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문제의 심각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대두되어왔으며 이에 대한 관심으로 환경관련 국제기구가 설립되고 환경단체에서도 환경보호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에도 환경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484919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2020. 2
2020
한국어
서울
; 26 cm
지도교수: 김향미
I804:11043-00000006905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환경문제의 심각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대두되어왔으며 이에 대한 관심으로 환경관련 국제기구가 설립되고 환경단체에서도 환경보호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에도 환경오...
환경문제의 심각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대두되어왔으며 이에 대한 관심으로 환경관련 국제기구가 설립되고 환경단체에서도 환경보호 활동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활동에도 환경오염에 대해 제대로 인지하지 않거나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근본적인 환경에 대한 인간의 사고와 태도에 변화가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고와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자신과 주변의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가치관을 확립하는 청소년기에 환경소양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환경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이 현 교육제도 내에서도 이루어져야 하나 학교교육 내에서 환경교육은 거의 지도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학교라는 공간적 제약이 있어 자연을 감상하거나 체험하기가 어렵고 정해진 수업시간이 있기 때문에 학교 외부로 나가 환경교육을 하기에는 부담이 크다. 그러나 환경교육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있어서 꼭 필요한 교육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간적, 공간적 제약이 있는 학교 공간 내에서 환경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환경교육이 우리나라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전개되어 왔는지에 대해 알아보면서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목적에 대해 알아보았다.
둘째, 환경미술에서 환경은 어떤 방법으로 표현이 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면서 환경미술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또한 미술에서의 환경교육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정리하면서 환경미술교육의 가치를 확립하고자 하였다.
셋째, 환경미술교육의 유형을 분류하였고 실제로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았다.
넷째,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에서 환경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고자 수록된 도판을 정리하였으며 어떠한 환경미술활동이 제시되어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섯째,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직접 적용해 볼 수 있는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양한 동영상과 사진을 활용하여 환경문제의 심각성에 대해 인식시켜주고자 하였다. 실생활에서 환경보호를 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인 업사이클에 대한 개념을 알려주고 직접 업사이클을 체험해봄으로써 환경에 대한 인식 고취와 조형적 표현 능력을 발달시키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학교 현장에서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학교 내에서 진행이 가능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이 많이 만들어져 학생들이 환경소양을 함양할 수 있기를 바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al problem has long been on the rise, and with our interest in i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environment have been established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re also attempting environmental protect...
The seriousness of the environmental problem has long been on the rise, and with our interest in it,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environment have been established and environmental organizations are also attempting environmental protection activities. However, the reality is that in the face of such activities, people are not properly aware of environmental pollution or that such activities had little effect. This is because there is no fundamental change in human thinking and attitudes toward the environment.
To alter these thinking and attitudes, it is important to cultivate environmental literacy in adolescence, when youths’ attention to themselves and the environment around them increases and their values are established. Education to foster environmental literacy should be conducted within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but environmental education is rarely guided within the school education. Also, the spatial constraints of school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appreciate or experience nature while at the same time the fixed class schedule of school makes it burdensome for teachers to take students out of school for environmental education. But environmental education is indispensable to our liv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so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can be conducted within the space of schools with limited time and space.
This study sought effective measures in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we inquired into the need and purp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by identifying how it has been developed in our country.
Second, I wante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art by looking at how the environment was expressed in environmental art. Also, I wanted to establish the value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by summarizing the meaning and value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art.
Third, I classified the types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nd found out about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s that are actually underway in our country.
Fourth, to analyze the environment-related lesson units with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we organized the contained illustrations and looked at what environmental art activities were presented.
Fifth, I developed an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directly to high school students. By using various video clips and pictures, the program intended to make students aware of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It also attempted to promote their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and to develop their capability of modeling expression by teaching them the concept of up-cycle as one of the ways to protect the environment in real life and letting them experience it on their own.
I hope that this study will be of practical help on the school site, and that many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s will be created to be feasible within the school so that students can cultivate environmental literac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