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880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 및 제주도 소재에 재학 중인 일반계 고등학생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경북 및 제주도 소재에 재학 중인 일반계 고등학생 41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미래지향 시간관, 자기조절학습 전략, 성취동기 검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차이검증, 상관관계, 중다회귀모형 검증으로 분석하였다. 고등학생의 학년, 성적에 따라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 조절학습 전략 및 성취동기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 성취동기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이 성취동기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지향시간관의 하위요인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하위 요인 또한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미래지향 시간관의 가치와 수단성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하위요인 성취가치, 행동통제, 학업시간 관리의 점수가 높아질수록 성취동기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은 모두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417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Gyeongsangb...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f high school students on their achievement motiv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on 417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Jeju Island. The tools used in the study are future time perspective,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tests. Collected materials analyzed technical statistics, difference verification, correlation, and impact verification of key variables using the SPSS 19.0 program.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motivation based on grade and year of high school students, a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lso, looking at the impact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n the motivation for achievement, we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ll affe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As a result, looking at impact of the subfactor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the subfactor of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on the achievement motivation, it was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we found that the higher the value of future time perspective and instrumentality, the hig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higher the score of achievement value, behavioral control, and study time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the higher the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it was found that future time perspective and self-adjustment learning strategies all affect the achievement motiv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정, "학습양식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중심 맞춤형 교수설계 기초모형 탐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2 윤소정,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예방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643-660, 2013

      3 윤소정, "중고등학생의 학습플래너 사용도에 따른 시간관리 능력과 시간관 차이 및 학습플래너 활용 방안"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01-127, 2013

      4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서미옥, "자기조절전략, 성취목표지향과 대학생의 학습양식간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50 (50): 55-79, 2012

      6 이미봉,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7 김아영,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9-59, 2010

      8 임효정, "사이버 의존 집단과 비의존 집단 간의 심리특성 연구 : 대인예민성과 우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남은아, "부모양육태도에 의한 자녀의 시간관이 성취목표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정정애,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1 이은정, "학습양식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중심 맞춤형 교수설계 기초모형 탐색"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2 윤소정, "학습부진 대학생을 위한 예방적 학습컨설팅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5 (25): 643-660, 2013

      3 윤소정, "중고등학생의 학습플래너 사용도에 따른 시간관리 능력과 시간관 차이 및 학습플래너 활용 방안" 한국열린교육학회 21 (21): 101-127, 2013

      4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5 서미옥, "자기조절전략, 성취목표지향과 대학생의 학습양식간의 관계" 한국교육학회 50 (50): 55-79, 2012

      6 이미봉,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7 김아영, "성인용 학습몰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4): 39-59, 2010

      8 임효정, "사이버 의존 집단과 비의존 집단 간의 심리특성 연구 : 대인예민성과 우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9 남은아, "부모양육태도에 의한 자녀의 시간관이 성취목표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0 정정애, "부모양육태도, 학업적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관동대학교 대학원 2008

      11 최화영,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미래지향시간관, 자기통제력 및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의인과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2 김외숙, "대학생의 시간전망이 시간관리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9 (19): 141-161, 2015

      13 민자은, "대학생의 미래지향시간관과 자기조절학습 전략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14 전명순, "남자중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이 남자중학생의 성취동기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15 황혜연, "교사효능감 및 부모자녀관계변인과 고등학생의 학습동기, 학습전략,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6 권지혜, "고정관념 위협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17 조한익, "고등학생의 지각된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8 (8): 61-75, 2011

      18 Husman, J., "The role of the future in student motivation" 34 (34): 113-125, 1999

      19 McClelland, D. C., "The achieving society" D. Vans Nostrand 1961

      20 Paris, S. G.,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Springer 1989

      21 Simons, J., "Placing motivation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heory in a temporal perspective" 16 (16): 121-139, 2004

      22 Maehr, M. L., "Meaning and motivation: Toward a theory of personal investment" 115-144, 1989

      23 Horstmanshof, L., "Future time orientation predicts academic engagement among first year university students" 77 (77): 703-718, 2011

      24 Murry, H. A., "Explorations in York" Oxford Univsity Press 1938

      25 Elliot, A. J.,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goals and intrinsic motivation : a mediational analysis" 70 : 461-475, 1996

      26 De Volder, M., "Academic achievement and futuer time perspective as a cognitive-motivational concept" 42 : 566-571, 198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