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replicating the painting cultural heritage, and it is a summary of the simulation method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Daedong Chongdo (大東摠圖)》, among the old map production project from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49625
202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7-74(38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replicating the painting cultural heritage, and it is a summary of the simulation method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Daedong Chongdo (大東摠圖)》, among the old map production project from ...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restoration method of replicating the painting cultural heritage, and it is a summary of the simulation method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Daedong Chongdo (大東摠圖)》, among the old map production project from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conducted in 2017.
The restoration method that has been applied to the restoration of cultural heritage paintings in the meantime was to analyze the materials used in the original painting through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to contrast the original through the production of pigment color tables and partial restora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time constraint to compare the original painting, and the difficulty in revising the partial restoration replica and the consumption of a lot of material.
In this paper, recognizing these limitations, we additionally applied a print color scheme investigation and digital restoration method that can protect the artifacts as much as possible and verify restoration several times. This attempt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possible to set the direction of restoration within a limited time and to simulate restoration in various forms, and it is a method that can be used for the restoration of various cultural heritages in the future.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한국의 옛지도" 문화재청 2008
2 문화재청, "창덕궁 희정당 부벽화 모사도 제작 보고서" 문화재청 2017
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창덕궁 대조전 부벽화 보존처리 및 모사도 제작 보고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4
4 국립문화재연구소, "지류 직물 문화재 보존" 예맥 2011
5 권지은, "조선후기 佛畵草本의 종류와 의미에 관한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9 (9): 1-24, 2016
6 양보경, "조선시대의 고지도와 북방인식" 국토지리학회 29 : 1997
7 오수원, "조선시대 공신초상화의 회화사적 특성과 모사복원 연구: <신숙주초상>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2018
8 김소연, "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의 특성과 토벽화 모사본 제작기법" 건국대학교 2021
9 이한형, "전통 안료 분석과 복원 연구 현황" 국립문화재연구원 48 (48): 132-147, 2015
10 이광수, "윤승길영정(尹承吉影幀)의 모사도 제작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17 (17): 131-170, 2020
1 문화재청, "한국의 옛지도" 문화재청 2008
2 문화재청, "창덕궁 희정당 부벽화 모사도 제작 보고서" 문화재청 2017
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창덕궁 대조전 부벽화 보존처리 및 모사도 제작 보고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4
4 국립문화재연구소, "지류 직물 문화재 보존" 예맥 2011
5 권지은, "조선후기 佛畵草本의 종류와 의미에 관한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9 (9): 1-24, 2016
6 양보경, "조선시대의 고지도와 북방인식" 국토지리학회 29 : 1997
7 오수원, "조선시대 공신초상화의 회화사적 특성과 모사복원 연구: <신숙주초상>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2018
8 김소연, "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의 특성과 토벽화 모사본 제작기법" 건국대학교 2021
9 이한형, "전통 안료 분석과 복원 연구 현황" 국립문화재연구원 48 (48): 132-147, 2015
10 이광수, "윤승길영정(尹承吉影幀)의 모사도 제작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17 (17): 131-170, 2020
11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유산 보존연구 Ⅲ" 국립고궁박물관 2017
12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유산 보존연구 Ⅱ" 국립고궁박물관 2016
13 국립고궁박물관, "왕실문화유산 보존연구 Ⅰ" 국립고궁박물관 2015
14 정두희, "어진 제작기법을 변용한 초상화 제작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17 (17): 93-130, 2020
15 김소윤, "안성 칠장사 오불회괘불탱 모사를 위한 제작기법" 건국대학교 2021
16 김범수, "순천 송광사 자정국사진영(慈靜國師眞影)의 추증고색복원모사(追證古色復原模寫)" 원불교사상연구원 (51) : 131-169, 2012
17 권지은, "불화의 초본(草本) 제작과 등초(謄草) 방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2022
18 국립문화재연구소, "북한미술연구보고서Ⅲ 북한 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 국립문화재연구소 2018
19 양선희 ; 이수예, "부안 내소사 <영산회괘불도>의 복원모사를 통한 전통의 계승" 국립무형유산원 (9) : 117-154, 2020
20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무형문화재 전수교육학교 교재 : 단청장" 소명출판 2020
21 김 얼, "무신진찬도 복원모사 기법연구"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22 정두희, "규장각 소장 고지도의 제작기법 연구: 규장각 고지도 모사본 제작사업을 중심으로"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2 (12): 5-40, 2020
23 손광석 ; 이태헌, "고지도 현상복원모사에 관한 연구: 『西北界圖』 복원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2 (12): 41-71, 2020
24 김은정, "고성 옥천사 연대암 지장시왕도 제작기법 연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18
25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9 규장각문화재보존수리사업 보고서 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20
26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8 규장각문화재보존수리사업 보고서 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9
27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문화재보존수리사업 보고서 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8
28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6 규장각문화재보존수리사업 보고서 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7
29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5 규장각문화재보존수리사업 보고서 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6
30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4 규장각문화재보존수리사업 보고서 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5
31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3 규장각문화재보존수리사업 보고서 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4
32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2 고문헌보존수리・관리사업 보고서 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3
3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1 고문헌보존수리・관리사업 보고서 3"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12
루쉰(魯迅)과 근대 중국 그래픽디자인 속 소비에트 러시아의 영향
경남문화예술진흥원의 교육지원 사업에 있어 발전적 지향점 고찰-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특성화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 | 0.1 | 0.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09 | 0 | 0.35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