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시치료의 치유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치유 과정은 자아와 페르소나의 분리, 그림자의 의식화, 아니마/아니무스의 의식화 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790121
2011
-
180
KCI등재
학술저널
77-113(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시치료의 치유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치유 과정은 자아와 페르소나의 분리, 그림자의 의식화, 아니마/아니무스의 의식화 인...
본 연구는 융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시치료의 치유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치유 과정은 자아와 페르소나의 분리, 그림자의 의식화, 아니마/아니무스의 의식화
인데, 이것은 순차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치유가 일어나는데,
융은 이것을 개성화과정이라고 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시가 가지고 있는 치유적인 속성은
어떠한 것이 있으며, 어떻게 치유적인가 하는 것을 알아보는 데 있다.
시의 치유적 속성인 상징의 대표적인 기능은 대상에 참여하게 하고,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하며, 인간의 정신세계에 다른 영역을 이어준다. 또한 인간의 정신 에너지를 변형시킨다. 시
의 또 다른 속성인 서사성과 은유와 이미지, 리듬 등도 인간의 정신에 치유적으로 작용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성인들의 그림책 읽기 체험에 대한 질적 연구 : ‘리디아의 정원’을 통하여
청소년기 부모자녀 갈등관리를 위한 독서치료적 접근의 부모교육프로그램 참여 경험 분석*
독서지도에서 독서치료로 : 러시아 옛이야기 <닭발 이반 이야기>를 중심으로
사티어 이론에 기초한 어머니 집단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자녀와의 의사소통 및 일치성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