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 개발 = The development of Perception Scale for Teacher's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08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identified; (1) What are the elements of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2) What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develop the preliminary questions of this research, 12 field expert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and 15 experts participated in preliminary recruitment and the selection of preliminary questions. A total of 453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To test the concurrent validity, the scale for perceptions of infants’ rights by Cho Suk-young and Won Hye-kyung was employ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interviews and surveys. The data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tests. As a result,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finalized with 3 sub-factors including teachers, organizations and young children with 42 questions. The results implicate that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where education, discipline and child care are performed for a group of children rather than individual child, so it is suitable for measur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identified; (1) What are the elements of the scale for teachers’ 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identified; (1) What are the elements of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2) What a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o develop the preliminary questions of this research, 12 field experts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and 15 experts participated in preliminary recruitment and the selection of preliminary questions. A total of 453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To test the concurrent validity, the scale for perceptions of infants’ rights by Cho Suk-young and Won Hye-kyung was employed.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interviews and surveys. The data analyz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concurrent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tests. As a result,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finalized with 3 sub-factors including teachers, organizations and young children with 42 questions. The results implicate that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where education, discipline and child care are performed for a group of children rather than individual child, so it is suitable for measur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의 구성요소는 어떠한가? (2)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예비문항 구성을 위해 현장전문가 12명이 면담에 참여하였고, 예비구인 및 예비문항 선정을 위해 전문가 15명이 델파이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총 453명이 1, 2차 본조사에 참여하였다. 공인 타당도 확인을 위해 조숙영, 원혜경(2016)의 유아권리인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문헌고찰, 사례 수집, 면담, 설문조사 등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 공인타당도, 내적 합치도, 반분신뢰도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는 아동학대 발생의 원인에 기초하여 교사․조직․영유아의 3개 하위요인과 42개의 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 으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가 개별 양육 환경이 아닌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 훈육 및 보육이 이루어지는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어 영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을 측정하기에 적합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의 구성요소는 ...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의 구성요소는 어떠한가? (2)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예비문항 구성을 위해 현장전문가 12명이 면담에 참여하였고, 예비구인 및 예비문항 선정을 위해 전문가 15명이 델파이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총 453명이 1, 2차 본조사에 참여하였다. 공인 타당도 확인을 위해 조숙영, 원혜경(2016)의 유아권리인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문헌고찰, 사례 수집, 면담, 설문조사 등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요인분석, 공인타당도, 내적 합치도, 반분신뢰도 검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는 아동학대 발생의 원인에 기초하여 교사․조직․영유아의 3개 하위요인과 42개의 문항으로 최종 구성되었 으며,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가 개별 양육 환경이 아닌 집단을 대상으로 교육, 훈육 및 보육이 이루어지는 현장의 특성을 반영하고 있어 영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을 측정하기에 적합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나리, "혼자 밥 먹게 하고… “못난이” 따돌리고… 정서학대도 수사"

      2 김기현, "한국 어린이집 아동학대의 학대 특성 및 아동보호서비스의 최종조치 관련 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25-52, 2014

      3 한인영, "학령기 아동의 신체 학대 사정을 위한 척도개발" 한국아동복지학회 (21) : 7-27, 2006

      4 최윤라, "학대받은 아동의 공격성과 감정이입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5 보건복지부,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6 박경만, "이번엔 네 살배기 아이들을 주먹으로...또 아동학대"

      7 김미, "유치원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8 최은영, "유치원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가, 교직원, 부모의 경험과 인식" 열린부모교육학회 8 (8): 199-216, 2016

      9 장상옥,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 관련 연구 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43-170, 2015

      10 양미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 신나리, "혼자 밥 먹게 하고… “못난이” 따돌리고… 정서학대도 수사"

      2 김기현, "한국 어린이집 아동학대의 학대 특성 및 아동보호서비스의 최종조치 관련 요인 분석"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25-52, 2014

      3 한인영, "학령기 아동의 신체 학대 사정을 위한 척도개발" 한국아동복지학회 (21) : 7-27, 2006

      4 최윤라, "학대받은 아동의 공격성과 감정이입에 관한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89

      5 보건복지부,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6 박경만, "이번엔 네 살배기 아이들을 주먹으로...또 아동학대"

      7 김미, "유치원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호남대학교 대학원 2017

      8 최은영, "유치원 아동학대에 대한 전문가, 교직원, 부모의 경험과 인식" 열린부모교육학회 8 (8): 199-216, 2016

      9 장상옥, "유아교육기관의 물리적 환경 관련 연구 동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143-170, 2015

      10 양미례,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및 아동학대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11 조숙영, "유아교사의 유아권리인식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165-1185, 2016

      12 정미영, "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이 아동학대 인식을 매개로 하여 아동학대 신고의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3 차영숙, "예비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아동학대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8) : 61-80, 2009

      14 위미숙, "영유아학대에 대한 보육교사와 부모의 인식 및 실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5 이슬, "어린이집에서의 아동학대 예방 및 대책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6

      16 장영인, "어린이집 학대예방지침과 매뉴얼의 기본원칙 논의"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00) : 25-55, 2016

      17 유계숙, "어린이집 아동학대에 대한 어머니와 보육교사의 원인 인식 및 대책 요구도" 육아정책연구소 10 (10): 241-268, 2016

      18 정선아, "어린이집 아동학대사례 심층 분석"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7

      19 한국영유아보육학회, "어린이집 아동학대 예방지침 및 매뉴얼" 양서원 2017

      20 이현순, "어린이집 아동학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21 보건복지부, "어린이집 보육교직원 안전교육" 2015

      22 박숙인, "아동학대의 원인과 예방대책에 관한 교육적 대안"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3 주소영, "아동학대와 탄력성의 관계에서 인지기능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8

      24 이정희, "아동학대예방과 보호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 아동학대 예방 센터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5

      25 유희경, "아동학대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및 태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6 이미훈, "아동학대에 대한 어린이집의 부모와 교사의 인식"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2014

      27 김양미, "아동학대가 아동의 공격성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8 張化貞, "아동학대 평가 척도 개발"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29 문선화, "아동학대 척도개발" 12 : 43-76, 2003

      30 손혜진, "아동학대 유형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과 문제"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14

      31 보건복지부, "아동학대 실태조사" 2011

      32 김기현, "아동학대 사례분석연구Ⅰ-어린이집을 중심으로-"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2013

      33 지주예, "아동학대 가해 부모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4 이성혜, "아동양육시설 종사자들의 아동학대 인식도와 신고의무태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5 황옥경, "아동방임 사정 척도 개발 연구"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249-280, 2008

      36 오시온, "아동기 학대 및 방임 피해경험과 청소년 진로정체감의 관계 : 자아탄력성과 또래 애착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37 박현희, "아동기 학대 경험자의 만다라 미술치료 체험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0

      38 신종철, "수원지법, 깨무는 버릇 고친다며 3세 어린이 팔 깨문 원장 벌금형"

      39 최혜영, "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어린이집 아동학대의 이해" 인지발달중재학회 6 (6): 59-81, 2015

      40 김혜련, "부모의 언어적 학대와 아동의 정서적 부적응행동과의 관계"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41 도현미, "보육교사의 영유아인권인식이 영유아학대경험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42 조명자, "보육교사의 아동학대인식이 아동학대 방지노력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권리인식의 조절효과" 호서대학교 대학원 2016

      43 성효정, "가정 내 학대경험이 아동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공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44 李素希, "兒童虐待 確認을 위한 家庭環境 分析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45 高性蕙, "兒童虐待 槪念規定 및 兒童虐待에 대한 母·子女의 知覺性向"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2

      46 윤샘이나, "‘싸구려 급식’준 강남 어린이집"

      47 Jong-Kwi Hwang, "Work Stress and Self-Efficacy in Different Types of Working Conditions of Child Care Teachers"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8 (8): 227-239, 2014

      48 Anna S. Lau, "What's in a name? A comparison of methods for classifying predominant type of maltreatment" Elsevier BV 29 (29): 533-551, 2005

      49 Ruth B Schumacher, "Variables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 abuse in daycare settings" Elsevier BV 23 (23): 891-898, 1999

      50 Diana J. English, "The Extent and Consequences of Child Maltreatment" JSTOR 8 (8): 39-, 1998

      51 Paek Kyoung-Il, "Schutz- und Aufsichtspflicht und Gesetzliche Unfallversicherung in der Kita und im Kindergarten" The Institute of Legal Studies Konkuk University null (null): 119-150, 2016

      52 David Finkelhor, "Re-victimization patterns in a national longitudinal sample of children and youth" Elsevier BV 31 (31): 479-502, 2007

      53 Bolger, K. E., "Peer relation and self-esteem among children who have been maltreated" 69 : 1171-1197, 1998

      54 Audette Sylvestre, "Language Problems Among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SAGE Publications 21 (21): 47-58, 2015

      55 JinAh Park, "An explorative study about experience, perception, and need for counseling of day care center teachers regarding child abuse at day care centers: focused on findings from a focus group interview"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5 (35): 27-54, 2015

      56 C. H. LAWSHE,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Wiley 28 (28): 563-575, 1975

      57 보건복지부, "2018 보육교직원 안전교육" 2018

      58 보건복지부, "2017 전국 아동학대 현황보고서" 2018

      59 보건복지부, "2016 전국 아동학대 현황보고서" 2017

      60 보건복지부, "2015 전국 아동학대 현황보고서"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1 1.61 1.6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3 1.7 1.654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