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홍해뜸, "조선후기 수령의 향촌통치와 관민소통책 -18세기 목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49) : 123-159, 2015
2 권기중, "조선후기 수령의 업무 능력과 부세 수취의 자율권 -조선후기 暗行御史 書啓를 중심으로-" 호서사학회 (67) : 225-252, 2013
3 김선경,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조선시대사학회 (52) : 157-196, 2010
4 홍해뜸, "조선후기 목민서 편찬과 수령정치론 연구" 연세대학교 2022
5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조선의 牧民學 전통과 牧民心書" 경인문화사 2012
6 전경목, "조선은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아카넷 2000
7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기사회사 연구반,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아카넷 2000
8 박철상, "조선시대 詞訟法書의 編刊과 傳承"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4 (54): 235-290, 2018
9 백승철, "신편 목민고" 혜안 2014
10 정호훈, "선각" 혜안 2013
1 홍해뜸, "조선후기 수령의 향촌통치와 관민소통책 -18세기 목민서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49) : 123-159, 2015
2 권기중, "조선후기 수령의 업무 능력과 부세 수취의 자율권 -조선후기 暗行御史 書啓를 중심으로-" 호서사학회 (67) : 225-252, 2013
3 김선경, "조선후기 목민학의 계보와 『목민심서』" 조선시대사학회 (52) : 157-196, 2010
4 홍해뜸, "조선후기 목민서 편찬과 수령정치론 연구" 연세대학교 2022
5 경기문화재단 실학박물관, "조선의 牧民學 전통과 牧民心書" 경인문화사 2012
6 전경목, "조선은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아카넷 2000
7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기사회사 연구반,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아카넷 2000
8 박철상, "조선시대 詞訟法書의 編刊과 傳承"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54 (54): 235-290, 2018
9 백승철, "신편 목민고" 혜안 2014
10 정호훈, "선각" 혜안 2013
11 김용흠, "목민고·목민대방" 혜안 2012
12 "續大典"
13 "牧民攷"
14 "牧民攷"
15 "朝鮮王朝實錄"
16 김선경, "朝鮮民政資料叢書" 여강문화사 1987
17 內藤吉之助, "朝鮮民政資料 : 牧民篇" 朝鮮印刷株式會社 1942
18 구완회, "朝鮮後期의 收取行政과 守令의 ' 要譽 ' : 17 세기 중엽에서 18 세기 말까지를 중심으로" 14 : 1991
19 오영교, "朝鮮後期 鄕村支配政策 硏究" 혜안 2001
20 김준석, "朝鮮後期 政治思想史 硏究 – 국가재조론의 대두와 전개" 지식산업사 2003
21 金成俊, "朝鮮守令七事와 『牧民心鑑』" 21 : 1988
22 김용섭, "新訂 增補版 韓國近代農業史硏究1 – 農業改革論․農業政策(1)" 2004
23 李佑成, "居官雜錄 : 外七種" 서울아세아문화사 1982
24 법제처, "居官大要" 법제처 1983
25 "先覺"
26 "七事問答"
27 金成俊, "『牧民心鑑』과 『居官要覽』의 比較硏究" 62 : 1989
28 원재영, "18세기 지방행정과 수령의 역할 - 충청도 예산현의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사연구회 (182) : 297-338, 2018
29 김용흠, "18세기 ‘牧民書’와 지방통치 - 『牧民攷』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회 (35) : 129-17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