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 연구 = A study on establishing repertories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atr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8385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 연구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 구축 방안 제시이다. 이를 통해 신개념인 ‘극장레퍼토리’의 의미를 밝혀 극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 공공제작극장의 효율적인 레퍼토리 운용을 하기 위함이다.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의 구축을 위한 모색과 대안은 한국의 극장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립극장, 국립국악원, 도립국악단체 등의 실제 사례에 근거하여 레퍼토리론의 가능성과 의의를 진단한 것이 이 논문의 주요한 맥락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극장레퍼토리 구축 순환 구조’에 따른 분석과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병행 실시하였다. 그것을 통해서 ‘극장레퍼토리’의 확장 가능성과 기대치를 충족시키고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국립창극단의 <청>과 같은 사례는 매우 소중한 면모를 지닌 ‘극장레퍼토리’의 구체적 사례로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적극적 의미의 레퍼토리 구축 개념’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하면 ‘극장레퍼토리’란 극장의 레퍼토리가 축적되어 확산될 수 있는 단계로, 극장레퍼토리 3요소인 대표성, 예술성, 지속성을 갖춘 극장 레퍼토리 목록이다. 이 개념을 시론(試論)격으로 제시하는 것의 의의는 ‘레퍼토리’에서 ‘극장레퍼토리’로의 개념적 진전을 이룬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공공제작극장의 레퍼토리 양상 분석과 극장레퍼토리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인 대분류 3가지와 소분류 12가지이다.
      첫째, 대표성 있는 레퍼토리 정책결정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세부 레퍼토리 구축 방안으로는 극장의 미션에 부합에 되는 정전(正典) 작품의 선정, ‘우리시대의 음악극’을 위한 보편적 음악극의 지향, 고전(古典)을 근간으로 한 신작과 레퍼토리의 균형, 혜안 있는 기관장의 예술적 리더십 등이다.
      둘째, 예술성 높은 레퍼토리 제작환경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세부 레퍼토리 구축 방안으로 전문 제작시스템의 구축, 보편적 음악극의 예술적 구현, 다양한 작가군의 발굴과 지원, 전통예술자원에 기반한 무대예술 구현 등이다.
      셋째, 지속성 있는 레퍼토리 환류체계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세부 레퍼토리 구축 방안으로는 순회공연을 통한 레퍼토리의 축적과 확산, 레퍼토리의 기록화,공연 기반 확대와 건실화, 효율적 평가 체계의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레퍼토리의 가치와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 구축 방안 제시를 통해 극장경영의 핵심 전략 수립 및 실행에 이론적, 실증적 기틀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예술성과 공공성을 중시하는 공공제작극장에서 극장레퍼토리의 구축과 효율적 활용은 극장의 브랜드 구축 등 극장경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콘텐츠의 개발과 유통, 문화예술정책, 고객에 대한 서비스 증진, 문화적 자산 가치 확장이라는 점에서 다각적으로 유용하기 때문이다. 한국전통예술극장의 극장레퍼토리가 견실하게 뿌리 내려지기를 기대해본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 연구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 구축 방안 제시이다. 이를 통해 신개념인 ‘극장레퍼토리’의 의미를 밝혀 극장 ...

      국문초록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 연구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 구축 방안 제시이다. 이를 통해 신개념인 ‘극장레퍼토리’의 의미를 밝혀 극장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 공공제작극장의 효율적인 레퍼토리 운용을 하기 위함이다.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의 구축을 위한 모색과 대안은 한국의 극장문화를 선도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국립극장, 국립국악원, 도립국악단체 등의 실제 사례에 근거하여 레퍼토리론의 가능성과 의의를 진단한 것이 이 논문의 주요한 맥락이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극장레퍼토리 구축 순환 구조’에 따른 분석과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병행 실시하였다. 그것을 통해서 ‘극장레퍼토리’의 확장 가능성과 기대치를 충족시키고 있음이 드러났다. 특히 국립창극단의 <청>과 같은 사례는 매우 소중한 면모를 지닌 ‘극장레퍼토리’의 구체적 사례로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적극적 의미의 레퍼토리 구축 개념’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하면 ‘극장레퍼토리’란 극장의 레퍼토리가 축적되어 확산될 수 있는 단계로, 극장레퍼토리 3요소인 대표성, 예술성, 지속성을 갖춘 극장 레퍼토리 목록이다. 이 개념을 시론(試論)격으로 제시하는 것의 의의는 ‘레퍼토리’에서 ‘극장레퍼토리’로의 개념적 진전을 이룬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공공제작극장의 레퍼토리 양상 분석과 극장레퍼토리의 구축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인 대분류 3가지와 소분류 12가지이다.
      첫째, 대표성 있는 레퍼토리 정책결정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세부 레퍼토리 구축 방안으로는 극장의 미션에 부합에 되는 정전(正典) 작품의 선정, ‘우리시대의 음악극’을 위한 보편적 음악극의 지향, 고전(古典)을 근간으로 한 신작과 레퍼토리의 균형, 혜안 있는 기관장의 예술적 리더십 등이다.
      둘째, 예술성 높은 레퍼토리 제작환경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세부 레퍼토리 구축 방안으로 전문 제작시스템의 구축, 보편적 음악극의 예술적 구현, 다양한 작가군의 발굴과 지원, 전통예술자원에 기반한 무대예술 구현 등이다.
      셋째, 지속성 있는 레퍼토리 환류체계이다. 여기에 해당되는 세부 레퍼토리 구축 방안으로는 순회공연을 통한 레퍼토리의 축적과 확산, 레퍼토리의 기록화,공연 기반 확대와 건실화, 효율적 평가 체계의 운영 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레퍼토리의 가치와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한국전통예술극장의 레퍼토리 구축 방안 제시를 통해 극장경영의 핵심 전략 수립 및 실행에 이론적, 실증적 기틀을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예술성과 공공성을 중시하는 공공제작극장에서 극장레퍼토리의 구축과 효율적 활용은 극장의 브랜드 구축 등 극장경영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콘텐츠의 개발과 유통, 문화예술정책, 고객에 대한 서비스 증진, 문화적 자산 가치 확장이라는 점에서 다각적으로 유용하기 때문이다. 한국전통예술극장의 극장레퍼토리가 견실하게 뿌리 내려지기를 기대해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3
      • 목 차
      • Ⅰ. 서론 1
      • 1. 연구목적 1
      • 2. 선행연구 검토 3
      • 3.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9
      • 1) 연구범위 9
      • 2) 연구방법 11
      • Ⅱ. 극장과 레퍼토리 20
      • 1. 극장의 이해 20
      • 1) 극장의 의미와 유형 20
      • 2) 극장의 역사 24
      • 3) 극장경영과 공연제작 31
      • 2. 레퍼토리의 이해 33
      • 1) 레퍼토리와 인접 용어의 의미 33
      • 2) 극장의 레퍼토리 운영사 37
      • 3) 극장레퍼토리의 신(新)개념 42
      • 3. 해외 공공제작극장의 레퍼토리 운영 사례 43
      • 1) 영국 국립극장 43
      • 2) 프랑스 코메디 프랑세즈 54
      • 3) 독일 도이체스 테아터 베를린 62
      • 4. 한국 전통공연 제작극장의 실태 73
      • 1) 한국 공연예술 현황 개관 73
      • 2) 한국 전통공연 제작극장 실태 77
      • Ⅲ. 국립극장 공연 레퍼토리 현황과 운영 분석 86
      • 1. 일반 현황 86
      • 2. 레퍼토리 현황 88
      • 3. 레퍼토리 운영 분석 92
      • Ⅳ. 국립국악원 공연 레퍼토리 현황과 운영 분석 129
      • 1. 국립국악원 129
      • 1) 일반 현황 129
      • 2) 레퍼토리 현황 130
      • 3) 레퍼토리 운영 분석 131
      • 2. 국립민속국악원 154
      • 1) 일반 현황 154
      • 2) 레퍼토리 현황 154
      • 3) 레퍼토리 운영 분석 157
      • 3. 국립남도국악원 175
      • 1) 일반 현황 175
      • 2) 레퍼토리 현황 175
      • 3) 레퍼토리 운영 분석 176
      • 4. 국립부산국악원 192
      • 1) 일반 현황 192
      • 2) 레퍼토리 현황 192
      • 3) 레퍼토리 운영 분석 193
      • Ⅴ. 도립국악단체 공연 레퍼토리 현황과 운영 분석 217
      • 1. 전라북도립국악원 217
      • 1) 일반 현황 217
      • 2) 레퍼토리 현황 218
      • 3) 레퍼토리 운영 분석 219
      • 2. 전라남도립국악단 235
      • 1) 일반 현황 235
      • 2) 레퍼토리 현황 235
      • 3) 레퍼토리 운영 분석 237
      • Ⅵ. 공공제작극장의 레퍼토리 양상 분석과 극장레퍼토리의
      • 구축 방향 248
      • 1. 공공제작극장의 레퍼토리 양상 분석 248
      • 1) 기관별 레퍼토리 구축 양상 248
      • 2) 레퍼토리 구축 양상 종합 분석 275
      • 3) 레퍼토리 구축 제약 양상 종합 분석 286
      • 2. 극장레퍼토리의 구축 방향 288
      • 1) 해외 공공제작극장 레퍼토리 구축 양상 종합 분석 289
      • 2) 한국전통예술극장 레퍼토리 구축 방안 290
      • 3) 극장레퍼토리의 방향 300
      • Ⅶ. 결론 302
      • 참고문헌 307
      • Abstract 317
      • 부록 321
      • 부록1. 한국전통예술극장 기관별 전문가 심층 인터뷰 321
      • 부록2. <청>, <자갈치아리랑>, <어매아리랑> 주요 악보 347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박이문, "예술 철학",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지성사, 2006

      2 남궁근, "『정책학』", 법문사, 2012

      3 이원양, "독일연극사", 두레, 2002

      4 박황, "창극사연구", 백록출판사, 1976

      5 김주호, "『예술경영』", 김영사, 김영사, 2002

      6 박성환, "『작가의 글』", <어매아리랑> 프로그램 북, 2013

      7 서연호, "『작가의 변』", <자갈치아리랑> 프로그램 북, 2011

      8 박정배, "『공연마케팅』", 대왕사, 2009

      9 서연호, "『한국연극전사』", 연극과인간, 연극과 인간, 2006

      10 최지연, "「동양극장 연구」",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 박이문, "예술 철학", 문학과지성사, 문학과 지성사, 2006

      2 남궁근, "『정책학』", 법문사, 2012

      3 이원양, "독일연극사", 두레, 2002

      4 박황, "창극사연구", 백록출판사, 1976

      5 김주호, "『예술경영』", 김영사, 김영사, 2002

      6 박성환, "『작가의 글』", <어매아리랑> 프로그램 북, 2013

      7 서연호, "『작가의 변』", <자갈치아리랑> 프로그램 북, 2011

      8 박정배, "『공연마케팅』", 대왕사, 2009

      9 서연호, "『한국연극전사』", 연극과인간, 연극과 인간, 2006

      10 최지연, "「동양극장 연구」",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11 서연호, "한국연극사 근대편", 연극과 인간, 2003

      12 정유희, 창홍, "옮김. 『미학산책』", 시그마북스, 2012

      13 김혜련, 조지디키, "옮김. 『예술사회』", 문학과 지성사, 1998

      14 이재성, "연출. 『연출의 변』", 프로그램 북, 2012

      15 유민영, "한국근대극장변천사", 태학사, 1998

      16 이동연, "『전통예술의 미래』", 채륜, 채륜, 2010

      17 조한상, "공공성이란 무엇인가", 책세상, 책세상, 2009

      18 이승엽, "극장경영과 공연제작", 역사넷, 역사넷, 2001

      19 이단비, "드라마투르그 인터뷰", 국립극장, 2015

      20 신선희, "한국 고대극장의 역사", 열화당, 2006

      21 국립남도국악원, "≪진도씻김굿의 무구≫", 국립남도국악원, 2010

      22 서연호, "『한국연극사(현대편)』", 연극과인간, 연극과 인간, 2005

      23 백현미, "「한국적 음악극의 지형」", 『연극평론』 Vol.31. 한국연극평론가협회, 2003

      24 김명석, "국립국악원 장악계장 인터뷰", (서면), 2015

      25 임학순, "창의적 문화사회와 문화정책", 진한도서, 2003

      26 조영규, "『바로잡는 협률사와 원각사』", 민속원, null

      27 신현창, "전북도립국악원장. 『인사말』", <어매아리랑> 프로그램 북, 2013

      28 유영대, "「창극의 전통과 새로운 무대」", 판소리학회, 『판소리연구』 제27집. 판소리학회, 2009

      29 정명주, "『영국 국립극장 미팅 보고서』", 2012

      30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신론(상권)』", 태학사, 태학사, 2011

      31 유민영, "『한국근대연극사 신론(하권)』", 태학사, 태학사, 2011

      32 유영대, "前 국립창극단 예술감독 인터뷰", 예술감독 자택, 2015

      33 이용탁, "前 국립창극단 음악감독 인터뷰", 대한민국예술인센터, 2015

      34 지기학, "국립민속국악원 예술감독 인터뷰", 국립민속국악원 예술감독실, 2015

      35 김정섭, 하형주(토론자), 홍창수(토론자), 이주영(토론자), 이은경(토론자), 오세곤(토론자), 백승무(토론자), 박연숙(토론자), 김향(토론자), 김창화(토론자), 김재선(토론자), "「공공극장 정책에 대해 말하다」", 공연과이론을위한모임, 『공연과 이론』 Vol.51, 2013

      36 최경자, "국립국악원 무용단 안무자 인터뷰", 무용단 예술감독실, 2015

      37 김영훈, "국립극장 무대예술부 감독 인터뷰", 국립극장, 2014

      38 김갑수, "문화체육관광부 학예연구사 인터뷰", (전화), 2015

      39 맹완호, "주한독일문화원 문화협력관 인터뷰", 주한독일문화원, 2015

      40 박서연, "「코메디 프랑세즈 레퍼토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41 정정원, "전북도립국악원 공연기획실장 인터뷰", 전북도립국악원, 2015

      42 서연호, "「레퍼토리 정착은 아직도 멀었는가」", 『공연과 리뷰』 Vol.77. 현대미학사, 2012

      43 유영대, "「창극의 전통과 국립창극단의 역사」",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한국학연구』 Vol.33.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44 이주영, "「토요상설공연 활성화 방안 토론문」", 『전남도립국악단 발전방안 토론회』. 전남문화예술재단, 2013

      45 김광희,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보전과 활용」",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46 김추자, "국립부산국악원 장악과 주무관 인터뷰", 국립부산국악원 회의실, 2015

      47 문 웅, "「공공 공연장의 운영 개선방안 연구」", 성균관대학교,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48 이용관, "「국공립 예술단체의 운영현황과 전망」", 한국음악응용학회, 『음악응용연구』 Vol.2, 2009

      49 이용관(Lee Yongkwan), "「공연예술 경영의 과제와 학문적 접근」", 한국예술경영학회, 『예술경영연구』 Vol.8. 한국예술경영학회, 2005

      50 이진주, "현대 창극의 공연 기법과 양식적 특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51 윤용준, "「한국 국립극장의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세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2 정재왈, "「한국 전통예술 공연장 전문화 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53 손희두, "「국가브랜드 제고를 위한 법제개선과 전망」", 법연, 2011

      54 오미인, "「진도씻김굿 지전춤의 기능과 무대화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55 유필조, "「대전문화예술전당의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56 박민호, "「한국복합공연장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57 임상우, "「공연예술의 국가브랜드 마케팅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58 이주영, "「한류 3.0 시대를 위한 문화산업정책 개발 연구」", 『문화콘텐츠 연구의 현장』, 2014

      59 이주영, "「세계국립극장페스티벌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문화예술콘텐츠학회,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60 박준영, "전라남도지사. 『모시는 글』. 프로그램 북 4쪽 참조", 공연, 2012

      61 최준호, "한국예술종합학교 교수 前 주불 한국문화원장 인터뷰",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62 해리슨, "(J. Harrison). 오병남 김현희 공역. 『고대 예술과 제의』", 예전사, 1996

      63 안정오, "「독일의 문화정책 - 베를린의 문화정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Vol.37, 2011

      64 김화임, "「독일 공공 극장 운영의 향방 - 경영과 마케팅의 도입」", 『독일언어문학』 제24집, 2004

      65 마이클, "M. 카이저. 최천식 옮김. 『예술작품의 기획과 추진전략』", 문화체육관광부, 2009

      66 배영동, "문화콘텐츠화 사업에서 ‘문화원형’ 개념의 함의와 한계", 『인문콘텐츠』 6호. 인문콘텐츠학회, 2005

      67 김미희, 최상철, 김수기, "「레퍼토리 및 제작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용을 위한 제언」", null

      68 김명전, "「국가브랜드 관리를 위한 한국의 이미지 지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6

      69 박재희, "「국립국악원 공연문화 원형 탐구 시리즈의 공연 예술적 의의」", 한국음악사학회, 『한국음악사학보』 Vol.35. 한국음악사학회, 2005

      70 김지현, "「국공립 문화예술기관의 법적 주체에 따른 운영형태 분석 연구」", 한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71 우한용, "「창극의 소통구조와 언어미학 - 국립극장 공연 창극 <청>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145호, 2007

      72 황선아, "「공공극장의 레퍼토리 시스템 도입 연구 - 아르코예술극장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73 허순자, "「제작극장의 운영과 과제에 대한 사례 연구 - 명동예술극장을 중심으로」", null

      74 최준호, "「공공극장 운영에 대한 연구 - 프랑스 공공극장의 조사, 분석을 토대로 하여」", 『연극의 이론과 비평』 Vol-No.1, 2000

      75 이원현, "극장지원정책과 극장경영체제 변화에 따른 독일 연극의 자립적 해결방안에 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제24집, 2009

      76 김유경, 안홀트, 사이먼, "옮김. 『국가 브랜드, 국가 이미지 - 글로벌 브랜드를 만들기위해 기업과 정부가 할 일』", 커뮤니케이션북스, 2003

      77 김은주, "전통예술 전용공연장 운영현황 및 . 「 활성화 방안 연구 - 중소형 전용공연장을 중심으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학위논문, 2011

      78 김홍승, "국립중앙극장 엮음. 「한국음악극으로서의 창극 발전을 위한 제언」. 『세계화시대의 창극』", 연극과 인간, 2002

      79 안호상, "「제작극장의 레퍼토리시스템(시즌제) 도입과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극장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80 김소영, "「관객극대화를 위한 극장의 시즌 프로그래밍 운영방안 연구 : 사례와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문화예술경영학연구』 Vol.6 No.2. 한국문화예술경영학회, 2013

      81 고희경, "「공공극장 기획공연의 프로그래밍 사례 연구 - 예술의전당 오페라하우스 공연기획의 성과와 과제」", 한국연극학회, 『한국연극학』 제48호, 2012

      82 박성희, "전남도립국악단 상임지휘자 겸 예술총감독 인터뷰. 광주광역시송현석 국립남도국악원 학예연구사 인터뷰. 2015.3.5", 국립남도국악원 회의실, 2015

      83 송혜진,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획. 「궁중연례악 <왕조의 꿈 태평서곡>의 원전과 현대무대」. 『오래된 무대, 새 길을 찾다』", 민속원, 2009

      84 홍보희, "「지역예술의 공연문화상품 개발을 위한 분석 연구 - 채정례 진도씻김굿과국립남도국악원 ‘굿극-씻금’을 중심으로」", 순천대학교사회문화예술대학원,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85 유영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기획. 「창극 무대양식화의 방향성에 대한 고찰 - 국립창극단의 창극 <청>을 중심으로」. 『오래된 무대 새 길을 찾다』", 민속원,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