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선후기 상주 白玉洞影堂의 운영과 陞院 = The Operation of Baekok-dong Shrine in Sangju and it’s Promotion to Seowon[陞院]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6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6세기에 건립된 방촌(厖村) 황희(1363~1452)의 제향처인 상주 백옥동영당의 건립과 운영 및 승원 과정을 검토하였다. 백옥동영당은 ‘백화당(白華堂)’에서 출발하여 1580년 황희의 5대손 황돈(黃惇, 1510~?)의 주도로 건립한 사우이다. 그러나 영당은 임진왜란기 전소되었고, 1595년(선조 28) 우복 정경세의 제자이자 황희의 7대손인 황뉴(黃紐, 1578~1626)의 주도로 재건되었다. 서원으로 승격 전 영당은 상주 입향조인 황보신(黃保身, 1401~1456)의 후손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황보신이 상주로 낙향하면서 자신의 백화당에 황희 영정을 모시고 향사를 지내는 한편, 백화당을 문중 회합 장소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이후 황보신의 후손들이 과거급제 및 사환을 통해 상주 향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이 과정에서 영당은 향내 사족들의 공적 장소로 활용되면서 그 규모도 확장되었다. 18세기 초반에. 상주 근암서원에서 개최한 도회에서 사서(沙西) 전식(全湜, 1563~1642)을 배향하여 승원하자는 공론이 처음으로 취합되었으나 실패하게 된다. 그로부터 12년 후 근암서원 원장 전수장(全守長)의 주도로 2차 발의가 시도되었고, 이어 상주 충렬사 재회(齋會)에서 3차 발의 후 상주 전 사림의 공론이 취합되어 1714년 11월 19일 ‘옥동서원 (玉洞書院)’으로 승원하였다. 옥동서원의 승원은 18세기 초반 집권당의 영남 남인 강경책에 대응할 한 방편으로 백옥동영당의 승원을 두고 상주 향촌 사회의 남인 세력과 향론을 결집했다는 점에서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6세기에 건립된 방촌(厖村) 황희(1363~1452)의 제향처인 상주 백옥동영당의 건립과 운영 및 승원 과정을 검토하였다. 백옥동영당은 ‘백화당(白華堂)’에서 출발하여 1580년 황희의 5...

      본 논문은 16세기에 건립된 방촌(厖村) 황희(1363~1452)의 제향처인 상주 백옥동영당의 건립과 운영 및 승원 과정을 검토하였다. 백옥동영당은 ‘백화당(白華堂)’에서 출발하여 1580년 황희의 5대손 황돈(黃惇, 1510~?)의 주도로 건립한 사우이다. 그러나 영당은 임진왜란기 전소되었고, 1595년(선조 28) 우복 정경세의 제자이자 황희의 7대손인 황뉴(黃紐, 1578~1626)의 주도로 재건되었다. 서원으로 승격 전 영당은 상주 입향조인 황보신(黃保身, 1401~1456)의 후손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황보신이 상주로 낙향하면서 자신의 백화당에 황희 영정을 모시고 향사를 지내는 한편, 백화당을 문중 회합 장소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이후 황보신의 후손들이 과거급제 및 사환을 통해 상주 향내에서 영향력을 확대하였다. 이 과정에서 영당은 향내 사족들의 공적 장소로 활용되면서 그 규모도 확장되었다. 18세기 초반에. 상주 근암서원에서 개최한 도회에서 사서(沙西) 전식(全湜, 1563~1642)을 배향하여 승원하자는 공론이 처음으로 취합되었으나 실패하게 된다. 그로부터 12년 후 근암서원 원장 전수장(全守長)의 주도로 2차 발의가 시도되었고, 이어 상주 충렬사 재회(齋會)에서 3차 발의 후 상주 전 사림의 공론이 취합되어 1714년 11월 19일 ‘옥동서원 (玉洞書院)’으로 승원하였다. 옥동서원의 승원은 18세기 초반 집권당의 영남 남인 강경책에 대응할 한 방편으로 백옥동영당의 승원을 두고 상주 향촌 사회의 남인 세력과 향론을 결집했다는 점에서 매우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