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식품을 잠재적 위해식품이라 하며 이 식품들의 섭취행태가 정확이 파악되어야 정확한 미생물 위해평가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50가지 잠재적 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578548
2013
Korean
594
SCOPUS,KCI등재
학술저널
59-69(11쪽)
2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식품을 잠재적 위해식품이라 하며 이 식품들의 섭취행태가 정확이 파악되어야 정확한 미생물 위해평가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50가지 잠재적 위...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식품을 잠재적 위해식품이라 하며 이 식품들의 섭취행태가 정확이 파악되어야 정확한 미생물 위해평가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50가지 잠재적 위해식품을 선정하고 대한민국의 성인을 대상으로 잠재적 위해식품의 섭취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1,000명을 5월과 8월에 나누어 설문조사를 하였다. 월 1회 이상 섭취하는 빈도를 보았을 때 쌈야채는 소비자의 91.3%가 월 1회 이상 자주 섭취하는 것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데친 나물류는 72.3%, 닭튀김은 68.1%였으며 그 뒤로 파채(67.9%), 맛살/어묵(67.3%), 부추(65.3%), 삼각김밥(62.5%), 계란지단/찜(62.4%), 샐러드(59.8%), 오징어/문어(58.7%) 순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의 위험인식도가 가장 높은 식품은 조개로 4.36점으로 조사되었으며 홍합(4.35점), 생굴(4.30점), 육회(4.29점), 생선회(4.27점), 해삼/멍게(4.19점), 꼬막(4.16점), 참치회(4.10점), 초밥(4.08점), 날치알(3.95점)의 순서로 나타나 수산물 및 수산가공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들의 위험인식도는 5월보다 8월이 더 높게 나타나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소비자들의 위험 인식도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반면에 소비자는 위험하다고 생각하지 않는 식품으로는 부추가 1.9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쌈야채(2.00점), 파채(2.02점), 새싹채소/무순(2.12점), 생식/선식(2.40점), 샐러드(2.40점), 데친나물류(2.47점), 오징어채/포류(2.54점), 조미쥐포류(2.59점), 육포(2.63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미생물의 오염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위험 인식도가 낮아 이들 식품의 위험성에 대한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위해식품의 섭취실태조사는 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식품의 위해도 분석 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위험 인식 수준에 대해 지각하고 식중독 예방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amount and consumption patterns of 50 potentially hazardous foods(PHF) along with consumers’ risk perceptions towards PHF in Korea. A quantitative survey was performed from May through August by trained intervi...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requency, amount and consumption patterns of 50 potentially hazardous foods(PHF) along with consumers’ risk perceptions towards PHF in Korea. A quantitative survey was performed from May through August by trained interviewers, surveying 1,000 adults aged over 18 who were randomly selected from six major provinces in Korea. Consumers perceived seafood, including shellfish, mussel, sashimi and sushi, as the top foods with the highest risk, followed by raw sliced beef. The food with the highest frequency intake per month was leafy vegetables, which is used to wrap other foods, followed by blanched vegetables, fried chicken, etc. The group of middle aged individuals with economic stability had the highest frequency intake of sashimi and sushi. Respondents living in small regions consume greater PHF portions at once. Food safety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risk of PHF is essential for consumers, with high frequent intake of PHF.
참고문헌 (Reference)
1 강태미, "유통중인 즉석섭취 새싹채소와 샐러드의 세균오염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3 (43): 490-494, 2011
2 김혜미, "식품으로 인한 유해물질 노출조사를 위한 식생활 설문지의 타당도 평가" 한국영양학회 44 (44): 171-180, 2011
3 정선순, "시판 선식·생식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와 영양성분 및 위생안정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235-243, 2003
4 문성양,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을 이용한 Vibrio parahaemolyticus의 성장 예측모델의 개발"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49-354, 2004
5 김진희, "선식용 곡류원료 및 제조공정에 따른 유해미생물 오염도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6 (26): 410-416, 2011
6 오덕환, "미생물 위해평가를 위한 포장돈육 가공환경조건에 대한 확률통계학적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63-68, 2009
7 함희진, "그대로 섭취하는 수산가공식품 중 조미건어포류에 대한 주요 식중독균류 분포(2009)"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10-15, 2010
8 서영호, "국내 신선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 특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24-29, 2012
9 Jung MS,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for risk redu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foods"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43-51, 2007
10 Park HK, "Study on extension of dietary exposure assessment system: On dietary intake database and food & nutrient content databas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1-4, 2009
1 강태미, "유통중인 즉석섭취 새싹채소와 샐러드의 세균오염 분석" 한국식품과학회 43 (43): 490-494, 2011
2 김혜미, "식품으로 인한 유해물질 노출조사를 위한 식생활 설문지의 타당도 평가" 한국영양학회 44 (44): 171-180, 2011
3 정선순, "시판 선식·생식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와 영양성분 및 위생안정성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18 (18): 235-243, 2003
4 문성양, "수학적 정량평가모델을 이용한 Vibrio parahaemolyticus의 성장 예측모델의 개발" 한국식품과학회 36 (36): 349-354, 2004
5 김진희, "선식용 곡류원료 및 제조공정에 따른 유해미생물 오염도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6 (26): 410-416, 2011
6 오덕환, "미생물 위해평가를 위한 포장돈육 가공환경조건에 대한 확률통계학적 분석"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4 (24): 63-68, 2009
7 함희진, "그대로 섭취하는 수산가공식품 중 조미건어포류에 대한 주요 식중독균류 분포(2009)"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5 (25): 10-15, 2010
8 서영호, "국내 신선 채소류의 미생물 오염 특성"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7 (27): 24-29, 2012
9 Jung MS, "Study on the risk management for risk redu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in ready-to-eat foods"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43-51, 2007
10 Park HK, "Study on extension of dietary exposure assessment system: On dietary intake database and food & nutrient content databas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1-4, 2009
11 Kim JM, "Studies on transfer of food-borne pathogens : Focusing on Salmonella spp. and L. monocytogenes" Hanyang University 2011
12 Lee SJ, "Studies on optimization for survey of food commodity intakes"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8-9, 2008
13 Eileen A, "Science and decisions: Advancing risk assessment" 30 : 1028-1036, 2010
14 Park MH, "Sanitation effect and microbial analysis with storage conditions of fresh-cut and fresh produce" Dankook University 2009
15 "RDA"
16 Lee SH, "Quantitative microbial risk assessment" 6 : 13-16, 2011
17 Yoon YH, "Principal theory and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43 : 70-74, 2010
18 Kim HW, "Microbiology safe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jerky" Konkuk University 2006
19 Choi NJ,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eady-to-eat vegetables toward climate zon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2012
20 Jung SH, "Microbiological evaluation of raw vegetables" 21 : 250-257, 2006
21 Park EJ, "Microbial safety of commercially cultivated sprouts grown from disinfected seeds and anti-microbial effects of disinfection of sprout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8
22 Lee JH, "Microbial contamination of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and sprouts in Korea" Korea University 2011
23 Jun SY, "Microbial assessment of sprouts and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sanitizer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06
2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5 "KFDA"
26 "KFDA"
27 Park IK, "Fungal microorganisms involved in the biodeterioration of processed marine products in Gangneung area" Gangneung National University 2001
28 Scallan E, "Foodborne illness acquired in the United States-major pathogen" 7 : 7-15, 2011
29 Leila MB, "Food consumption data in microbiological risk assessment" 67 : 1972-1976, 2004
30 USDA, "Food Code 2005"
31 Jeon YJ, "Efficacy of chemical sanitizers and washing frequency on reducing bacterial microflora in leeks" Hanyang University 2007
32 Kang ST, "Development of risk profile in food"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51-64, 2009
33 Kang ST, "Development of risk profile for 200 popular foods"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36-68, 2009
34 Lee YN, "Development of food and nutrient database: Food portion/weight databas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63-167, 2007
35 Kim HJ, "Application of predictive microbiology in food safety" 22 : 339-348, 2009
36 Yoon KS, "A study on the effective risk management of ready to eat foods via the application of predictive model"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30-33, 2008
37 Joung MS, "A study on analysis of live fish demand structure. Korea Maritime Institution" 40-44, 2003
38 Yoon KS, "A strategic plan for the risk assessment of foodborne pathogen and development of pathogen modeling program"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7-13, 2010
16S rRNA를 이용한 다금바리, 자바리, 능성어 판별법 개발
Photostimulated luminescence-thermoluminescence 분석체계를 이용한 조사 처리된 건어류의 luminescence 판별 특성
전자선 조사한 아몬드(Prunus amygosalus L.)와 땅콩(Arachis hypogaea)에서 유래한 지방분해산물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10-11-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1-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199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1 | 1.08 | 2.013 | 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