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연령의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MD/LD) 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 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 통합 학급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ㆍ학습 전략 구성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495987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21-352(32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연령의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MD/LD) 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 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 통합 학급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ㆍ학습 전략 구성을...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등 연령의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MD/LD) 학생의 수학문장제 문제 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확인하고, 통합 학급에서 활용 가능한 교수ㆍ학습 전략 구성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선행 연구를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분석 접근을 활용하였다. 연구방법: 2000년부터 2024년 상반기까지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국내 학술지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문헌 선정을 위한 포함 및 배제요건 적용을 통해 최종적으로 일치하는 연구 총 25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초등 4, 5, 6학년 MD/LD 학생을 포함한 중재연구가 가장 비율이 높았다. 둘째, 문장제 문제해결 능력 평가를 위해 교육과정 및 교과서에 기반하여 검사도구를 제작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상관/예측연구에서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는 어휘, 작업기억, 연산능력 등으로 파악되었다. 끝으로, 실험설계연구를 통하여 도식/표상기반교수, 초인지전략 등이 문장제 문제 해결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MD/LD 선별 기준과 평가 방향, 다양한 연구설계 적용을 통한 관련 변인 도출 필요성, 수학 문장제 문제해결 전략 현장 적용을 위한 제언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ynthesize previous studies on mathematical word problem-solving of students with mathematics difficulties and/or learning disabilities(MD/LD)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o provide instructional implications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synthesize previous studies on mathematical word problem-solving of students with mathematics difficulties and/or learning disabilities(MD/LD) using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to provide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students with MD/LD in inclusive settings. Method: Previous peer-reviewed studies published in 2000 through first half of 2024 in KCI journals were screened using inclusion/exclusion criteria, which resulted in finally 25 studies to be analyzed. Results: First, most participants were in Grades 4 through 6 in intervention studies. Second, the majority of selected studies applied standardized assessments to screen and identify research participants. Third, mathematical word problem-solving questions/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math curriculum and/or primary textbooks in most studies. Forth, scheme-based and/or representation strategies were effective in improving mathematical word problem-solving abilities of students with MD/LD.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direc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공동체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봉사활동 강좌 개발: 지속가능발전교육 관점에서 독도 교육을 중심으로
부모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미디어 지도 방식이 영유아의 스마트기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한문Ⅱ 수업을 통한 깊은 학습(LiD)의 적용 가능성 고찰
지체장애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대한 생태학적 영향요인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