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개화기의 외국 지명 수용 과정 = 19세기말부터 20세기 초까지의 세계지리서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d to discover the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vocabulary, namely geographical names on the geographical books on the world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examined books such as 《易言》, 《이언》, 《사민필지》, 《士民必知》, 《西遊見聞》, 《小學萬國地誌》, 《泰西新史》, 《태서신사(太西新史諺譯)》, 《독립신문》, 《中等萬國地誌》, 《中等萬國新地誌》, 《中等外國地理》. In the late 19th century, geographical names were usually accented from China and Japan. However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y were directly accepted from the Occident. This change of acceptance path influenced geographical name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re were mostly geographical names which we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nd accepted from China and Japan. However, they were changed to geographical names which were written by Korean characters and directly accepted from the Occid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process, inconsistent geographical names of the late 19th century, especially one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became consistent because geographical names written by Korean characters were generalized.
      번역하기

      This paper aimed to discover the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vocabulary, namely geographical names on the geographical books on the world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examined books such as 《易言》, 《이언》, ...

      This paper aimed to discover the acceptance and dissemination of vocabulary, namely geographical names on the geographical books on the world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examined books such as 《易言》, 《이언》, 《사민필지》, 《士民必知》, 《西遊見聞》, 《小學萬國地誌》, 《泰西新史》, 《태서신사(太西新史諺譯)》, 《독립신문》, 《中等萬國地誌》, 《中等萬國新地誌》, 《中等外國地理》. In the late 19th century, geographical names were usually accented from China and Japan. However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y were directly accepted from the Occident. This change of acceptance path influenced geographical name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re were mostly geographical names which wer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and accepted from China and Japan. However, they were changed to geographical names which were written by Korean characters and directly accepted from the Occident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this process, inconsistent geographical names of the late 19th century, especially one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became consistent because geographical names written by Korean characters were generaliz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심재기, "한자어 수용에 관한 통시적 연구" 국어학회 18 : 89-109, 1989

      2 민현식, "한글본 이언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3 이병근, "유길준의 어문사용과 서유견문" 89 : 309-326, 2000

      4 송민, "언어의 간섭과 접촉 유형에 대하여" 성심여자대학교 10 : 29-62, 1979

      5 송민, "어휘 변천의 양상과 그 배경" 국어연구소 22 : 42-57, 1990

      6 이한섭, "서유견문에 받아들여진 일본의 한자어에 대하여" 6 : 85-107, 1987

      7 정영숙, "서유견문에 나타난 외국 국명의 한자 표기에 대하여" 한국일본학회 41 : 129-139, 1998

      8 이한섭, "서유견문(영인본)" 박이정 2000

      9 페데리코 마시니, "근대 중국의 언어와 역사" 소명출판 2005

      10 국립국어연구원,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개화기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999

      1 심재기, "한자어 수용에 관한 통시적 연구" 국어학회 18 : 89-109, 1989

      2 민현식, "한글본 이언 연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3 이병근, "유길준의 어문사용과 서유견문" 89 : 309-326, 2000

      4 송민, "언어의 간섭과 접촉 유형에 대하여" 성심여자대학교 10 : 29-62, 1979

      5 송민, "어휘 변천의 양상과 그 배경" 국어연구소 22 : 42-57, 1990

      6 이한섭, "서유견문에 받아들여진 일본의 한자어에 대하여" 6 : 85-107, 1987

      7 정영숙, "서유견문에 나타난 외국 국명의 한자 표기에 대하여" 한국일본학회 41 : 129-139, 1998

      8 이한섭, "서유견문(영인본)" 박이정 2000

      9 페데리코 마시니, "근대 중국의 언어와 역사" 소명출판 2005

      10 국립국어연구원, "국어의 시대별 변천 연구 4:개화기국어" 국립국어연구원 1999

      11 장보웅, "개화기의 지리교육" 대한지리학회 5 : 41-58, 1970

      12 민현식, "개화기 한글본 ‘사민필지’에 대하여"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0 : 357-391, 1999

      13 송민, "개화기 신문명 어휘의 성립과정" 국민대학교 8 : 69-88, 1989

      14 김형철, "개화기 문헌의 어휘 연구:서유견문을 중심으로" 경남어문학회 23 : 1990

      15 민현식, "개화기 국어의 어휘(3)" 한국국어교육연구회 55 : 107-134, 1986

      16 민현식, "개화기 국어의 어휘(2)" 한국국어교육연구회 53 : 19-30, 1985

      17 민현식, "개화기 국어의 어휘(1), 국어학신연구" 탑출판사 1985

      18 김형철, "개화기 국어 연구" 경남대학교 출판부 1997

      19 송민, "갑오경장기의 어휘" 국립국어연구원 4 (4): 54-73, 1994

      20 민현식, "開化期 한글본 ‘이언’(易言)의 漢字語에 대하여" 국어국문학회 132 : 2003

      21 이광린, "‘이언’과 한국의 개화사상, 한국사학논총-이홍직박사회갑기념" 신구문화사 1969

      22 오미나, "‘사민필지’의 국어학적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72 1.376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