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 Postmodernism and Christia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391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에 관한 연구이다. 포스트모더니 즘은 20세기 후반부터 나타난 우리 시대의 정신이며 문화이다. 이러한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기독교는 언제나 하나님 말씀을 각 시대의 정신과 문화에 맞게 전달해 온 것처럼 포스트모더니즘의 사고와 문화에 알맞은 복음 선포와 선교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그것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거부와 절충과 도피가 아니라 창조적 적응이어야 한다. 만일 기독교가 역사적 현실을 부정한다면 비역사적인 종교가 되고, 반대로 역사적 현실과 야합한다면 세속화되며, 역사적 현실로부터 도피한다면 현실로부터 고립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주된 특징과 그것에 대한 기독교의 대응을 살펴 본 후에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서 기독교의 과제를 교회의 형태와 구조와 관련해서 서술할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이 합일되는 공동체를 회복하고, 탈중심적인 교회제도와 하나님 체험과 영성을 강조하는 기독교를 형성하는 것이다. 기독교는 포스트모더 니즘을 기독교의 위기가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으로 활용해야 한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에 관한 연구이다. 포스트모더니 즘은 20세기 후반부터 나타난 우리 시대의 정신이며 문화이다. 이러한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기독교는 언제나 하나님 말...

      이 논문은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에 관한 연구이다. 포스트모더니 즘은 20세기 후반부터 나타난 우리 시대의 정신이며 문화이다. 이러한 포스트모던 사회에서 기독교는 언제나 하나님 말씀을 각 시대의 정신과 문화에 맞게 전달해 온 것처럼 포스트모더니즘의 사고와 문화에 알맞은 복음 선포와 선교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그것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거부와 절충과 도피가 아니라 창조적 적응이어야 한다. 만일 기독교가 역사적 현실을 부정한다면 비역사적인 종교가 되고, 반대로 역사적 현실과 야합한다면 세속화되며, 역사적 현실로부터 도피한다면 현실로부터 고립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주된 특징과 그것에 대한 기독교의 대응을 살펴 본 후에 포스트모더니즘 사회에서 기독교의 과제를 교회의 형태와 구조와 관련해서 서술할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과 인간과 자연이 합일되는 공동체를 회복하고, 탈중심적인 교회제도와 하나님 체험과 영성을 강조하는 기독교를 형성하는 것이다. 기독교는 포스트모더 니즘을 기독교의 위기가 아니라 새로운 가능성으로 활용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study on postmodernism and christianity. Postmodernism is the spirit and culture of our time since the late 20th century. In these postmodern society, Christianity must seek out the Gospel proclamation and the method of missions which appropriate to the thinking and culture of postmodernism as it has always conveyed God s Wor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culture of each age. It should be a creative adaptation to postmodernism, not a rejection of it, a compromise with it and a escape from it. If Christianity denies historical reality, it becomes a non-historical religion, on the contrary, it becomes secularized if it compromises with historical reality, and if it flees from historical reality, it is isolated from reality. Thus, after examin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and the christian response to it, I will describe in this paper the task of Christianity in postmodern society in relation to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church. It is to restore the community in which God, human being and nature are unified, and form a christian system that emphasizes decentralized church systems and the God experience and spirituality. Christianity should use postmodernism as a new possibility, as not a christian crisis.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study on postmodernism and christianity. Postmodernism is the spirit and culture of our time since the late 20th century. In these postmodern society, Christianity must seek out the Gospel proclamation and the method of missions whi...

      This paper aims to study on postmodernism and christianity. Postmodernism is the spirit and culture of our time since the late 20th century. In these postmodern society, Christianity must seek out the Gospel proclamation and the method of missions which appropriate to the thinking and culture of postmodernism as it has always conveyed God s Word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and culture of each age. It should be a creative adaptation to postmodernism, not a rejection of it, a compromise with it and a escape from it. If Christianity denies historical reality, it becomes a non-historical religion, on the contrary, it becomes secularized if it compromises with historical reality, and if it flees from historical reality, it is isolated from reality. Thus, after examin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and the christian response to it, I will describe in this paper the task of Christianity in postmodern society in relation to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church. It is to restore the community in which God, human being and nature are unified, and form a christian system that emphasizes decentralized church systems and the God experience and spirituality. Christianity should use postmodernism as a new possibility, as not a christian crisi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II.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의 대응 III.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의 과제 IV. 나가는 말
      • I. 들어가는 말 II.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의 대응 III.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의 과제 IV. 나가는 말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