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타적 경제수역 내 해양과학기지 보호를 위한 법적 연구: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를 중심으로 = A Legal Study to Protect Marine Science Bases in Exclusive Economic Zones: Focusing on Ieodo Marine Science Bas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84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rine science bases installed and operated in Korea's Exclusive Economic Zone perform various function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national interest, and Ieodo Marine Science Base is particularly importan...

      Marine science bases installed and operated in Korea's Exclusive Economic Zone perform various functions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the national interest, and Ieodo Marine Science Base is particularly important in its geopolitical location and its ro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s the way of improving the legal system in order to properly protect and manage them.
      However, the waters where Ieodo is located, The Exclusive Economic Zone between Korea and China overlap, leaving the maritime boundary undefined. So, there is room for the application of Korean domestic law to protect Ieodo Marine Science Base to be seen as improper to international law.
      On the other hand, the jurisdiction of the state in the sea can be exercised in accordance with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 which is the same when enacting domestic laws on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installations in the ocean.
      Thu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whether Korea’s marine science base corresponds to installations under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 Next, reviewed whether the jurisdiction over installation in coastal countries under the UN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has been sufficiently reflected in Korean domestic law, and proposed the way of improving the insufficient part of the domestic law on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marine science. Especially, about the Ieodo Marine Science Base which is installed in the overlapping waters of the exclusive economic zone and has room for confusion in its legal status,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domestic law to the Base and its legitimacy under international law, and the implications of the application of domestic law on maritime boundary delimit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가 배타적 경제수역에 설치하고 운영 중인 해양과학기지들은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국제사회 발전과 국익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특히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그 지정학적 위치상 ...

      우리나라가 배타적 경제수역에 설치하고 운영 중인 해양과학기지들은 여러 기능을 수행하며 국제사회 발전과 국익에 이바지하고 있으며, 특히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그 지정학적 위치상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들을 적절히 보호하고 관리하기 위해 법제도를 정비하고 실질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어도가 위치한 수역은 중국과 배타적 경제수역이 중첩되어 해양경계가 획정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있다. 따라서 이어도해양과학기지를 보호하기 위한 우리 나라 국내법적용이 국제법적으로 부당한 것으로 비춰질 여지가 있다.
      한편, 해양에서 국가의 관할권은 유엔해양법협약 에 따라 행사될 수 있으며 이는 해양에서 시설물의 보호와 관리에 관한 국내법을 제정할 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선결문제로 유엔해양법협약상 시설물에 우리나라 해양과학기 지가 해당하는지 확인하였다. 다음, 유엔해양법협약상 연안국의 시설물 관련 관할권이 국내법에 충분히 반영되었는지 검토하고, 해양과학기지에 보호·관리에 관한 국내법상 미흡한 부분에 대한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더하여 법적 지위에 혼란의 여지가 있는 배타적 경제수역 중첩수역에 설치되어 있는 이어도 해양과학기지에 대해서는 해양과학기지 보호 등을 위한 국내법 적용 가능성 및 국제법적 정당성을 확인하였으며, 이어도기지에서 국내법의 적용이 해양경계획정에 미치는 함의를 확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화, "현대국제해양법" 두남 2013

      2 해양수산부 공식블로그, "해양과학기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다"

      3 강태호, "한국 작전구역 이어도까지…한-중 갈등 ‘불씨’"

      4 고경민, "한⋅중간 이어도 분쟁과 유형별 대응방안"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6 (16): 83-118, 2016

      5 고경민 ; 진영찬 ; 강병철, "한․중 이어도 관할권 논쟁의 함의 및 대응방안"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2 (12): 59-84, 2011

      6 김재현, "한·중 이어도 관할권 분쟁과 한국의 대응" 2 (2): 2019

      7 김부찬, "한·중 어업협정과 ‘이어도’ 주변수역의 법적 문제" 10 : 1999

      8 송성대, "한·중 간 이어도海 領有權 분쟁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대한지리학회 45 (45): 414-429, 2010

      9 정민정, "중국 해경법 제정의 내용과 시사점" 2 : 2021

      10 윤영민 ; 박성호, "이어도의 법적 지위 및 관련 문제에 관한 고찰" 한국해사법학회 26 (26): 189-212, 2014

      1 최종화, "현대국제해양법" 두남 2013

      2 해양수산부 공식블로그, "해양과학기지,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적용하다"

      3 강태호, "한국 작전구역 이어도까지…한-중 갈등 ‘불씨’"

      4 고경민, "한⋅중간 이어도 분쟁과 유형별 대응방안"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6 (16): 83-118, 2016

      5 고경민 ; 진영찬 ; 강병철, "한․중 이어도 관할권 논쟁의 함의 및 대응방안"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2 (12): 59-84, 2011

      6 김재현, "한·중 이어도 관할권 분쟁과 한국의 대응" 2 (2): 2019

      7 김부찬, "한·중 어업협정과 ‘이어도’ 주변수역의 법적 문제" 10 : 1999

      8 송성대, "한·중 간 이어도海 領有權 분쟁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대한지리학회 45 (45): 414-429, 2010

      9 정민정, "중국 해경법 제정의 내용과 시사점" 2 : 2021

      10 윤영민 ; 박성호, "이어도의 법적 지위 및 관련 문제에 관한 고찰" 한국해사법학회 26 (26): 189-212, 2014

      11 고충석, "이어도에 대한 중국의 민족주의적 접근과 대응 필요성: 중국의 언론보도(2006∼2008) 내용 분석" 16 (16): 2013

      12 유강문, "이어도, 한-중 EEZ 협상 암초 되나"

      13 고경민, "이어도 분쟁의 가능성과 대응방안 : 중국의 민족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국가안보전략연구원 14 (14): 1-32, 2014

      14 김태영, "이어도 및 해양과학기지의 법적 지위" 과학기술법연구원 18 (18): 37-86, 2012

      15 진행남, "이어도 문제의 현황과 해결방안 모색" 20 : 2012

      16 김강녕, "이어도 근해 중·일의 활동증대에 따른 한국의 대응방안" 101 : 2020

      17 이윤철, "이어도 관할권에 대한 국제법적 고찰" 2007

      18 한관수, "이어도 관할권 분쟁과 한국의 대응" 7 (7): 2013

      19 최진이, "유엔해양법협약(UNCLOS)상의 이어도의 법적 지위와 해양경계획정에 관한 연구" 국제해양문제연구소 (18) : 93-122, 2018

      20 원영철, "배타적 경제수역의 경계획정" 한국법학회 (45) : 435-459, 2012

      21 박창건 ; 김지예, "동북아 지역 협력으로서의 한중해양경계획정: 이어도 문제를 중심으로" 국제지역연구원 20 (20): 5-33, 2013

      22 하태영 ; 김용환, "독도와 이어도 수호를 위한 군사안보적 대비방향: 남중국해 해양영토 분쟁을 통해서 본 한국의 정책적 대비를 중심으로" (사) 한국전략문제연구소 24 (24): 47-75, 2017

      23 고봉준, "독도․이어도 해양영토분쟁과 한국의 복합 대응"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89-214, 2013

      24 정장열, "김시중 전 장관이 밝힌 이어도 기지 탄생 비화"

      25 이석용, "국제해양법 판례연구" 세창출판사 2015

      26 김태영, "국제법상 도서제도와 이어도의 법적지위" 20 (20): 2011

      27 "국립해양조사원 공식홈페이지"

      28 박성민, "朴대통령-시주석 채택 한중 공동성명 전문"

      29 "[전문] 한·중 정상회담 공동성명"

      30 "North Sea Continental Shelf Cases, Judgement" I.C.J 1969

      31 "Case concerning Sovereignty over Pulau Ligitan and Pulau Sipadan(Indonesia/Malaysia), Judgment" I.C.J 2002

      32 "Case Concerning the Continent Shelf(Libyan Arab Jamahiriya/Malta), Judgement" I.C.J 1985

      33 "Case Concerning Maritime Delimitation in the Area between Greenland and Jan Mayen(Denmark v. Norway), Judgement" I.C.J 1993

      34 "Case Concerning Maritime Delimitation and Territorial Questions between Qatar and Bahrain(Qatar v. Bahrain), Judgement" I.C.J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1.09 1.18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