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번트리더십이 지역시민행동 및 조직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신뢰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the Servant Leadership on the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nnovative Behavior:Focus on the Meditator of the Organizational Trus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9314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변하는 환경에 경제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현대 기업들은 생존경쟁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 조직혁신 등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경쟁 환경에 처한 기업들에게 최근 인적 경쟁력 요소는 매우 중요한 경쟁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창의성 있는 인재, 혁신활동을 하는 인재들의 수요는 부족한 반면 이러한 인재들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은 너무 많은 실정이다.
      본 논문은 지역사회 지자체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의 지역사회에 자발적인 시민행동과 조직을 위한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에 관한 연구이다. 일반 영리조직과 차이는 있지만 지자체 역시 생존을 위한 경쟁을 해야 하며 그렇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지역사회 활동과 창조적인 아이디어 및 혁신적 행동 등이 제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지자체 리더들의 부하직원에 대한 리더십 유발 패턴에 있어 변화를 모색해야 하며, 전통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듯이 관료적이고 통제적인 리더십 유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자체 리더들의 섬김의 리더십이라고 표현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 스타일을 지각하는 부하직원들이 어떻게 지자체 지역시민행동과 혁신행동을 수행할 것인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지자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추론과는 달리 서번트 리더십을 지각하는 조직 구성원들이 지역사회에 대한 자발적인 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지자체 근무하는 직원들의 주요 업무가 지역사회에 대한 시민행동이라고 볼 때 이러한 행동은 역할외 행동이 되지 못하고 이들의 본업적인 역할행동의 범주에 들어가고 또한 상사의 서번트 리더로 인해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은 추론한 바와 같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최근 지자체는 다양한 축제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지자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적극적이고 혁신적인 행동이 기반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추론한 바와 같이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직원들로 하여금 기존의 변혁적 리더십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다양한 특성에 의해 부하직원들의 혁신적 사고와 행동을 자극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조직에 대한 신뢰의 역할은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번트 리더십을 지각하는 구성원들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소속 조직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하는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또한 조직신뢰는 구성원들의 지역사회 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서번트 리더십이 지역사회 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는데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신뢰를 형성하는 경우 지역사회 시민행동이나 혁신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지역사회 시민행동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지자체 구성원들의 조직신뢰 의식이 중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번역하기

      급변하는 환경에 경제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현대 기업들은 생존경쟁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 조직혁신 등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경쟁 환경에...

      급변하는 환경에 경제 활동을 수행하고 있는 현대 기업들은 생존경쟁에서 경쟁우위를 차지하기 위해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 조직혁신 등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러한 경쟁 환경에 처한 기업들에게 최근 인적 경쟁력 요소는 매우 중요한 경쟁원천으로 인식되고 있다. 창의성 있는 인재, 혁신활동을 하는 인재들의 수요는 부족한 반면 이러한 인재들을 필요로 하는 기업들은 너무 많은 실정이다.
      본 논문은 지역사회 지자체에 근무하는 구성원들의 지역사회에 자발적인 시민행동과 조직을 위한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리더십에 관한 연구이다. 일반 영리조직과 차이는 있지만 지자체 역시 생존을 위한 경쟁을 해야 하며 그렇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지역사회 활동과 창조적인 아이디어 및 혁신적 행동 등이 제시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지자체 리더들의 부하직원에 대한 리더십 유발 패턴에 있어 변화를 모색해야 하며, 전통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듯이 관료적이고 통제적인 리더십 유형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자체 리더들의 섬김의 리더십이라고 표현되고 있는 서번트 리더십 스타일을 지각하는 부하직원들이 어떻게 지자체 지역시민행동과 혁신행동을 수행할 것인가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지자체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추론과는 달리 서번트 리더십을 지각하는 조직 구성원들이 지역사회에 대한 자발적인 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지자체 근무하는 직원들의 주요 업무가 지역사회에 대한 시민행동이라고 볼 때 이러한 행동은 역할외 행동이 되지 못하고 이들의 본업적인 역할행동의 범주에 들어가고 또한 상사의 서번트 리더로 인해 영향을 받지는 않는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은 추론한 바와 같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최근 지자체는 다양한 축제 프로그램을 만들거나 지자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적극적이고 혁신적인 행동이 기반을 이루고 있어야 한다. 추론한 바와 같이 서번트 리더십은 부하직원들로 하여금 기존의 변혁적 리더십에서 설명하지 못하는 다양한 특성에 의해 부하직원들의 혁신적 사고와 행동을 자극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조직에 대한 신뢰의 역할은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번트 리더십을 지각하는 구성원들은 구성원들로 하여금 소속 조직에 대한 신뢰감을 형성하는데 역할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또한 조직신뢰는 구성원들의 지역사회 시민행동과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서번트 리더십이 지역사회 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는데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신뢰를 형성하는 경우 지역사회 시민행동이나 혁신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지역사회 시민행동을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지자체 구성원들의 조직신뢰 의식이 중요함을 판단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confidence shaken in business leadership, interest has been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leaders who set aside self-interest for the betterment of their followers and organization. Parallelling this trend in business organizations has been the academic transition toward the scientific study of positive human qualities. Although dysfunctional behaviors of individuals are still of research interest, much remains to be learned about human capacity to engage in positive behavior.
      The first objective in this study was to gain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This research predicted that perceived servant leadership from the supervisor may influence on the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Furthermor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mediator role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the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The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innovation behavior. However, it didn't accep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the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was supported through the indirect effect of mediator of organizational trust. These findings are partly consistent with previous servant leadership, suggesting that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in government sector can be available from the servant leadership. Therefore, it should be guided and enhanced the servant leadership of supervisor to motivate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growing research on leader-member exchange. It confirmed that perceived leadership should b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Therefore it is strongly advised the adaption of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the servant leadership in the workplace.
      번역하기

      With confidence shaken in business leadership, interest has been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leaders who set aside self-interest for the betterment of their followers and organization. Parallelling this trend in business organizations has been th...

      With confidence shaken in business leadership, interest has been increasing in the development of leaders who set aside self-interest for the betterment of their followers and organization. Parallelling this trend in business organizations has been the academic transition toward the scientific study of positive human qualities. Although dysfunctional behaviors of individuals are still of research interest, much remains to be learned about human capacity to engage in positive behavior.
      The first objective in this study was to gain understanding of the impact of servant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rust,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This research predicted that perceived servant leadership from the supervisor may influence on the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Furthermore,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mediator role of organizational tru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the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The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innovation behavior. However, it didn't accept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ant leadership and the community citizenship behavior was supported through the indirect effect of mediator of organizational trust. These findings are partly consistent with previous servant leadership, suggesting that organizational innovation behavior in government sector can be available from the servant leadership. Therefore, it should be guided and enhanced the servant leadership of supervisor to motivate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growing research on leader-member exchange. It confirmed that perceived leadership should b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eader-member exchange. Therefore it is strongly advised the adaption of leadership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the servant leadership in the workpla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ABSTRACT
      • 제 1 장 서 론
      •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목 차
      • ABSTRACT
      • 제 1 장 서 론
      • 제 1 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 제 2 절 연구의 범위 및 구성 3
      • 제 2 장 이론적 배경
      • 제 1 절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적 접근 4
      • 1. 서번트 리더십 개념 4
      • 2. 서번트 리더십의 구성 요소 7
      • 제 2 절 서번트 리더십의 관련 변수 10
      • 1. 조직신뢰 11
      • 2. 지역사회 시민행동 14
      • 3. 혁신행동 16
      • 제 3 장 연구모형 및 연구 방법론
      • 제 1 절 연구모형과 가설 설정 18
      • 1. 연구모형 18
      • 2. 가설 설정 18
      • 제 4 장 연구조사방법 22
      • 1. 연구변수의 조작적 정의 22
      • 3. 표본선정 및 분석방법 23
      • 제 5 장 실증분석 및 가설 검증 24
      • 제 1 절 실증분석 24
      • 1. 표본의 특성 24
      • 2. 변수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25
      • 제 6 장 결론 43
      • 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43
      • 제 2 절 연구의 한계점과 앞으로의 연구방향 46
      • 참 고 문 헌 47
      • 설 문 지 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