀人). The lineage consciousness like this links to Teiki(帝紀) which is the historiography of royal family and Kyuji(舊辭) which is the document of powerful families. Teiki and Kyuji, considered to be established in the 6th centuries, are regarded as the original material used for the compilation of Kojiki and Nihonshoki. But the completion time of these books are questioned now.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jikiㆍNihonshoki and Tennogi(天皇記)ㆍKokki(國記), established until 645 A.D., are ignored. During the Ossi disturbance(乙巳變), Tennogi was reduced to ashes. But Kokki was saved and delivered to prince Nakanooe(中大兄), who was the elder brother of king Tenmu(天武) and became King Tenchi(天智) later. Tenmu, gripped the power through the Jinsin turbulance in 672, tried to compile a new historiography to put in order the confusion of lieage and to restrain the powerful family, but Tennogi was missing. As the result, Tenmu cannot but extrac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lineage and powerful families linege from Kokki. That is to say, Teiki was not the completed document but the idiom expressing the contents related to the royal family lineage.
목차 (Table of Contents)
A Multilevel View of Mood and Information Pooling During Group Discu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