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낙남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조류 군집 분석 = Analysis of Bird Community by Habitat Type in Nak-nam Jeongmae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30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낙남정맥의 6개의 중점조사지역(길마재, 천왕산, 여항산, 무학산, 천주산, 신어산)에서 지형, 환경...

      본 연구는 낙남정맥의 체계적인 관리 및 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낙남정맥의 6개의 중점조사지역(길마재, 천왕산, 여항산, 무학산, 천주산, 신어산)에서 지형, 환경특성 등을 고려하여 각 지점별로 조류 서식지 유형별 2개씩의 고정조사구를 선정하여 2018년 5월부터 10월까지 수행하였다. 낙남정맥 6개의 중점조사지역을 조사한 결과 총 48종 1,181개체의 조류가 확인되었다. 서식지 유형별 조류 출현종은 개발지에서 35종 567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종다양도는 임도에서 2.66로가장 높았다. 낙남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영소길드 분석결과(Pearson Chi-square test, χ<sup>2</sup>=16.681, p<0.05) 개발지, 계곡부, 임도 모두 수관층(Canopy) 영소길드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채이길드 분석결과(Pearson Chi-square test, χ<sup>2</sup>=16.217, p<0.005) 개발지는 관목층(bush), 계곡부와 임도는 수관층 채이길드에 속한 군집의 빈도가 높았다. 길드 분석결과 낙남정맥의 임도구간은 대경목 임목과 천이된 초본류가 지빠귀류를 비롯하여 다양한 조류에게 충분한 영소 및 먹이자원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낙남정맥의 다양한 서식지가 조류서식에 다양한 자원을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Nak-nam Jeongmaek. Of the Nak-nam Jeongmaek, six priority research areas, Gilmajae, Mt. Cheonwang, Mt. Yeohang, Mt. Muhak, Mt. Cheonju, Mt. Sineo, with c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ystematic management and preservation of Nak-nam Jeongmaek. Of the Nak-nam Jeongmaek, six priority research areas, Gilmajae, Mt. Cheonwang, Mt. Yeohang, Mt. Muhak, Mt. Cheonju, Mt. Sineo, with consideration to terrain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wo fixed plots for each bird habitat type were selected for each site and were surveyed identified 48 species with 1,181 individual birds. The largest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ccupying a particular habitat type were found in the developed land with 35 species and 567 individuals. Species diversity was the highest at 2.66 in the forest roa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nesting guild analysis of Nak-nam Jeongmaek (Pearson Chi-square test, χ2=16.681, p<0.05) by each habitat type, the communities that belong to the canopy nesting guild showed a high frequency in the developed land, the valley, and the forest road. The results of the Pearson Chi-Square test (χ2=16.217, p<0.005) showed that the communities that belonged to the bush foraging guild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developed land, and the communities that belonged to the canopy foraging guild were the most frequent in the valley and the forest road.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uggest that the various habitats of the Nak-nam Jeongmaek provide a variety of resources for bird habita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손정민, "한남금북·금북정맥 일대의 찬공기 특성 분석을 통한 청주시 찬공기 관리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 22 (22): 152-171, 2019

      2 임신재, "임도와 산림지역의 조류군집 특성 비교" 한국조류학회II 14 (14): 1-8, 2007

      3 한승우, "임도 개설에 따른 조류의 행동권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II 26 (26): 116-121, 2019

      4 최성민, "우리나라 정맥의 마루금 등산로 훼손에 관한 연구– 금남, 금북, 낙남, 한남금북 정맥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8 (28): 450-456, 2014

      5 신주렬, "산림지역에서 서식지 환경이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연구원 7 (7): 141-159, 2008

      6 이동근, "백두대간지역의 산림훼손경향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41-53, 2007

      7 백운기, "백두대간 만복대-시리봉 구간의 조류상과 서식지 선호도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16 (16): 409-420, 2003

      8 유재평, "덕유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 사면방향, 계절에 따른 조류군집 특성" 한국조류학회II 17 (17): 359-385, 2010

      9 임신재, "남산과 광릉의 침엽수림에서 번식기 조류 군집의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332-337, 2008

      10 한승우, "낙동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조류 군집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30 (30): 335-343, 2016

      1 손정민, "한남금북·금북정맥 일대의 찬공기 특성 분석을 통한 청주시 찬공기 관리방안" 한국지리정보학회 22 (22): 152-171, 2019

      2 임신재, "임도와 산림지역의 조류군집 특성 비교" 한국조류학회II 14 (14): 1-8, 2007

      3 한승우, "임도 개설에 따른 조류의 행동권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조류학회II 26 (26): 116-121, 2019

      4 최성민, "우리나라 정맥의 마루금 등산로 훼손에 관한 연구– 금남, 금북, 낙남, 한남금북 정맥을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8 (28): 450-456, 2014

      5 신주렬, "산림지역에서 서식지 환경이 조류군집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연구원 7 (7): 141-159, 2008

      6 이동근, "백두대간지역의 산림훼손경향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0 (10): 41-53, 2007

      7 백운기, "백두대간 만복대-시리봉 구간의 조류상과 서식지 선호도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16 (16): 409-420, 2003

      8 유재평, "덕유산국립공원의 해발고도, 사면방향, 계절에 따른 조류군집 특성" 한국조류학회II 17 (17): 359-385, 2010

      9 임신재, "남산과 광릉의 침엽수림에서 번식기 조류 군집의 차이"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332-337, 2008

      10 한승우, "낙동정맥의 서식지 유형별 조류 군집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30 (30): 335-343, 2016

      11 유주한, "낙동정맥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백병산, 칠보산, 백암산, 운주산, 고헌산, 구덕산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 (20): 15-41, 2017

      12 김태수, "낙동정맥 보전을 위한 마을기반 자원평가"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3 (23): 47-58, 2020

      13 오구균, "낙남정맥 마루금 일대의 식생구조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28 (28): 725-740, 2014

      14 서정영, "경기도 한북정맥 훼손유형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13 (13): 65-74, 2010

      15 Bolen, E.G., "Wildlife ecology and management" Pearson Education, Inc 634-, 2003

      16 Karr, J. H., "Vegetation Structure and Avian Diversity in Several New World Areas" 105 : 423-435, 1971

      17 Hyun-Kyung Oh,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e Naknam-Jeongmaek - Focused on Gilmajae, Mt. Muryang, Mt. Yeohang, Mt. Muhak, Mt. Cheonju and Mt. Sineo -"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9 (19): 19-39, 2016

      18 Kim, J., "Variation in bird diversity in relation to habitat size in the urban landscape of Seoul, South Korea" 42 : 39-44, 2007

      19 Rhim, S. J., "The relationship between habitat structure and breeding bird communities at deciduous forest in mid-eastern Korea" 49 : 31-38, 2000

      20 Lee, W. S., "The relationship between Breeding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at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Hokkaido. Japan" 19 (19): 353-361, 1996

      21 Root, R. B., "The niche exploitation pattern of the Blue-grey Gnatcather" 14 : 67-106, 1967

      22 Shannon, C. E.,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117-, 1949

      23 Simberloff, D., "The guild structure concept and the structure of ecological communities" 22 : 155-143, 1991

      24 Stevens, G. C., "The elevational gradient in altitudinal range : An extension of Rapoport’s latitudinal rule to altitude" 140 : 893-911, 1992

      25 Reijnen, R., "The effects of car traffic on breeding bird population in woodland. Ⅲ. Reduction of density in relation to the proximity of main roads" 32 : 187-202, 1995

      26 Cody, M. L., "Habitat selection in birds : The roles of vegetation structure, competitors, and productivity" 31 : 107-113, 1981

      27 Hawkins, C. P., "Guilds : The multiple meanings of a concept" 34 : 423-451, 1989

      28 Waterhouse, F. L.,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birds relative to elevation and biogeoclimatic zone in coastal old-growth forests in southern British Columbia" 2 (2): 1-13, 2002

      29 Park, C. R., "Characteristics of Bird community in Mt. Paldal" 15 (15): 267-275, 2001

      30 Bibby, C. J., "Birds Census Techniques" Academic Press 66-104, 1992

      31 Korea Forest Service, "Basic Forest Statistics"

      32 Ambuel, B., "Area-dependent changes in the bird communities and vegetation of southern Wisconsin forest" 64 : 1057-1068, 1983

      33 Lee, W. S., "Analysis of Changes on the Forest Environment and the Bird Community in Terms of ‘Guild’" 18 (18): 397-408, 1995

      34 Oh, J. H., "An analysis of landcover change and temporal landscape structure in the main ridge area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10 (10): 49-57, 2007

      35 Hanowski, J. M., "A comparison of on-and off-road bird count: Do you need to go off road to count accurately?" 66 : 469-483, 1995

      36 Moung-Jin Lee, "A Study of the Baekdudaegan and Ridgelines Extrac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Utilizing GIS"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 (16): 136-146, 2013

      37 Snow, D. W., "A Study of Blackbirds" British Museum 191-, 1958

      38 Lee, W.S.,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39 Korea Forest Service, "2018 Field Survey on Forest Resources: Naknam-Jeongmaek" 338-,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