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송웅섭, "柳壽垣의 官制改革論에 대한 검토 - 권력구조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36) : 185-225, 2018
2 최승희, "홍문록고" 15 : 1978
3 近代史硏究會, "한국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 (上)-정치․사상편" 한울 1987
4 차미희, "조선후기 숙종대 壬辰科獄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42) : 269-305, 2005
5 나영훈, "조선후기 吏曹銓郎의 인사실태와 정치적 위상의 변화" 동양고전학회 (86) : 197-243, 2022
6 朴光用, "조선후기 「탕평」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7 송찬식, "조선조 사림정치의 권력구조 ; 전랑과 삼사를 중심으로" 2 : 1978
8 한국역사연구회 19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정치사 下" 청년사 1990
9 이근호, "조선시대 吏曹銓郞의 인사 실태" 한국학연구소 31 : 179-207, 2009
10 이근호, "조선 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민속원 2016
1 송웅섭, "柳壽垣의 官制改革論에 대한 검토 - 권력구조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36) : 185-225, 2018
2 최승희, "홍문록고" 15 : 1978
3 近代史硏究會, "한국중세사회 해체기의 제문제 (上)-정치․사상편" 한울 1987
4 차미희, "조선후기 숙종대 壬辰科獄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42) : 269-305, 2005
5 나영훈, "조선후기 吏曹銓郎의 인사실태와 정치적 위상의 변화" 동양고전학회 (86) : 197-243, 2022
6 朴光用, "조선후기 「탕평」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4
7 송찬식, "조선조 사림정치의 권력구조 ; 전랑과 삼사를 중심으로" 2 : 1978
8 한국역사연구회 19세기정치사연구반, "조선정치사 下" 청년사 1990
9 이근호, "조선시대 吏曹銓郞의 인사 실태" 한국학연구소 31 : 179-207, 2009
10 이근호, "조선 후기 탕평파와 국정운영" 민속원 2016
11 김백철, "조선 후기 영조의 탕평정치" 태학사 2010
12 차창섭, "조선 후기 벌열연구" 일조각 1997
13 이지훈, "조선 초기 循資制의 운영과 정비" 고려대학교 2015
14 정홍준, "조선 중기 정치권력구조 연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96
15 송웅섭, "조선 전기 청요직(淸要職)의 위상과 인사이동 양상" 한국사상사학회 (55) : 1-48, 2017
16 김우기, "조선 전기 사림의 전랑직진출과 그 역할" 29 : 1986
17 신항수, "이익의 당대사 해석과 청남 개념의 정립" 역사실학회 (56) : 233-254, 2015
18 정만조, "영조 17년 祠院毁撤" 9 : 1987
19 임성자, "숙종대 홍문록과 정치세력의 동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20 홍순민, "숙종 초기의 政治構造와 「換局」" 15 : 1986
21 박광용, "붕당정치와 탕평" 19 : 1989
22 정만조, "농암 유수원 연구" 사람의 무늬 2014
23 한충희, "논문(論文) : 조선초기(朝鮮初期) 정(正)3~정(正)6품(品) 청요직연구(淸要職硏究)" 13 : 2004
24 趙尙絅, "鶴塘銓攷"
25 김우기, "銓郞과 三司의 관계에서 본 16세기 權力構造" 13-14 : 1990
26 "銓郞先生案"
27 "選部政要"
28 "選部摠例"
29 柳壽垣, "迂書"
30 이근호, "趙顯命의 現實認識과 國政運營論" 한국사상사학회 (32) : 333-364, 2009
31 南九萬, "藥泉年譜"
32 "薦拜錄"
33 박광용, "蕩平論과 政局의 變化" 10 : 1984
34 이가영, "英組代 史官 自薦制의 폐지와 圈點制 시행" 고려대학교 2017
35 정만조, "英祖代 初半의 蕩平策과 蕩平派의 活動" 56 : 1983
36 이근호, "英祖代 中批 除授의 내용과 성격" 진단학회 (103) : 111-141, 2007
37 정만조, "英祖代 中半의 政局과 蕩平策의 再定立-少論蕩平에서 老論蕩平으로의 轉換-" 111 : 1986
38 "續大典"
39 "經國大典"
40 "登瀛錄"
41 "淸選考"
42 김성윤, "正祖代의 文班職 運營과 政治構造의 變化" 19 : 1995
43 "朝鮮王朝實錄"
44 정만조, "朝鮮時代 書院硏究" 집문당 1997
45 한충희, "朝鮮時代 ‘淸職’, ‘要職’, ‘淸要職’의 用例에 대하여" 대구사학회 73 : 161-195, 2003
4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역사연구실, "朝鮮後期 黨爭의 綜合的 檢討"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2
47 金成潤, "朝鮮後期 正祖의 蕩平政治 硏究" 釜山大學校 大學院 1996
48 한충희, "朝鮮初期 六曹正郞․佐郞의 官人的 地位-그 歷官과 機能의 分析을 중심으로-" 17 : 1990
49 한충희, "朝鮮初期 六曹參議硏究" 23 : 1996
50 南智大, "朝鮮初期 中央政治制度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3
51 최이돈, "朝鮮中期 士林政治構造硏究" 일조각 1994
52 金廷洙, "朝鮮 明宗.宣祖朝初의 三司와 銓郞"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0
53 李重煥, "擇里志"
54 "承政院日記"
55 "弘文館志(英祖本)"
56 "大典通編"
57 "大典會通"
58 "增補文獻備考"
59 "受敎輯錄"
60 "南譜"
61 "北譜"
62 "六典條例"
63 "兩銓便攷"
64 鄭弘俊, "17세기 조선의 정치 권력구조와 대신"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4
65 최이돈, "16세기 정조낭관권의 성장과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66 최이돈, "16세기 낭관권의 형성과정" 14 : 1986
67 최이돈, "16세기 郞官權의 成長과 朋黨政治"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2) : 31-58,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