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 여학생이 남성복 디자인 전문가로 성장하는 경험에 관한 인물 사례 연구 = Qualitative Case Study on a Female Student’s Experiences of Growing up to be a Professional Menswear Fashion Design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279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ique and integrated aspects emerging from the life and experiences of a female student who became a fashion expert in the Korean menswear field. The participant(Seohyun) had many years of experience as a designer in menswear. The researchers tried to investigate what motivated her to have interested in the fashion design field and how she built up her knowledge and professional competence after entering universit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 four times between August and October 2019. For the study, the portraiture method was adopted as a single case study to explore the major aspects revealed in the interview data, and footnote was added to the phrases quote to more vividly deliver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and events. Seohyun’s case pervasively revealed several major perspectives such as feeling the sense of freedom and conducting youthful activities just like wearing blue jeans as well as building the courage and confidence on the journey to become a menswear specialty designer. She was impressed, when she read Life magazine during her middle school days and inspired by the competent female instructor who taught fashion illustration to her when she was a sophomore at university. After graduation, Seohyun, as a novice designer, was able to open up her eyes to catch consumers’ needs for unprecedented changes in designing menswear under the supervision of manager B. She kept trying to read the mind of menswear consumers and was able to create ‘simple and honest’ design every season. Seohyun was satisfied with her design products as she felt that her personal lifestyle of improving appearance and inner self together was projected in the male world through her design and realized her vision as a confident fashion designer. Overall, her case provided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working experiences in the field of menswear design and presented insights for the fashion design at the en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ique and integrated aspects emerging from the life and experiences of a female student who became a fashion expert in the Korean menswear field. The participant(Seohyun) had many years of experience as a 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unique and integrated aspects emerging from the life and experiences of a female student who became a fashion expert in the Korean menswear field. The participant(Seohyun) had many years of experience as a designer in menswear. The researchers tried to investigate what motivated her to have interested in the fashion design field and how she built up her knowledge and professional competence after entering university.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 four times between August and October 2019. For the study, the portraiture method was adopted as a single case study to explore the major aspects revealed in the interview data, and footnote was added to the phrases quote to more vividly deliver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s and events. Seohyun’s case pervasively revealed several major perspectives such as feeling the sense of freedom and conducting youthful activities just like wearing blue jeans as well as building the courage and confidence on the journey to become a menswear specialty designer. She was impressed, when she read Life magazine during her middle school days and inspired by the competent female instructor who taught fashion illustration to her when she was a sophomore at university. After graduation, Seohyun, as a novice designer, was able to open up her eyes to catch consumers’ needs for unprecedented changes in designing menswear under the supervision of manager B. She kept trying to read the mind of menswear consumers and was able to create ‘simple and honest’ design every season. Seohyun was satisfied with her design products as she felt that her personal lifestyle of improving appearance and inner self together was projected in the male world through her design and realized her vision as a confident fashion designer. Overall, her case provided a comprehensive review on the working experiences in the field of menswear design and presented insights for the fashion design at the en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남성복 분야의 패션 전문가로 성장하는 한 여학생의 삶과 경험을 통해 부각되는 디자이너의 고유하고 통합적 측면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성복 디자이너로 다 년간의 경험을 가진 연구참여자(서현) 한 명을 섭외하여 패션디자인 분야로 관심을 가지게 된 동기와 대학 진학 후에 전문적인 지식과 소양을 쌓아가는 일련의 삶의 궤적을 살펴보았다. 서현은 2019년 8월부터 10월 사이에 총 4회에 걸쳐 심층면담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는 인물사례 연구방법을 차용하여 면담 전사자료 중에서 드러나는 주요 측면을 시간흐름표로 작성하였으며 생생한 인용구를 포착하여 주석을 달면서 그 속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였다. 자료 해석 결과 청소년기, 대학시기, 패션 디자이너 입문 과정에서 Life 잡지, 30대 여성강사, B부장과의 만남을 통해 패션에 대한 새로운 눈을 뜨고 전문가로 성장하는 주요 측면을 보여주었다. 서현의 삶은 마치 청바지 같은 자유스러움과 발랄한 활동성과 남성복 디자이너의 길을 가는 당당함과 자신감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는 남성복 소비자들의 심리를 파악하면서 ‘간결하고 정직한 디자인’을 매 시즌마다 창출하였다. 서현은 자신의 외모와 내면을 가꾸고자 하는 개인적 삶의 방식이 자신이 디자인한 제품을 통해 남성의 세계에 확산되는 듯한 모종의 희열을 느꼈으며 당당한 패션전문가로서의 비전을 실현하고 있었다. 그리고 남성복 디자인 직무 경험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마지막에 패션디자인 분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남성복 분야의 패션 전문가로 성장하는 한 여학생의 삶과 경험을 통해 부각되는 디자이너의 고유하고 통합적 측면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성복 디자이너로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남성복 분야의 패션 전문가로 성장하는 한 여학생의 삶과 경험을 통해 부각되는 디자이너의 고유하고 통합적 측면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남성복 디자이너로 다 년간의 경험을 가진 연구참여자(서현) 한 명을 섭외하여 패션디자인 분야로 관심을 가지게 된 동기와 대학 진학 후에 전문적인 지식과 소양을 쌓아가는 일련의 삶의 궤적을 살펴보았다. 서현은 2019년 8월부터 10월 사이에 총 4회에 걸쳐 심층면담에 참여하였다. 연구자는 인물사례 연구방법을 차용하여 면담 전사자료 중에서 드러나는 주요 측면을 시간흐름표로 작성하였으며 생생한 인용구를 포착하여 주석을 달면서 그 속에 담긴 의미를 해석하였다. 자료 해석 결과 청소년기, 대학시기, 패션 디자이너 입문 과정에서 Life 잡지, 30대 여성강사, B부장과의 만남을 통해 패션에 대한 새로운 눈을 뜨고 전문가로 성장하는 주요 측면을 보여주었다. 서현의 삶은 마치 청바지 같은 자유스러움과 발랄한 활동성과 남성복 디자이너의 길을 가는 당당함과 자신감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었다. 그는 남성복 소비자들의 심리를 파악하면서 ‘간결하고 정직한 디자인’을 매 시즌마다 창출하였다. 서현은 자신의 외모와 내면을 가꾸고자 하는 개인적 삶의 방식이 자신이 디자인한 제품을 통해 남성의 세계에 확산되는 듯한 모종의 희열을 느꼈으며 당당한 패션전문가로서의 비전을 실현하고 있었다. 그리고 남성복 디자인 직무 경험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마지막에 패션디자인 분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송옥, "한국 현대 남성복 변천에 관한 연구" 26 : 275-295, 1996

      2 김초롱, "한국 남성 비즈니스 캐주얼의 경향 및 디자인 특성" 한국복식학회 60 (60): 16-27, 2010

      3 장남경, "패션디자이너 역량모델링 구축" 한국의류산업학회 20 (20): 369-378, 2018

      4 김선영, "패션디자이너 관련 국내 학술 연구 동향"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4 (24): 31-42, 2019

      5 김난도, "트랜드코리아 2020" 미래의창 2019

      6 전영국, "초상화법 질적 연구 방법과 수행 절차에 관한 탐구" 한국질적탐구학회 1 (1): 1-23, 2015

      7 오현정, "청년 창업가의 패션소매 창업 성공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의류학회 42 (42): 133-147, 2018

      8 전영국,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초상화법 소개와 특징 고찰" 교육연구소 22 (22): 5-23, 2016

      9 Stake, R. E., "질적 사례 연구" 창지사 2000

      10 오성숙, "일터에서 배움을 추구하는 정보통신기술 전문가의 현장 강사로 거듭나기" 한국질적탐구학회 4 (4): 89-121, 2018

      1 유송옥, "한국 현대 남성복 변천에 관한 연구" 26 : 275-295, 1996

      2 김초롱, "한국 남성 비즈니스 캐주얼의 경향 및 디자인 특성" 한국복식학회 60 (60): 16-27, 2010

      3 장남경, "패션디자이너 역량모델링 구축" 한국의류산업학회 20 (20): 369-378, 2018

      4 김선영, "패션디자이너 관련 국내 학술 연구 동향"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4 (24): 31-42, 2019

      5 김난도, "트랜드코리아 2020" 미래의창 2019

      6 전영국, "초상화법 질적 연구 방법과 수행 절차에 관한 탐구" 한국질적탐구학회 1 (1): 1-23, 2015

      7 오현정, "청년 창업가의 패션소매 창업 성공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한국의류학회 42 (42): 133-147, 2018

      8 전영국, "질적 연구 방법으로서의 초상화법 소개와 특징 고찰" 교육연구소 22 (22): 5-23, 2016

      9 Stake, R. E., "질적 사례 연구" 창지사 2000

      10 오성숙, "일터에서 배움을 추구하는 정보통신기술 전문가의 현장 강사로 거듭나기" 한국질적탐구학회 4 (4): 89-121, 2018

      11 전영국, "인문예술적 소양을 지닌 공학도의 전공 선택 동기와 진로 모색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탐구"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4 (4): 29-51, 2016

      12 오현정, "이방인 뉴요커의 본질적 의미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패션디자이너와 광고디자이너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 39 (39): 910-923, 2015

      13 이고은, "역량으로서의 ‘패션 감각’의 개념적 정의를 위한 탐색적 연구" 한국의류학회 42 (42): 639-656, 2018

      14 전영국, "심층 면담을 활용한 질적 연구의 수행" 아카데미프레스 2019

      15 장남경, "산학협동 캡스톤 디자인을 통한 패션디자인 교육 - 지속가능한 패션을 중심으로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15 (15): 1-14, 2015

      16 오현정, "뉴욕 거주 한국인 디자이너의 일상생활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의류학회 41 (41): 326-340, 2017

      17 이경희, "뉴 패션디자인 플러스 발상" 교문사 2017

      18 문희강, "기업 내 패션디자이너 재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8) : 185-196,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5-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Inquiry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