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아트메이크업에 표현된 오브제의 특성에 관한 연구 = Study on Characteristics of Object Represented in Art Make 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361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esign elements expressed in contemporary make-u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htistian Dior collection, to examine the change patterns of make-up during the recent 14 year period with respect to the art make-up style, and to investigate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 design elements of forms, objects expressed in the art make up.
      This research exployed both qualitative method and quantitative metho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art make-up. The basic material used in this study was the collection from Spring/Summer Season in 1994 to Spring/Summer Season in 2007. Data in Christian Dior collection pictures were qualitatively coded separately in prepared coding sheets by six experts who are professors in the major areas of make-up. The coding sheet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in general that led the art make up style which is comprised of design elements of objects.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esign elements expressed in contemporary make-u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htistian Dior collection, to examine the change patterns of make-up during the recent 14 year period with respect to th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design elements expressed in contemporary make-u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htistian Dior collection, to examine the change patterns of make-up during the recent 14 year period with respect to the art make-up style, and to investigate the intercorrelations among the design elements of forms, objects expressed in the art make up.
      This research exployed both qualitative method and quantitative method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art make-up. The basic material used in this study was the collection from Spring/Summer Season in 1994 to Spring/Summer Season in 2007. Data in Christian Dior collection pictures were qualitatively coded separately in prepared coding sheets by six experts who are professors in the major areas of make-up. The coding sheet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The empirical results showed in general that led the art make up style which is comprised of design elements of obj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크리스챤 디오르의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현대 메이크업에서 표현되는 오브제 요소들을 기초로 최근 14년 동안의 아트 메이크업 변화 패턴을 연구하고 아트 메이크업에 표현되는 오브제 형태 요소의 변화 증감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 두 가지를 이용하였으며 크리스챤 디오르의 1994년부터 2007년까지의 봄 여름 컬렉션의 데이터 사진을 수집하여 메이크업 전문가 3인이 자료를 분석 분류하여 코딩 시트지를 만들었다.
      그 결과 오브제 디자인 요소 중 가장 빈번하게 쓰이고 있는6가지오브제가 년도 별로 어떻게 변화 증감했는지를 빈도 분석함으로 아트 메이크업을 선도하고 있는 오브제의 방향을 추측할 수 있었고 주요 오브제의 변화양상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크리스챤 디오르의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현대 메이크업에서 표현되는 오브제 요소들을 기초로 최근 14년 동안의 아트 메이크업 변화 패턴을 연구하고 아트 메이크업...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크리스챤 디오르의 컬렉션에서 나타나는 현대 메이크업에서 표현되는 오브제 요소들을 기초로 최근 14년 동안의 아트 메이크업 변화 패턴을 연구하고 아트 메이크업에 표현되는 오브제 형태 요소의 변화 증감을 연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 두 가지를 이용하였으며 크리스챤 디오르의 1994년부터 2007년까지의 봄 여름 컬렉션의 데이터 사진을 수집하여 메이크업 전문가 3인이 자료를 분석 분류하여 코딩 시트지를 만들었다.
      그 결과 오브제 디자인 요소 중 가장 빈번하게 쓰이고 있는6가지오브제가 년도 별로 어떻게 변화 증감했는지를 빈도 분석함으로 아트 메이크업을 선도하고 있는 오브제의 방향을 추측할 수 있었고 주요 오브제의 변화양상을 분명히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용숙, "현대 미술의 반성적 이해" 집문당 1988

      2 권정호, "제스퍼에 나타난 오브제표현의 의미" 계명대 1984

      3 유정주, "아트메이크업에 나타난 오브제의 소재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2003

      4 노상원, "실내 환경 디자인에서 오브제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5 한국미용학회, "미용학사전"

      6 최영식, "미니멀 특성 표현과 오브제적 요소를 적용한뷰티케어 공간에 관한 연구"

      7 이화순, "메이크업아트" 형설출판사 2000

      8 최지나, "꽃이미지의 아트메이크업" (창간) : 2000

      9 "GapPres"

      10 "Collezioni"

      1 박용숙, "현대 미술의 반성적 이해" 집문당 1988

      2 권정호, "제스퍼에 나타난 오브제표현의 의미" 계명대 1984

      3 유정주, "아트메이크업에 나타난 오브제의 소재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2003

      4 노상원, "실내 환경 디자인에서 오브제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5 한국미용학회, "미용학사전"

      6 최영식, "미니멀 특성 표현과 오브제적 요소를 적용한뷰티케어 공간에 관한 연구"

      7 이화순, "메이크업아트" 형설출판사 2000

      8 최지나, "꽃이미지의 아트메이크업" (창간) : 2000

      9 "GapPres"

      10 "Collezioni"

      11 "BookModa"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8-2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주식회사 진셀팜 -> 한국피부과학연구원
      영문명 : Korea Institute for Skin and Clinical Sciences -> Korea Institute of Dermatological Sciences
      KCI등재
      2016-04-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KCI등재
      2016-02-26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피부미용학회지 -> 아시안뷰티화장품저널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 Asian Journal of Beauty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3-1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Society -> Korean Journal of Aesthetic and Cosmetology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5 0.45 0.602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