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교육 정책의 방향 ; 국어과 평가 정책 연구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 Policy Eval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performance assess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3799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하여 국어과 평가 정책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어교육과 관련하여 살펴 볼 때, 수행평가 정책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 개념이 분명하지 않아 ...

      이 논문은 수행평가를 중심으로 하여 국어과 평가 정책에 대해 연구하였다. 국어교육과 관련하여 살펴 볼 때, 수행평가 정책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행평가 개념이 분명하지 않아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 방법에 대한 혼란이 발생했다. 둘째, 각 교과의 교육방식이나 고유의 평가 방식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교과에 일괄적으로 적용했다. 셋째, 수행평가 정책의 현장 정착을 위한 각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부족했다.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한 데에는 평가 정책 시행 초기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뒷받침되었어야 했는데 그러한 노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수행평가 정책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하다. 첫째, 국어교육의 본질에 맞는 수행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다른 교과교육과 구별되는 국어교육만의 다양한 수행평가 도구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수행평가 현장 정착을 위하여 학교와 국어교육학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국어과 수행평가를 발전시키기 위한 학계의 이론 연구뿐만 아니라 수행평가의 최전선이라 할 수 있는 학교 현장에서의 교사의 전문성도 필요하다. 셋째, 평가 정책 간 상호 모순이 없어야 한다. 교과교육에서 필요로 하는 바람직한 평가와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평가 정책이 상호 모순되지 않고 보완할 수 있는 체제로 가야한다. 사회가 변하면 평가 정책도 바뀔 수 있다. 하지만 그 경우에도 평가 정책이 국어교육의 발전을 위한 교두보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어야 진정한 의미에서 국어교육의 발전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policy eval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performance assessment. being connected wit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have three points at issue. Firstly, the actual spot of school is in a state of disorder wit...

      This study examines policy evalu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performance assessment. being connected wit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have three points at issue. Firstly, the actual spot of school is in a state of disorder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performance assessment, because the concept of performance assessment is obscure. Secondly,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differently is appled to every subject while neglecting characteristic education methods and assessment methods in each subject. Thirdly, we don`t make continued effort to establish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 have to do the following three efforts to solve theses problem. Firstly, it is necessary to make the instru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is fit for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econdly, it is necessary to be made constant efforts in the school as well as the academic world. Thirdly, we must remove the contradictions among policy-evaluations. Policy Evaluation can undergo changes according to social changes. But if such being the case, we must fill the role of establishing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order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종철, "한국교육 정책 연구" 배영사 1990

      2 서지영, "학교교교육 내실화를 위한 수행평가 개선 연구(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3 천경록, "읽기 능력의 수행평가"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0 : 1999

      4 신명선, "우리나라 수행평가 정책의 특징과 발전 방향 연구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행 양상의 원인에 대한 정책적 반추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473-502, 2008

      5 교육부, "수행평가의 이해"

      6 백순근, "수행평가의 원리" 교육과학사 2000

      7 교육부,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8 백순근, "수행평가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 - 중학교 각 교과별 수행 평가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1998

      9 교육부, "수행평가 이렇게 한다"

      10 백남진, "수행평가 관련 지침과 중학교에서의 적용 현황: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수행평가의 적용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 김종철, "한국교육 정책 연구" 배영사 1990

      2 서지영, "학교교교육 내실화를 위한 수행평가 개선 연구(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

      3 천경록, "읽기 능력의 수행평가"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0 : 1999

      4 신명선, "우리나라 수행평가 정책의 특징과 발전 방향 연구 -국어과 수행평가의 실행 양상의 원인에 대한 정책적 반추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3) : 473-502, 2008

      5 교육부, "수행평가의 이해"

      6 백순근, "수행평가의 원리" 교육과학사 2000

      7 교육부, "수행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8 백순근, "수행평가에 대한 이론적인 기초 - 중학교 각 교과별 수행 평가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1998

      9 교육부, "수행평가 이렇게 한다"

      10 백남진, "수행평가 관련 지침과 중학교에서의 적용 현황: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수행평가의 적용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11 허경철, "수행 평가 정책 시행 실태 분석 및 개선 대책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12 남명호, "다시 생각해 보는 수행평가:교육과정 운영에서의 수행평가의 적용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7-8, 2007

      13 최미숙, "국어교육에서의 평가:수행평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국어교육연구소 5 : 1998

      14 김대행, "국어교과학의 목표와 영역"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연구소 25 : 1997

      15 최미숙, "국어과 평가의 방향과 탐색" 한국어교육학회 (121) : 4-4, 2006

      16 최미숙, "국어과 수행평가 정착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17 천경록, "국어과 수행평가 in:중학교 각 교과별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원미사 1999

      18 박인기, "국어과 수행 평가" 삼지원 1999

      19 노명완, "국어과 교육에서의 평가 -국어교육 개선방안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1990

      20 손영애,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Ⅲ)" 한국교육개발원 1992

      21 박영목,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Ⅱ)" 한국교육개발원 1991

      22 한철우,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국어 교육 평가 체제 연구(Ⅰ)-국어과 교육의 역할 및 평가 방향 탐색" 한국교육개발원 1990

      23 김혜정, "고등학교 국어과 평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32) : 97-127, 2008

      24 최미숙,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 평가의 이론과 실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99

      25 천경록, "NCLB와 국어과 교육평가 정책" 청람어문교육학회 (39) : 275-302,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