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외상 경험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고통 감내력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애경험이 있는 미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33255
부천 :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 상담학과 상담심리학 전공 , 2016. 8
2016
한국어
158.3 판사항(21)
경기도
60 p. ; 26 cm.
지도교수: 조성호
가톨릭대학교 (성심)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p. 39-49
I804:41027-00000229370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외상 경험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고통 감내력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애경험이 있는 미혼...
본 연구에서는 심리적 외상 경험과 관계중독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주관적 고통 감내력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애경험이 있는 미혼 성인남녀 360명(남성 213명, 여성 147명)에게 아동기 심리적 외상 질문지 단축형(CTQ-SF), 관계중독 척도(RAQ-30), 고통 감내력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 간의 관계와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23.0 및 AMO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각 측정변수(심리적 외상 경험, 주관적 고통 감내력, 관계중독)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심리적 외상 경험과 주관적 고통 감내력은 부적 상관이 있었고, 주관적 고통 감내력과 관계중독도 부적 상관이 있었으며, 심리적 외상 경험과 관계중독은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구조 방정식을 통해 심리적 외상 경험과 관계중독의 관계에서 주관적 고통 감내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주관적 고통 감내력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간접효과의 검증을 위해 Bootstrapping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 외상 경험이 고통 감내력을 거쳐 관계중독으로 가는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