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는 빈곤 기독청소년들에게 Pargament의 어떤 종교적 대처가 자기존중감과 성적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즉, Pargament의 종교적 대처인 의존적 대처양식(D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691399
대전: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학위논문(박사) --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2009. 8
2009
한국어
253.5 판사항(19)
대전
ⅳ, 111 p.: 삽도; 26 cm.
한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반신환
참고문헌: p. 87-9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는 빈곤 기독청소년들에게 Pargament의 어떤 종교적 대처가 자기존중감과 성적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즉, Pargament의 종교적 대처인 의존적 대처양식(De...
본 연구는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는 빈곤 기독청소년들에게 Pargament의 어떤 종교적 대처가 자기존중감과 성적에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즉, Pargament의 종교적 대처인 의존적 대처양식(Deferring), 자기주도적 대처양식(Self-directing) 그리고 협력적 대처 양식(Collaborative) 중 어느 것이 자기존중감과 성적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그래서 빈곤청소년들의 보호요인을 발전시키기 위해 그들을 어떻게 돌보며, 어떻게 상담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 주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교회에 다니는 기독 빈곤가정의 중학교 청소년으로 한정하였다. 일반적으로 빈곤가정은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수급대상 가정, 저소득 가정을 위한 공적 복지 서비스를 받고 있는 가정을 말하지만 여기서는 생활보호대상자인 학생들과 현재 생활보호대상자는 아니지만 각 담임선생님이 추천한 빈곤가정의 중학생들을 포함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질문지법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총 365매를 자료를 수집하여 다시 기초생활 수급자 4-5인 가정 기준인 월 소득 120-150만 원 이하에 해당하는 학생을 다시 선발하여 85명을 최종 연구에 참여시켰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곤청소년에게 종교적 대처는 매우 유용하였다. 종교는 빈곤으로 인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에게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종교적 대처를 하는 사람은 죽음이나 질병, 그리고 어려운 상황에 직면할 때 신이 도와줄 거라는 믿음으로 그 위기를 극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신이 사랑과 보살핌을 주신다는 영적 관계 그리고 어떤 상황을 만날 때 신은 그 상황을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알려주신다는 문제해결의 길잡이 역할을 해주신다는 긍정적인 효과를 갖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자기존중감과 협력적 대처그룹이 유의미한 관계를 나타냈다. 종교적 대처 세 집단과 자기존중감을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의존적 집단, 자기주도적 집단에서는 관계가 없었고 협력적 집단에서만 자기존중감이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 동안 대처에 대하여 심리학적 접근이 우세했다면 이제는 종교가 문제해결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종교적 대처 세 집단과 성적과의 관계를 분산분석으로 분석한 결과 세 집단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 보았듯이 종교가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었는데 이것은 심리적 측면에 영향을 준 것이다. 그러나 성적이 종교적 대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은 성적은 심리적 태도가 아니라 빈곤 청소년의 행동결과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종교모임 참석횟수가 한 달에 2~3번인 학생의 경우는 협력적 집단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일주일에 1번 이상 참석하는 학생의 경우는 의존적 대처집단에서 많이 나타났다. 오히려 종교적 모임에 적절하게 참여한 학생들이 협력적 대처로 나타났다. 협력적 대처는 종교모임 횟수보다 하나님과의 관계 또는 개인의 종교성향과 유의미한 관계가 더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실증적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빈곤 청소년의 기독교적 상담 접근을 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1. 빈곤 청소년에게 신앙의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상담해야 할 것이다.
2. 상담자는 긍정적 종교대처를 하는 학생에게는 더욱 지지하는 상담을 해야 할 것이고 부정적 종교대처를 하는 학생은 왜 부정적인 하나님의 이미지를 갖게 되었는지 내담자와의 상담을 통해 긍정적인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3. 의존적 대처를 하는 학생은 문제를 스스로 해결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상담적 접근이 필요하다.
4. 자기주도적 대처를 하는 학생들은 하나님께 맡기는 훈련을 받도록 상담해야 한다.
5. 협력적으로 대처하는 학생은 긍정적인 하나님 이미지를 갖고 있으므로 상담자는 적극적인 지지를 통해 하나님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를 강화해야 한다.
빈곤 청소년의 종교적 대처연구를 통해 밝혀진 것을 학교와 교회 현장에서 활용하고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을 계속적인 연구가 나왔으면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 of religious copings of Pargament had affects on the self-esteem and grade of poor Christian adolescents who are at risk factors. Nam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which of the religious copings of Pargament -D...
This study examined what kind of religious copings of Pargament had affects on the self-esteem and grade of poor Christian adolescents who are at risk factors. Nam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ing which of the religious copings of Pargament -Deferring, Self-directing and Collaborative- has a meaningful relation with self-esteem and grade. Accordingly, it seek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on how to care for and counsel them to develop protective factors for poor adolesc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Christian middle school youths who attend church who are from poor households. Generally, a poor household refers to the household that is eligible to receive government assistances according to the national basic life security system and the household that receives government welfare services for the low-income households. However, this study also includ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from poverty-stricken households who were recommend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even though they are not livelihood protection recipients, as well as the students who are livelihood protection recipients.
As for the method of collecting data, a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and 85 students were included to participate in the final research by collecting total of 365 sheets of data and then once again selecting the students who fell under the category of basic livelihood protection recipient with the monthly income of lower than 1.2 to 1.5 million won for the households with four to five family members.
The resul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religious copings of the poor adolescents were very useful. A religion plays the role of controlling the extreme stresses people receive as a result of poverty. Especially, people who cope religiously have the effect of overcoming the crisis such as death, diseases and facing difficult situations with a faith that God will help. They end up receiving positive effects from their spiritual relationship through which God provides love and care and plays the role of the guide of solving problems who tells them how to solve difficult situations when faced with them.
Second, self-esteem and collaborative coping group revealed to have a meaningful relation. Through the result of analyzing the three religious coping groups and a sense of self-esteem using oneway ANOVA, it's been confirmed that there was no relation in deferring group and self-directing group, but only in collaborative group that had a meaningful relation with self-esteem. If a psychological approach has been predominant thus far for coping, it showed the possibility that a religion can now become a new alternative for problem solving.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the three religious coping groups and grade through oneway ANOVA revealed that there were no meaningful differences in all three groups. As seen in the study, a religion had an affect in self-esteem, and this affect was in psychological aspect. However, the fact that grade wasn't affected by religious coping can be seen as grade not being a psychological attitude but affected by the behavioral result of the poor adolescents.
Fourth,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in religious gatherings for two to three times a month were the most prevalent in collaborative group, a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 more than once a week were the most prevalent in deferring group. Rather, the students who appropriately participated in religious gatherings revealed to cope collaboratively. It can be seen that the collaborative coping has more meaningful relation with the relation with God or personal religious disposition instead of the number of religious gatherings.
Based on these empirical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educed for Christian counseling approach for poor adolescents.
1. Counseling must be provided to allow poverty-stricken youth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ligion.
2. Counsellors need to provide counselling to students who cope religiously in a positive way that all the more supports them, and, for the students who cope religiously in a negative way, allow them to cope in a positive way through the counselling on finding why they ended up having a negative image of God.
3. For the students who cope by deferring, a counselling approach through the method of allowing them to solve the problems on their own is needed.
4. The students who cope in self-directing way need to receive counseling to learn to rely on God.
5. Since the students who cope collaboratively have a positive God-image, the counselor should strengthen their positive God-image through active support.
It is hoped that the things revealed about the religious copings of poverty-stricken youths are utilized in schools and church fields and that the things that weren't able to be treated in this thesis will be treated in the following studie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