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7~18세기 銓郞制 운영과 1741년 銓郞法 개정의 의미 = Operation of the institution of Jeolllang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the meaning of the revision of the Jeolllang Act in 174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9748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the authority and personnel management of Jeolllang (銓郞), staff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Personnel,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Joseon, by looking at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Guidelines for Reformation on Nominating Staff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Personnel (ijo nangseon ihyeok jeolmok; 吏曹郞選釐革節目) and the changes it brought. The role and the political status of the staff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Personnel was enhanced since the 16th century by having the authority of recommendation for self-replacement (jadae; 自代) and the authority of nomination (tongcheong; 通淸) on the officials of lower end of hall (danghagwan; 堂下官). However,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Jeollang became a major political agenda, causing fluctuations in the position of Jeollang itself. Increasing competition and conflict on Jeollang position resulted in delays of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in such as the General Administrative Movement (domokjeongsa; 都目政事) and the Nomination of Special Counselors (hongmullok; 弘文錄). Moreover, some of Jeollang assigned Temporary Staff Officials (ganangcheong; 假郎廳) to deputize their tasks, while they exercised their own rights without duties. Hence, to relieve the tensions on the Jeollang position and to make Jeollang fulfill their duties, the reformation was required. In summary, the reformation on Jeollang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was not only a part of the king’s plan on the Impartiality Politics, but also an introduction of the system that would make Jeollang fulfill their duties with stabilizing the nominations for Jeollang positions.
      번역하기

      This article examines the authority and personnel management of Jeolllang (銓郞), staff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Personnel,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Joseon, by looking at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Guidelines for Reformation on Nomina...

      This article examines the authority and personnel management of Jeolllang (銓郞), staff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Personnel,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Joseon, by looking at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Guidelines for Reformation on Nominating Staff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Personnel (ijo nangseon ihyeok jeolmok; 吏曹郞選釐革節目) and the changes it brought. The role and the political status of the staff officials at the Ministry of Personnel was enhanced since the 16th century by having the authority of recommendation for self-replacement (jadae; 自代) and the authority of nomination (tongcheong; 通淸) on the officials of lower end of hall (danghagwan; 堂下官). However, in the later part of Joseon dynasty, Jeollang became a major political agenda, causing fluctuations in the position of Jeollang itself. Increasing competition and conflict on Jeollang position resulted in delays of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in such as the General Administrative Movement (domokjeongsa; 都目政事) and the Nomination of Special Counselors (hongmullok; 弘文錄). Moreover, some of Jeollang assigned Temporary Staff Officials (ganangcheong; 假郎廳) to deputize their tasks, while they exercised their own rights without duties. Hence, to relieve the tensions on the Jeollang position and to make Jeollang fulfill their duties, the reformation was required. In summary, the reformation on Jeollang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was not only a part of the king’s plan on the Impartiality Politics, but also an introduction of the system that would make Jeollang fulfill their duties with stabilizing the nominations for Jeollang position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7~18세기 전랑의 권한과 인사운영에 대한 검토를 통해 1741년(영조 17) 「吏曹郞選釐革節目」의 반포가 이루어진 배경과 목적 그리고 이후 운영방식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랑은 이조의 낭관으로 16세기 이후 自代權과 당하관 通淸權을 통해 인사행정에서의 역할과 정치적 위상이 강화되었다. 조선 후기 전랑이 주요 정치 현안으로 등장하면서 전랑직을 둘러싼 浮沈이 거듭되었다. 전랑직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의 심화는 도목정사, 홍문록 등 인사행정의 지연을 초래하였다. 게다가 전랑의 직무 대부분을 假郞廳을 차출하여 대신 수행하도록 하면서 자신의 직무는 수행하지 않고 권한만을 행사하는 문제도 나타난다. 결국 전랑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을 완화하고 전랑이 자신의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전랑의 자대권과 당하관 통청권 뿐만 아니라 특권 전반에 대한 개혁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영조 연간에 이루어진 전랑에 대한 개혁은 영조가 구상한 탕평정치 운영뿐만 아니라 전랑의 안정적인 수급과 함께 실무관료로서 자신의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도입이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7~18세기 전랑의 권한과 인사운영에 대한 검토를 통해 1741년(영조 17) 「吏曹郞選釐革節目」의 반포가 이루어진 배경과 목적 그리고 이후 운영방식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랑...

      본 논문은 17~18세기 전랑의 권한과 인사운영에 대한 검토를 통해 1741년(영조 17) 「吏曹郞選釐革節目」의 반포가 이루어진 배경과 목적 그리고 이후 운영방식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전랑은 이조의 낭관으로 16세기 이후 自代權과 당하관 通淸權을 통해 인사행정에서의 역할과 정치적 위상이 강화되었다. 조선 후기 전랑이 주요 정치 현안으로 등장하면서 전랑직을 둘러싼 浮沈이 거듭되었다. 전랑직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의 심화는 도목정사, 홍문록 등 인사행정의 지연을 초래하였다. 게다가 전랑의 직무 대부분을 假郞廳을 차출하여 대신 수행하도록 하면서 자신의 직무는 수행하지 않고 권한만을 행사하는 문제도 나타난다. 결국 전랑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을 완화하고 전랑이 자신의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전랑의 자대권과 당하관 통청권 뿐만 아니라 특권 전반에 대한 개혁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영조 연간에 이루어진 전랑에 대한 개혁은 영조가 구상한 탕평정치 운영뿐만 아니라 전랑의 안정적인 수급과 함께 실무관료로서 자신의 직무를 충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 도입이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웅섭, "柳壽垣의 官制改革論에 대한 검토 - 권력구조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36) : 185-225, 2018

      2 최승희, "홍문록고" 15 : 1978

      3 近代史硏究會, "한국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 (上)-정치․사상편" 한울 1987

      4 차미희, "조선후기 숙종대 壬辰科獄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42) : 269-305, 2005

      5 나영훈, "조선후기 吏曹銓郎의 인사실태와 정치적 위상의 변화" 동양고전학회 (86) : 197-243, 2022

      6 朴光用, "조선후기 「탕평」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7 송찬식, "조선조 사림정치의 권력구조 ; 전랑과 삼사를 중심으로" 2 : 1978

      8 한국역사연구회 19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정치사 下" 청년사 1990

      9 이근호, "조선시대 吏曹銓郞의 인사 실태" 한국학연구소 31 : 179-207, 2009

      10 이근호, "조선 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민속원 2016

      1 송웅섭, "柳壽垣의 官制改革論에 대한 검토 - 권력구조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36) : 185-225, 2018

      2 최승희, "홍문록고" 15 : 1978

      3 近代史硏究會, "한국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 (上)-정치․사상편" 한울 1987

      4 차미희, "조선후기 숙종대 壬辰科獄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42) : 269-305, 2005

      5 나영훈, "조선후기 吏曹銓郎의 인사실태와 정치적 위상의 변화" 동양고전학회 (86) : 197-243, 2022

      6 朴光用, "조선후기 「탕평」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7 송찬식, "조선조 사림정치의 권력구조 ; 전랑과 삼사를 중심으로" 2 : 1978

      8 한국역사연구회 19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정치사 下" 청년사 1990

      9 이근호, "조선시대 吏曹銓郞의 인사 실태" 한국학연구소 31 : 179-207, 2009

      10 이근호, "조선 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민속원 2016

      11 김백철, "조선 후기 영조의 탕평정치" 태학사 2010

      12 차창섭, "조선 후기 벌열연구" 일조각 1997

      13 이지훈, "조선 초기 循資制의 운영과 정비" 고려대학교 2015

      14 정홍준, "조선 중기 정치권력구조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15 송웅섭, "조선 전기 청요직(淸要職)의 위상과 인사이동 양상" 한국사상사학회 (55) : 1-48, 2017

      16 김우기, "조선 전기 사림의 전랑직진출과 그 역할" 29 : 1986

      17 신항수, "이익의 당대사 해석과 청남 개념의 정립" 역사실학회 (56) : 233-254, 2015

      18 정만조, "영조 17년 祠院毁撤" 9 : 1987

      19 임성자, "숙종대 홍문록과 정치세력의 동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0 홍순민, "숙종 초기의 政治構造와 「換局」" 15 : 1986

      21 박광용, "붕당정치와 탕평" 19 : 1989

      22 정만조, "농암 유수원 연구" 사람의 무늬 2014

      23 한충희, "논문(論文) : 조선초기(朝鮮初期) 정(正)3~정(正)6품(品) 청요직연구(淸要職硏究)" 13 : 2004

      24 趙尙絅, "鶴塘銓攷"

      25 김우기, "銓郞과 三司의 관계에서 본 16세기 權力構造" 13-14 : 1990

      26 "銓郞先生案"

      27 "選部政要"

      28 "選部摠例"

      29 柳壽垣, "迂書"

      30 이근호, "趙顯命의 現實認識과 國政運營論" 한국사상사학회 (32) : 333-364, 2009

      31 南九萬, "藥泉年譜"

      32 "薦拜錄"

      33 박광용, "蕩平論과 政局의 變化" 10 : 1984

      34 이가영, "英組代 史官 自薦制의 폐지와 圈點制 시행" 고려대학교 2017

      35 정만조, "英祖代 初半의 蕩平策과 蕩平派의 活動" 56 : 1983

      36 이근호, "英祖代 中批 除授의 내용과 성격" 진단학회 (103) : 111-141, 2007

      37 정만조, "英祖代 中半의 政局과 蕩平策의 再定立-少論蕩平에서 老論蕩平으로의 轉換-" 111 : 1986

      38 "續大典"

      39 "經國大典"

      40 "登瀛錄"

      41 "淸選考"

      42 김성윤, "正祖代의 文班職 運營과 政治構造의 變化" 19 : 1995

      43 "朝鮮王朝實錄"

      44 정만조, "朝鮮時代 書院硏究" 집문당 1997

      45 한충희, "朝鮮時代 ‘淸職’, ‘要職’, ‘淸要職’의 用例에 대하여" 대구사학회 73 : 161-195, 2003

      4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사연구실, "朝鮮後期 黨爭의 綜合的 檢討"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47 金成潤, "朝鮮後期 正祖의 蕩平政治 硏究"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6

      48 한충희, "朝鮮初期 六曹正郞․佐郞의 官人的 地位-그 歷官과 機能의 分析을 중심으로-" 17 : 1990

      49 한충희, "朝鮮初期 六曹參議硏究" 23 : 1996

      50 南智大, "朝鮮初期 中央政治制度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51 최이돈, "朝鮮中期 士林政治構造硏究" 일조각 1994

      52 金廷洙, "朝鮮 明宗.宣祖朝初의 三司와 銓郞"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0

      53 李重煥, "擇里志"

      54 "承政院日記"

      55 "弘文館志(英祖本)"

      56 "大典通編"

      57 "大典會通"

      58 "增補文獻備考"

      59 "受敎輯錄"

      60 "南譜"

      61 "北譜"

      62 "六典條例"

      63 "兩銓便攷"

      64 鄭弘俊, "17세기 조선의 정치 권력구조와 대신"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4

      65 최이돈, "16세기 정조낭관권의 성장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66 최이돈, "16세기 낭관권의 형성과정" 14 : 1986

      67 최이돈, "16세기 郞官權의 成長과 朋黨政治"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2) : 31-58,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9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98 2.253 0.4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