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이동하는 북한 여성의 모성실천 연구 = A study on mobile North Korean women and their mothering practic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6423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북한대학원대학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북한대학원대학교 , 사회문화언론전공 , 2019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09.1111 판사항(6)

      • DDC

        306.095193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209 p.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성경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경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North Korean women's motherhood which had been constructed by the state ideology concerned, changed at a practical level in the face of the so-called March of Hardship, marketization and the immigration.
      For this purpose, it needs to be empirically analyzed which course of actions the north korean women have strategically taken in the sense of alternatives of the patriarchal, the state ideology-led motherhood, and the individualized one which is adopted as a survival strategy.
      Since its foundation North Korea has approached the issue with the aim of the eradication of the patriarchy. Although the gender equality has been guaranteed by the statutory laws including the DPRK constitutions and the Law on Gender Equality, the women took in their real life the double burden in that they were required to contribute to the nation-building as well as to revolutionize the family (or household), as the regime forced them to remain mothers who accept the patriarchal order as given, not their own selves in the gender perspective.
      The motherhood in North Korea went through a few changes, as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s in the country changed. The March of Hardship changed the role of a woman within the family, and reorganized its structure so that it can be fit for economic situations, and it also significantly helped bring on a change in women's own image of mother. In the 2000s, the state-led ?7·1 Economic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and marketization failed to live up to the expectations of women, where they hoped for the state to return to the pre-economic-crisis, thus the measures created a gap between North Korean women's motherhood and its reality in the state-engineered patriarchal ideology.
      Women's economic activities, driven by the marketization, and their frequent travels created their absence within the family, rendering it impossible to implement the mother's conventional family support method. Nonetheless, the diverse ideas which mothers came up with and their dynamic practice thereof led North Korean families to face a new turnaround in supporting their families. As women's travel distance gradually expanded, they crossed the borderline and some resulted in settling in South Korea, creating super-national families. The North Korean woman defectors' practice of motherhood in South Korea required new-level strategies different from surrogate care and surrogate fostering conducted in North Korea. This challenged them to practice yet another type of motherhood. They were physically far away from their families, but they used communication devices in maintaining the family coherence and sent money so as to play the role of financially supporting the family, so they had some empowerment as mothers. In addition, mothers' long-distance travel caused their children to suffer the absence of their mother.
      North Korean women have travelled (fled) to South Korea, where they now live but continue to get involved in their households left in North Korea through their sacrifices and efforts so that they can support their families while improving their own economic powers.
      In particular, in their efforts to practice their long-distance motherhood, it is the most noticeable for North Korean women in South Korea to provide economic support for and raise their children so that they as the next generation can help build North Korea's new economy in the future. The economic support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ir children’s becoming a new generation in the North Korean society.
      As such, North Korean women's practice of motherhood continues despite social, physical and spatial limitations, and the strategies and actions created by such motherhoods will bring about a great change in North Korean socie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North Korean women's motherhood which had been constructed by the state ideology concerned, changed at a practical level in the face of the so-called March of Hardship, marketization and the immigration. For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North Korean women's motherhood which had been constructed by the state ideology concerned, changed at a practical level in the face of the so-called March of Hardship, marketization and the immigration.
      For this purpose, it needs to be empirically analyzed which course of actions the north korean women have strategically taken in the sense of alternatives of the patriarchal, the state ideology-led motherhood, and the individualized one which is adopted as a survival strategy.
      Since its foundation North Korea has approached the issue with the aim of the eradication of the patriarchy. Although the gender equality has been guaranteed by the statutory laws including the DPRK constitutions and the Law on Gender Equality, the women took in their real life the double burden in that they were required to contribute to the nation-building as well as to revolutionize the family (or household), as the regime forced them to remain mothers who accept the patriarchal order as given, not their own selves in the gender perspective.
      The motherhood in North Korea went through a few changes, as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s in the country changed. The March of Hardship changed the role of a woman within the family, and reorganized its structure so that it can be fit for economic situations, and it also significantly helped bring on a change in women's own image of mother. In the 2000s, the state-led ?7·1 Economic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 and marketization failed to live up to the expectations of women, where they hoped for the state to return to the pre-economic-crisis, thus the measures created a gap between North Korean women's motherhood and its reality in the state-engineered patriarchal ideology.
      Women's economic activities, driven by the marketization, and their frequent travels created their absence within the family, rendering it impossible to implement the mother's conventional family support method. Nonetheless, the diverse ideas which mothers came up with and their dynamic practice thereof led North Korean families to face a new turnaround in supporting their families. As women's travel distance gradually expanded, they crossed the borderline and some resulted in settling in South Korea, creating super-national families. The North Korean woman defectors' practice of motherhood in South Korea required new-level strategies different from surrogate care and surrogate fostering conducted in North Korea. This challenged them to practice yet another type of motherhood. They were physically far away from their families, but they used communication devices in maintaining the family coherence and sent money so as to play the role of financially supporting the family, so they had some empowerment as mothers. In addition, mothers' long-distance travel caused their children to suffer the absence of their mother.
      North Korean women have travelled (fled) to South Korea, where they now live but continue to get involved in their households left in North Korea through their sacrifices and efforts so that they can support their families while improving their own economic powers.
      In particular, in their efforts to practice their long-distance motherhood, it is the most noticeable for North Korean women in South Korea to provide economic support for and raise their children so that they as the next generation can help build North Korea's new economy in the future. The economic support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ir children’s becoming a new generation in the North Korean society.
      As such, North Korean women's practice of motherhood continues despite social, physical and spatial limitations, and the strategies and actions created by such motherhoods will bring about a great change in North Korean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국가의 모성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축된 북한 여성의 모성이 고난의 행군, 시장화, 그리고 이주라는 국면에서 어떠한 모성 실천으로 변화해왔는지를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주의 혁명의 한쪽 수레바퀴로 명명되었던 북한 여성이 전통적 가부장제의 모성, 국가 이데올로기의 포섭된 모성, 그리고 생존 전략으로서 개인화된 모성 사이에서 어떠한 행동과 전략을 구성하는 지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북한 정권은 건국 초기부터 가부장제 청산을 목적으로 여성문제에 접근하였다. 제도적 수준에서 북한 정권은 「북조선남녀평등법」, 「헌법」등 양성평등을 명시하였지만, 현실에서의 여성은 국가건설 참여와 가정혁명화라는 이중적 부담을 졌다. 왜냐하면 북한 체제는 「가족법」을 통해 여성의 모성을 가족과 여성성의 근간으로 강조함으로써, 북한 여성이 젠더적 주체가 아닌 가부장제 질서를 따른 어머니가 될 것을 강요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 여성의 모성은 사회 경제적 환경에 따라 몇 번의 변화를 겪게 된다. 우선 고난의 행군이라는 경제난의 상황에서 국가는 총체적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자력갱생’적 어머니를 소환하여 강조하였다. 이 시기 북한은 선군이데올로기와 ‘자력갱생’을 호소하며 여성이 가족의 생계의 책임을 지는 것을 바람직한 모성이라고 강조하였다. 경제적 어려움이 장기화 되면서 북한 여성은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생존전략에 수행하게 된다. 결국 경제난은 여성의 부양책임 증가와 이에 따른 가족경제의 재편, 그리고 가족 구성원의 개인주의 확산을 초래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북한이 시행한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시장의 공식화는 국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속 모성과 현실 모성 간 심각한 괴리를 발생시켰다. 북한 여성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무수한 경계를 넘나들며 경제주체로 부상했고, 이는 경제실리주의로 가치관이 변화하는 데 결정적 요인으로 작동하였다. 예컨대 경제 활동을 위한 가족 내 여성의 부재는 더 이상 전통적인 어머니 역할 수행이 어렵게 만들었다. 따라서 자녀의 부양을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필요했으며 이 과정에 전통적인 어머니와 경제적 부양자로서의 어머니 사이를 넘나드는 새로운 모성실천이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북한 여성은 이동 범위를 점점 확대하면서 국경을 넘는 이주를 감행한다. 이주여성으로서 북한 여성은 북한 내에서 수행하던 어머니 실천 양식을 지속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북한 여성은 원거리 모성 실천이라는 또 다른 방식의 행위를 통해 북한에 남겨 둔 자녀와의 관계를 계속 유지한다. 공간적 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한으로 이주한 북한 여성 대부분이 모성 실천을 포기하지 않는 것은 여전히 자녀 부양을 어머니의 책임이라고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거리 모성실천은 북한 사회의 변화를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우선 증가하는 이동성과 장마당 경제의 확장으로 인한 가족의 변화이다. 경제적 필요에 따라 기존의 핵가족은 확대가족으로 확장되기도 하고, 경제적 단위 구성을 위해 혈연 가족이 아닌 가족의 형태가 등장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원거리 모성 실천을 통해 유입된 송금, 정보, 초국적 연결망 등은 북한의 잠재적 미래 시장 세력을 양성하는 힘으로 작동한다. 이런 맥락에서 북한 여성의 초국적 모성실천은 북한의 정치, 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북한의 다음 세대의 성격을 규정짓고 사회변화를 추동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북한의 이동하는 여성과 새롭게 구성되는 가족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북한의 사회 변화는 결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제 단위의 구축을 의미하는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국가의 모성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축된 북한 여성의 모성이 고난의 행군, 시장화, 그리고 이주라는 국면에서 어떠한 모성 실천으로 변화해왔는지를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

      본 논문은 국가의 모성이데올로기에 의해 구축된 북한 여성의 모성이 고난의 행군, 시장화, 그리고 이주라는 국면에서 어떠한 모성 실천으로 변화해왔는지를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주의 혁명의 한쪽 수레바퀴로 명명되었던 북한 여성이 전통적 가부장제의 모성, 국가 이데올로기의 포섭된 모성, 그리고 생존 전략으로서 개인화된 모성 사이에서 어떠한 행동과 전략을 구성하는 지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북한 정권은 건국 초기부터 가부장제 청산을 목적으로 여성문제에 접근하였다. 제도적 수준에서 북한 정권은 「북조선남녀평등법」, 「헌법」등 양성평등을 명시하였지만, 현실에서의 여성은 국가건설 참여와 가정혁명화라는 이중적 부담을 졌다. 왜냐하면 북한 체제는 「가족법」을 통해 여성의 모성을 가족과 여성성의 근간으로 강조함으로써, 북한 여성이 젠더적 주체가 아닌 가부장제 질서를 따른 어머니가 될 것을 강요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북한 여성의 모성은 사회 경제적 환경에 따라 몇 번의 변화를 겪게 된다. 우선 고난의 행군이라는 경제난의 상황에서 국가는 총체적 난국을 타개하기 위해 ‘자력갱생’적 어머니를 소환하여 강조하였다. 이 시기 북한은 선군이데올로기와 ‘자력갱생’을 호소하며 여성이 가족의 생계의 책임을 지는 것을 바람직한 모성이라고 강조하였다. 경제적 어려움이 장기화 되면서 북한 여성은 살아남기 위해 다양한 생존전략에 수행하게 된다. 결국 경제난은 여성의 부양책임 증가와 이에 따른 가족경제의 재편, 그리고 가족 구성원의 개인주의 확산을 초래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북한이 시행한 「7.1경제관리 개선조치」와 시장의 공식화는 국가 가부장적 이데올로기 속 모성과 현실 모성 간 심각한 괴리를 발생시켰다. 북한 여성은 가족의 생계를 위해 무수한 경계를 넘나들며 경제주체로 부상했고, 이는 경제실리주의로 가치관이 변화하는 데 결정적 요인으로 작동하였다. 예컨대 경제 활동을 위한 가족 내 여성의 부재는 더 이상 전통적인 어머니 역할 수행이 어렵게 만들었다. 따라서 자녀의 부양을 위한 다양한 전략들이 필요했으며 이 과정에 전통적인 어머니와 경제적 부양자로서의 어머니 사이를 넘나드는 새로운 모성실천이 등장하게 되었다.
      한편 북한 여성은 이동 범위를 점점 확대하면서 국경을 넘는 이주를 감행한다. 이주여성으로서 북한 여성은 북한 내에서 수행하던 어머니 실천 양식을 지속할 수 없게 된다. 하지만 북한 여성은 원거리 모성 실천이라는 또 다른 방식의 행위를 통해 북한에 남겨 둔 자녀와의 관계를 계속 유지한다. 공간적 제약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한으로 이주한 북한 여성 대부분이 모성 실천을 포기하지 않는 것은 여전히 자녀 부양을 어머니의 책임이라고 인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원거리 모성실천은 북한 사회의 변화를 만들어내기도 하는데, 우선 증가하는 이동성과 장마당 경제의 확장으로 인한 가족의 변화이다. 경제적 필요에 따라 기존의 핵가족은 확대가족으로 확장되기도 하고, 경제적 단위 구성을 위해 혈연 가족이 아닌 가족의 형태가 등장하기도 한다. 무엇보다도 원거리 모성 실천을 통해 유입된 송금, 정보, 초국적 연결망 등은 북한의 잠재적 미래 시장 세력을 양성하는 힘으로 작동한다. 이런 맥락에서 북한 여성의 초국적 모성실천은 북한의 정치, 경제적 상황과 맞물려 북한의 다음 세대의 성격을 규정짓고 사회변화를 추동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즉 북한의 이동하는 여성과 새롭게 구성되는 가족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북한의 사회 변화는 결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경제 단위의 구축을 의미하는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ⅴ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 목적 = 1
      •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 7
      • 1. 이론적 배경: 모성이데올로기와 실천 = 7
      • 국문요약 = ⅴ
      • 제1장 서론 = 1
      • 제1절 연구 목적 = 1
      • 제2절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 7
      • 1. 이론적 배경: 모성이데올로기와 실천 = 7
      • 2. 선행연구 검토 = 10
      • 제3절 연구방법 및 분석틀 = 18
      • 1. 연구방법 = 18
      • 2. 연구의 분석틀 = 21
      • 제2장 경제난 이전 북한 가족과 모성의 구성 = 24
      • 제1절 국가의 기층단위로서의 가족 = 24
      • 1. 가족과 국가가족주의 = 24
      • 2. 국가이데올로기 속 ‘세포’ = 30
      • 제2절 ‘사회주의 대가정’의 어머니 = 33
      • 1. 혁명적 어머니상 = 33
      • 2. 모성실천 양상 = 38
      • 제3장 ‘고난의 행군’ 국면의 북한 가족과 모성의 재구성 = 50
      • 제1절 ‘자력갱생’과 가족의 변화 = 51
      • 1. ‘고난의 행군’이라는 ‘예외상황’ = 51
      • 2. 생존을 위한 시장과 가족의 변화 = 57
      • 제2절 경제적 단위로서 가족의 등장 = 70
      • 1. 가족공동체 의식의 변화 = 70
      • 2. 경제가족주의 = 81
      • 제4장 시장화 이후 부양자로서 ‘어머니 노릇’ 하기 = 88
      • 제1절 공적/사적 연결망 구축 = 89
      • 1. 공적 연결망 = 89
      • 2. 사적 연결망 = 102
      • 제2절 ‘어머니 노릇’의 변화 = 108
      • 1. ‘이동성’의 증가와 공간적 부재 = 108
      • 2. 물질적 양육자로서 모성실천 = 114
      • 제5장 이주여성으로서 원거리 모성 = 120
      • 제1절 원거리 모성이데올로기 구축 = 120
      • 1. ‘이주의 여성화’와 초국적 모성 = 120
      • 2. 북한 여성의 초국적 모성 = 127
      • 제2절 원거리 모성실천과 친밀성의 재구성 = 138
      • 1. 북한 이주여성과 가족 재결합 = 138
      • 2. 원거리 모성실천 양상 = 150
      • 제3절 원거리 모성과 시장 차세대 부상 = 162
      • 1. 이주여성의 송금과 모국의 사회경제적 변화 = 162
      • 2. 북한 시장세력 촉진 = 164
      • 제6장 결론 = 175
      • 참고문헌 = 183
      • ABSTRACT = 2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